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글 보이기/감추기 AD BLOCK 해제 요청 이 글에는 광고가 많이 들어가 있지 않습니다. adblock을 해제하셔도 글을 읽는데 그다지 부담이 없으니 해제를 부탁드립니다.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컴퓨터를 껐는데도 어느 순간 자동으로 켜진다면? 이번에 새롭게 맞춘 컴퓨터는, 우와~~~ 2014년 새로운 PC를 장만했습니다. ^^ ; https://www.sysnet.pe.kr/0/0/471 제 방에다 놨는데요. 요즘 아파트 보면 각 방마다 인터넷 선이 나와 있죠? ^^ 그래서 공유기 거치지 않고 직접 연결시켜 두었는데, 그러다 보니 재미있는 현상이 하나 생겼습니다. ^^ 최대 절전 모드(Hibernate)로 종료시킨 컴퓨터가 어느 순간 비프음과 함께 다시 살아나는 것입니다. 게다가 그 시간 간격도 무작위입니다. 도대체 무슨 문제일까요? ^^ WOL(Wake On LAN) 기능을 아시는 분이라면 금방 눈치채실 수 있을 것 같은데요. 그렇습니다. 직접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었기 때문에 외부에서 LAN 카드로 신호가 들어왔고 그 중에 (악의적인 사용자로부터 온 것인지는 알 수 없으나) WOL에 해당하는 신호가 있었던 것입니다. 이 현상을 제거하는 방법은 간단합니다. "제어판" / "네트워크 및 공유 센터(Network and Sharing Center)" / "어댑터 설정 변경(Change adapter settings)"에 가서 외부로 연결된 네트워크 어댑터의 속성 창을 열어 "구성(Configure)" 버튼을 누른 후 뜨는 창에서 "고급(Advanced)" 탭으로 들어갑니다. 보이시죠? ^^ 저렇게 "Wake on Magic Packet"이나 "Wake on pattern match"와 같은 설정들이 보이는데요. 이것을 "Disabled"로 설정해 주고 "확인(OK)" 버튼을 눌러주시면 됩니다. 이후로는 컴퓨터가 자동으로 켜지는 그런 무서운 현상은 발생하지 않습니다. ^^ 이렇게까지 했는데도 결혼하신 분들은 퇴근 후에 컴퓨터의 전원이 들어와 있는 경우가 종종 발생할 수 있습니다. 물론 WOL 때문에 그런 것은 아니고, 요즘 컴퓨터들은 키보드나 마우스의 버튼이 눌리면 켜지는 기능이 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와이프-느님에게 물어보시면 됩니다. 혹시 컴퓨터 책상을 치우면서 키보드나 마우스를 건드린 적이... (아니! 이건 너무 무례한 표현이고),,, 누르신 적이 없냐고! 참고로 WOL에 대해 좀 더 알고 싶으신 분들은 다음의 글을 참고하세요. ^^ "Wake on LAN" 기능이란? ; http://windows.microsoft.com/ko-kr/windows7/what-are-wake-on-lan-capabilities Windows 7의 네트워크 장치에 대한 전력 관리 ; https://docs.microsoft.com/en-us/previous-versions/windows/it-pro/windows-7/ee617165(v=ws.10) Power Management for Network Devices in Windows 7 ; https://docs.microsoft.com/en-us/previous-versions/windows/it-pro/windows-7/ee617165(v=ws.10) Full Guide: Using Wake On LAN To Start Windows 7 PC over LAN or Internet ; http://windows7themes.net/full-guide-using-wake-on-lan-to-start-windows-7-pc-over-lan-or-internet.html C#으로도 패킷을 만들어 전송할 수 있습니다. Wake On Lan - Magic Packet ; http://www.depicus.com/wake-on-lan/wake-on-lan-gui.aspx WOL C# 소스 ; http://promaker72.blog.me/50140145591 WOL 기능이 정상적으로 동작하려면 마더보드, 네트워크 어댑터, 어댑터 드라이버 및 컴퓨터 BIOS(Basic Input/Output system)가 모두 WOL 기능을 지원해야 합니다. 좀 오래된 컴퓨터는 이 조건들 중의 하나가 누락될 수 있으므로 WOL이 정상동작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다음 글] 오류 유형: 208. VSS Writer - NTDS 오류[이전 글] Windows: 84. 윈도우 7/8 - 메뉴 항목이 잔상으로 남는 문제 [연관 글] Windows: 89. 