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글 보이기/감추기 AD BLOCK 해제 요청 이 글에는 광고가 많이 들어가 있지 않습니다. adblock을 해제하셔도 글을 읽는데 그다지 부담이 없으니 해제를 부탁드립니다.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컴퓨터를 껐는데도 어느 순간 자동으로 켜진다면? 이번에 새롭게 맞춘 컴퓨터는, 우와~~~ 2014년 새로운 PC를 장만했습니다. ^^ ; https://www.sysnet.pe.kr/0/0/471 제 방에다 놨는데요. 요즘 아파트 보면 각 방마다 인터넷 선이 나와 있죠? ^^ 그래서 공유기 거치지 않고 직접 연결시켜 두었는데, 그러다 보니 재미있는 현상이 하나 생겼습니다. ^^ 최대 절전 모드(Hibernate)로 종료시킨 컴퓨터가 어느 순간 비프음과 함께 다시 살아나는 것입니다. 게다가 그 시간 간격도 무작위입니다. 도대체 무슨 문제일까요? ^^ WOL(Wake On LAN) 기능을 아시는 분이라면 금방 눈치채실 수 있을 것 같은데요. 그렇습니다. 직접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었기 때문에 외부에서 LAN 카드로 신호가 들어왔고 그 중에 (악의적인 사용자로부터 온 것인지는 알 수 없으나) WOL에 해당하는 신호가 있었던 것입니다. 이 현상을 제거하는 방법은 간단합니다. "제어판" / "네트워크 및 공유 센터(Network and Sharing Center)" / "어댑터 설정 변경(Change adapter settings)"에 가서 외부로 연결된 네트워크 어댑터의 속성 창을 열어 "구성(Configure)" 버튼을 누른 후 뜨는 창에서 "고급(Advanced)" 탭으로 들어갑니다. 보이시죠? ^^ 저렇게 "Wake on Magic Packet"이나 "Wake on pattern match"와 같은 설정들이 보이는데요. 이것을 "Disabled"로 설정해 주고 "확인(OK)" 버튼을 눌러주시면 됩니다. 이후로는 컴퓨터가 자동으로 켜지는 그런 무서운 현상은 발생하지 않습니다. ^^ 이렇게까지 했는데도 결혼하신 분들은 퇴근 후에 컴퓨터의 전원이 들어와 있는 경우가 종종 발생할 수 있습니다. 물론 WOL 때문에 그런 것은 아니고, 요즘 컴퓨터들은 키보드나 마우스의 버튼이 눌리면 켜지는 기능이 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와이프-느님에게 물어보시면 됩니다. 혹시 컴퓨터 책상을 치우면서 키보드나 마우스를 건드린 적이... (아니! 이건 너무 무례한 표현이고),,, 누르신 적이 없냐고! 참고로 WOL에 대해 좀 더 알고 싶으신 분들은 다음의 글을 참고하세요. ^^ "Wake on LAN" 기능이란? ; http://windows.microsoft.com/ko-kr/windows7/what-are-wake-on-lan-capabilities Windows 7의 네트워크 장치에 대한 전력 관리 ; https://docs.microsoft.com/en-us/previous-versions/windows/it-pro/windows-7/ee617165(v=ws.10) Power Management for Network Devices in Windows 7 ; https://docs.microsoft.com/en-us/previous-versions/windows/it-pro/windows-7/ee617165(v=ws.10) Full Guide: Using Wake On LAN To Start Windows 7 PC over LAN or Internet ; http://windows7themes.net/full-guide-using-wake-on-lan-to-start-windows-7-pc-over-lan-or-internet.html C#으로도 패킷을 만들어 전송할 수 있습니다. Wake On Lan - Magic Packet ; http://www.depicus.com/wake-on-lan/wake-on-lan-gui.aspx WOL C# 소스 ; http://promaker72.blog.me/50140145591 WOL 기능이 정상적으로 동작하려면 마더보드, 네트워크 어댑터, 어댑터 드라이버 및 컴퓨터 BIOS(Basic Input/Output system)가 모두 WOL 기능을 지원해야 합니다. 좀 오래된 컴퓨터는 이 조건들 중의 하나가 누락될 수 있으므로 WOL이 정상동작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다음 글] 오류 유형: 208. VSS Writer - NTDS 오류[이전 글] Windows: 84. 윈도우 7/8 - 메뉴 항목이 잔상으로 남는 문제 [연관 글] Windows: 89. 