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개발 환경 구성: 210. 원격 데스크톱(RDP) 접속 프로그램 - Royal TS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28775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원격 데스크톱(RDP) 접속 프로그램 - Royal TS

그동안 즐겨쓰던 RDP 접속 프로그램이 마이크로소프트에서 배포하는 RDCMan이었는데요.

Remote Desktop Connection Manager v2.2
; http://www.microsoft.com/en-us/download/details.aspx?id=21101

웬일인지 어느 순간부터 일정 수의 RDP 접속이 유지되고 나면 이후의 연결 시도에 대해서는 "Disconnected from ... (Error 3334)"와 같은 오류를 내며 접속이 실패하는 현상이 발생했습니다. 그 순간의 이벤트 로그를 확인해 보면 다음과 같은 것이 확인되는데,

Log Name:      Application
Source:        Desktop Window Manager
Date:          2013-12-20 오후 10:52:11
Event ID:      9009
Task Category: None
Level:         Information
Keywords:      Classic
User:          N/A
Computer:      testpc.testad.com
Description:
The Desktop Window Manager has exited with code (0xd00002fe)

사실 이것이 클라이언트 측의 잘못인지, 서버쪽의 잘못인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단지 혹시나 싶어 RDP 접속 프로그램을 바꿔보았는데요.

Royal TS 
; http://www.royalts.com/main/home.aspx

유료이긴 하지만 쓸만해 보였습니다. 게다가 마이크로소프트 MVP들에게는 무료 라이선스까지 제공되기 때문에 부담없이 ^^ 사용해 볼 수 있었는데요. 암튼, 이 프로그램으로 바꾼지 한달 정도 되었는데 지금까지는 "Disconnected from ... (Error 3334)" 오류가 한번도 발생한 적이 없습니다. "Royal TS"는 RDP뿐만 아니라 VNC, (Putty와 같은) Terminal까지 한꺼번에 관리할 수 있는 기능이 있어서 최근 들어 접속할 기회가 생기는 리눅스에 대한 편이성도 좋아졌습니다.

그러게요... 역시 유료는 값을 하는군요.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7/9/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22-12-02 09시10분
1Remote/PRemoteM - Personal Remote Manager
; https://github.com/1Remote/PRemoteM

1Remote is a modern personal remote session manager and launcher. It is a single place to manage all your remote sessions supporting number of different protocols.

immense/Remotely - A remote control and remote scripting solution, built with .NET 6, Blazor, and SignalR Core.
; https://github.com/immense/Remotely
정성태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403정성태1/14/201331970.NET Framework: 357. .NET 4.5의 2GB 힙 한계 극복
1402정성태1/14/201332496오류 유형: 166. SmtpClient.Send 오류 - net_io_connectionclosed
1401정성태1/11/201329815.NET Framework: 356. (공개키를 담은) 자바의 key 파일을 닷넷의 RSACryptoServiceProvider에서 사용하는 방법 [2]파일 다운로드1
1400정성태1/10/201328991Windows: 69. 작업표시줄의 터치 키보드(Touch Keyboard) 없애는 방법 [3]
1399정성태1/9/201324620.NET Framework: 355. 닷넷 환경이 왜 C/C++보다 느릴까요? [8]
1398정성태1/8/201325053오류 유형: 165. 새로 설치한 Visual Studio 2010의 Team Explorer 실행시 비정상 종료가 된다면?
1397정성태1/3/201328484Windows: 68. 윈도우 설치 ISO 이미지를 USB 하드에 적용하는 방법 [2]
1396정성태12/27/201229708사물인터넷: 2. 넷두이노 - 4.2.0 펌웨어 업데이트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395정성태12/26/201220598.NET Framework: 354. x64 - AspCompat과 STA COM 개체가 성능에 미치는 영향
1394정성태12/25/201222034.NET Framework: 353. x86 - AspCompat과 STA COM 개체가 성능에 미치는 영향
1393정성태12/25/201222436.NET Framework: 352. x64에서 필수로 지정하도록 바뀐 STAThread 특성 [2]
1392정성태12/21/201232414사물인터넷: 1. .NET Micro Framework - 넷두이노 플러스 [7]
1391정성태12/21/201225801.NET Framework: 351. JavaScriptSerializer, DataContractJsonSerializer, Json.NET [3]파일 다운로드1
1390정성태12/20/201223851.NET Framework: 350. String 데이터를 Stream으로 변환하는 방법 [2]
1389정성태12/12/201222171.NET Framework: 349. .NET Thread 인스턴스로부터 COM Apartment 유형 확인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388정성태12/12/201223261.NET Framework: 348. .NET x64 응용 프로그램에서 Teb 주소를 구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387정성태12/12/201228182VC++: 64. x64 Visual C++에서 TEB 주소 구하는 방법
1386정성태12/12/201229902디버깅 기술: 53. windbg - 덤프 파일로부터 네이티브 DLL을 추출하는 방법 [1]
1385정성태12/12/201224951디버깅 기술: 52. Windbg - The version of SOS does not match the version of CLR you are debugging.
1384정성태12/12/201229795개발 환경 구성: 178. System32 폴더의 64비트 DLL을 32비트 Depends.exe에서 보는 방법
1383정성태12/10/201225684개발 환경 구성: 177. 기업용 메신저를 위한 Office Communicator Server 2007 설치 [1]
1382정성태12/8/201228553개발 환경 구성: 176. WebPagetest 서버 - 설치 및 테스트
1381정성태12/5/201227037.NET Framework: 347. C# - 프로세스(EXE) 수준의 Singleton 개체 생성 [2]파일 다운로드1
1380정성태11/28/201237088.NET Framework: 346. 닷넷 개발자에게 Node.js의 의미 [17]
1379정성태11/26/201230222.NET Framework: 345. C# 부호(+, -)에 대한 비트 변환
1378정성태11/22/201231576Java: 14. 안드로이드 - Hello World 실습 [7]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