컴퓨터를 껐는데도 어느 순간 자동으로 켜진다면? - 두 번째 이야기 [최초 등록일: 1/14/2014] [최종 수정일: 7/17/2021]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15-02-20 09시31분 No hibernate option, only suspend, shutdown and restart ; http://answers.microsoft.com/en-us/windows/forum/windows_8-windows_install/no-hibernate-option-only-suspend-shutdown-and/8b761bb0-1328-4037-81de-29be1d1fa295 정성태 2018-06-04 07시28분 [dd] 감사합니다 [guest]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95정성태12/21/200516818 VC++: 25.1. ODBC 로그를 못 남길 때의 오류 화면113정성태3/13/200517575VS.NET IDE: 24. [VPC] 타이머 동기화 기능 제거110정성태11/14/200516538.NET Framework: 28. VS.NET 2005 / SQL Server 2005 베타 버전 재설치 또는 업그레이드 [1]111정성태3/7/200515373 VS.NET IDE: 28.1. [추가] SQL 2005 / VS.NET 2005 2005-02 CTP 버전이 올라왔네요. [1]112정성태11/14/200516657 VS.NET IDE: 28.2. [추가] VS.NET 2005 2005-02 CTP 버전에서 달라진 점 ( VC++ )127정성태3/29/200514699 VS.NET IDE: 28.4. [추가] SQL 2005 2005-02 CTP 버전에서 달라진 점123정성태3/25/200518581 .NET Framework: 28.3. Uninstalling software without using Add Remove Programs...108정성태3/4/200518024.NET Framework: 27. 시스템 이벤트 로그에 쌓이는 {00020906-0000-0000-C000-000000000046} 보안에러107정성태3/1/200518249COM 개체 관련: 15. COM: Control 유형인 경우, IObjectWithSite 를 구현해도 SetSite/GetSite 가 호출이 안됨106정성태2/28/200517585COM 개체 관련: 14. 탐색기 "처럼" 파일 열기105정성태2/28/200516645.NET Framework: 26. VS.NET 2005 : 설치 프로젝트 - .NET Framework 설치 강제화139정성태11/14/200514833 .NET Framework: 26.1. ^^ 역시, 배려가 되어 있네요. 제가 못 찾은 것이었습니다.104정성태2/27/200517519VS.NET IDE: 23. MSI 설치 중에 GetLocalTime / GetSystemTime API 사용132정성태3/30/200517166 VS.NET IDE: 23.1. [추가]: MSI 설치 동작 원리102정성태2/16/200519795.NET Framework: 25. Verify that you are a member of the 'Debugger Users' group on the server. [2]101정성태2/15/200517549.NET Framework: 24. WMI Win32_NTLogEvent 관리 이벤트를 Windows 2000 에서는 "Access Denied" 가 발생하는 문제1100정성태2/15/200523626VS.NET IDE: 22. 방화벽 환경에서의 WMI 연결을 위한 포트 설정 [2]99정성태2/15/200521591COM 개체 관련: 13. 비동기 Drag & Drop 구현 : IAsyncOperation103정성태2/23/200517823 COM 개체 관련: 13.1. [관련 자료] 그외 Drag & Drop 링크197정성태2/14/200520803VS.NET IDE: 21. 설치된 Platform SDK 버전확인 방법96정성태2/14/200522838기타: 9. http://www.google.com/webhp?complete=1&hl=en 검색에 관해서.95정성태2/14/200532172VS.NET IDE: 20. Win32 특권 정리 [1]94정성태1/29/200523470VC++: 13. VS.NET 2005 VC++ 컴파일러 에러 : cannot instantiate abstract class93정성태1/29/200519350VS.NET IDE: 19. 혹시 VS.NET 2005 Beta2(2004/12 CTP Team System 버전)이 다운이 자주 되나요? [2]92정성태1/29/200518142.NET Framework: 23. Unmanaged 환경에서 Managed DLL에 정의된 메서드 호출 시 오류 확인하는 방법91정성태11/14/200518748VC++: 12. VS.NET 2005 VC++ Debug: Expression: ( (state != ST_INVALID ) )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