컴퓨터를 껐는데도 어느 순간 자동으로 켜진다면? - 두 번째 이야기 [최초 등록일: 1/14/2014] [최종 수정일: 7/17/2021]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15-02-20 09시31분 No hibernate option, only suspend, shutdown and restart ; http://answers.microsoft.com/en-us/windows/forum/windows_8-windows_install/no-hibernate-option-only-suspend-shutdown-and/8b761bb0-1328-4037-81de-29be1d1fa295 정성태 2018-06-04 07시28분 [dd] 감사합니다 [guest]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016정성태3/27/202215967.NET Framework: 1183. C# 11에 추가된 ref 필드의 (우회) 구현 방법113015정성태3/26/202217682.NET Framework: 1182. C# 11 - ref struct에 ref 필드를 허용 [1]13014정성태3/23/202215094VC++: 155. CComPtr/CComQIPtr과 Conformance mode 옵션의 충돌 [1]13013정성태3/22/202212883개발 환경 구성: 641. WSL 우분투 인스턴스에 파이썬 2.7 개발 환경 구성하는 방법13012정성태3/21/202212514오류 유형: 803. C# - Local '...' or its members cannot have their address taken and be used inside an anonymous method or lambda expression13011정성태3/21/202215994오류 유형: 802. 윈도우 운영체제에서 웹캠 카메라 인식이 안 되는 경우13010정성태3/21/202212704오류 유형: 801. Oracle.ManagedDataAccess.Core - GetTypes 호출 시 "Could not load file or assembly 'System.DirectoryServices.Protocols...'" 오류13009정성태3/20/202215311개발 환경 구성: 640. docker - ibmcom/db2 컨테이너 실행13008정성태3/19/202214933VS.NET IDE: 176. 비주얼 스튜디오 - 솔루션 탐색기에서 프로젝트를 선택할 때 csproj 파일이 열리지 않도록 만드는 방법13007정성태3/18/202213290.NET Framework: 1181. C# - Oracle.ManagedDataAccess의 Pool 및 그것의 연결 개체 수를 알아내는 방법113006정성태3/17/202215697.NET Framework: 1180.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remuxing.c 예제 포팅13005정성태3/17/202214002오류 유형: 800. C# - System.InvalidOperationException: Late bound operations cannot be performed on fields with types for which Type.ContainsGenericParameters is true.13004정성태3/16/202213520디버깅 기술: 182. windbg - 닷넷 메모리 덤프에서 AppDomain에 걸친 정적(static) 필드 값을 조사하는 방법13003정성태3/15/202213840.NET Framework: 1179. C# - (.NET Framework를 위한) Oracle.ManagedDataAccess 패키지의 성능 카운터 설정 방법13002정성태3/14/202215421.NET Framework: 1178.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http_multiclient.c 예제 포팅13001정성태3/13/202216047.NET Framework: 1177. C# - 닷넷에서 허용하는 메서드의 매개변수와 호출 인자의 최대 수13000정성태3/12/202215000.NET Framework: 1176. C# - Oracle.ManagedDataAccess.Core의 성능 카운터 설정 방법12999정성태3/10/202214823.NET Framework: 1175. Visual Studio - 프로젝트 또는 솔루션의 Clean 작업 시 응용 프로그램에서 생성한 파일을 함께 삭제112998정성태3/10/202213257.NET Framework: 1174. C# - ELEMENT_TYPE_FNPTR 유형의 사용 예12997정성태3/10/202222385오류 유형: 799. Oracle.ManagedDataAccess - "ORA-01882: timezone region not found" 오류가 발생하는 이유12996정성태3/9/202223790VS.NET IDE: 175. Visual Studio - 인텔리센스에서 오버로드 메서드를 키보드로 선택하는 방법12995정성태3/8/202216155.NET Framework: 1173. .NET에서 Producer/Consumer를 구현한 BlockingCollection<T>12994정성태3/8/202215213오류 유형: 798. WinDbg - Failed to load data access module, 0x8000400212993정성태3/4/202214929.NET Framework: 1172. .NET에서 Producer/Consumer를 구현하는 기초 인터페이스 - IProducerConsumerCollection<T>12992정성태3/3/202217917.NET Framework: 1171. C# - BouncyCastle을 사용한 암호화/복호화 예제112991정성태3/2/202215688.NET Framework: 1170.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transcode_aac.c 예제 포팅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