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개발 환경 구성: 210. 원격 데스크톱(RDP) 접속 프로그램 - Royal TS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33059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원격 데스크톱(RDP) 접속 프로그램 - Royal TS

그동안 즐겨쓰던 RDP 접속 프로그램이 마이크로소프트에서 배포하는 RDCMan이었는데요.

Remote Desktop Connection Manager v2.2
; http://www.microsoft.com/en-us/download/details.aspx?id=21101

웬일인지 어느 순간부터 일정 수의 RDP 접속이 유지되고 나면 이후의 연결 시도에 대해서는 "Disconnected from ... (Error 3334)"와 같은 오류를 내며 접속이 실패하는 현상이 발생했습니다. 그 순간의 이벤트 로그를 확인해 보면 다음과 같은 것이 확인되는데,

Log Name:      Application
Source:        Desktop Window Manager
Date:          2013-12-20 오후 10:52:11
Event ID:      9009
Task Category: None
Level:         Information
Keywords:      Classic
User:          N/A
Computer:      testpc.testad.com
Description:
The Desktop Window Manager has exited with code (0xd00002fe)

사실 이것이 클라이언트 측의 잘못인지, 서버쪽의 잘못인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단지 혹시나 싶어 RDP 접속 프로그램을 바꿔보았는데요.

Royal TS 
; http://www.royalts.com/main/home.aspx

유료이긴 하지만 쓸만해 보였습니다. 게다가 마이크로소프트 MVP들에게는 무료 라이선스까지 제공되기 때문에 부담없이 ^^ 사용해 볼 수 있었는데요. 암튼, 이 프로그램으로 바꾼지 한달 정도 되었는데 지금까지는 "Disconnected from ... (Error 3334)" 오류가 한번도 발생한 적이 없습니다. "Royal TS"는 RDP뿐만 아니라 VNC, (Putty와 같은) Terminal까지 한꺼번에 관리할 수 있는 기능이 있어서 최근 들어 접속할 기회가 생기는 리눅스에 대한 편이성도 좋아졌습니다.

그러게요... 역시 유료는 값을 하는군요.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7/9/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22-12-02 09시10분
1Remote/PRemoteM - Personal Remote Manager
; https://github.com/1Remote/PRemoteM

1Remote is a modern personal remote session manager and launcher. It is a single place to manage all your remote sessions supporting number of different protocols.

immense/Remotely - A remote control and remote scripting solution, built with .NET 6, Blazor, and SignalR Core.
; https://github.com/immense/Remotely
정성태

...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053정성태11/15/201922488Windows: 166. 윈도우 10 - 명령행 창(cmd.exe) 속성에 (DotumChe, GulimChe, GungsuhChe 등의) 한글 폰트가 없는 경우
12052정성태11/15/201921386오류 유형: 578. Azure - 일정(schedule)에 등록한 runbook이 1년 후 실행이 안 되는 문제(Reason - The key used is expired.)
12051정성태11/14/201927281개발 환경 구성: 462. 시작하자마자 비정상 종료하는 프로세스의 메모리 덤프 - procdump [1]
12050정성태11/14/201924679Windows: 165. AcLayers의 API 후킹과 FaultTolerantHeap
12049정성태11/13/201925264.NET Framework: 868. (닷넷 프로세스를 대상으로) 디버거 방식이 아닌 CLR Profiler를 이용해 procdump.exe 기능 구현
12048정성태11/12/201924396Windows: 164. GUID 이름의 볼륨에 해당하는 파티션을 찾는 방법
12047정성태11/12/201926704Windows: 163. 안전하게 eject시킨 USB 장치를 물리적인 재연결 없이 다시 인식시키는 방법
12046정성태10/29/201920573오류 유형: 577. windbg - The call to LoadLibrary(...\sos.dll) failed, Win32 error 0n193
12045정성태10/27/201922014오류 유형: 576. mstest.exe 실행 시 "Visual Studio Enterprise is required to execute the test." 오류 - 두 번째 이야기
12044정성태10/27/201920288오류 유형: 575. mstest.exe - System.Resources.MissingSatelliteAssemblyException: The satellite assembly named "Microsoft.VisualStudio.ProductKeyDialog.resources.dll, ..."
12043정성태10/27/201922915오류 유형: 574. Windows 10 설치 시 오류 - 0xC1900101 - 0x4001E
12042정성태10/26/201920809오류 유형: 573. OneDrive 하위에 위치한 Documents, Desktop 폴더에 대한 권한 변경 시 "Unable to display current owner"
12041정성태10/23/201923396오류 유형: 572. mstest.exe - The load test results database could not be opened.
12040정성태10/23/201924270오류 유형: 571. Unhandled Exception: System.Net.Mail.SmtpException: Transaction failed. The server response was: 5.2.0 STOREDRV.Submission.Exception:SendAsDeniedException.MapiExceptionSendAsDenied
12039정성태10/22/201919945스크립트: 16. cmd.exe의 for 문에서는 ERRORLEVEL이 설정되지 않는 문제
12038정성태10/17/201921577오류 유형: 570. SQL Server 2019 RC1 - SQL Client Connectivity SDK 설치 오류
12037정성태10/15/201929167.NET Framework: 867. C# - Encoding.Default 값을 바꿀 수 있을까요?파일 다운로드1
12036정성태10/14/201931069.NET Framework: 866. C# - 고성능이 필요한 환경에서 GC가 발생하지 않는 네이티브 힙 사용파일 다운로드1
12035정성태10/13/201922832개발 환경 구성: 461. C# 8.0의 #nulable 관련 특성을 .NET Framework 프로젝트에서 사용하는 방법 [2]파일 다운로드1
12034정성태10/12/201921924개발 환경 구성: 460. .NET Core 환경에서 (프로젝트가 아닌) C# 코드 파일을 입력으로 컴파일하는 방법 [1]
12033정성태10/11/201926953개발 환경 구성: 459. .NET Framework 프로젝트에서 C# 8.0/9.0 컴파일러를 사용하는 방법
12032정성태10/8/201922099.NET Framework: 865. .NET Core 2.2/3.0 웹 프로젝트를 IIS에서 호스팅(Inproc, out-of-proc)하는 방법 - AspNetCoreModuleV2 소개
12031정성태10/7/201921224오류 유형: 569. Azure Site Extension 업그레이드 시 "System.IO.IOException: There is not enough space on the disk" 예외 발생
12030정성태10/5/201928142.NET Framework: 864. .NET Conf 2019 Korea - "닷넷 17년의 변화 정리 및 닷넷 코어 3.0" 발표 자료 [1]파일 다운로드1
12029정성태9/27/201927563제니퍼 .NET: 29. Jennifersoft provides a trial promotion on its APM solution such as JENNIFER, PHP, and .NET in 2019 and shares the examples of their application.
12028정성태9/26/201924431.NET Framework: 863. C# - Thread.Suspend 호출 시 응용 프로그램 hang 현상을 해결하기 위한 시도파일 다운로드1
...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