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2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9개 있습니다.)
디버깅 기술: 11. (Managed) Main Method에 Break Point 걸기
; https://www.sysnet.pe.kr/2/0/469

디버깅 기술: 11.1. (Managed) Main Method에 Break Point 걸기 - 내용 보강
; https://www.sysnet.pe.kr/2/0/470

디버깅 기술: 35. windbg - 분석 예: 시작하자마자 비정상 종료하는 프로세스 - NullReferenceException
; https://www.sysnet.pe.kr/2/0/996

디버깅 기술: 37. .NET 4.0 응용 프로그램의 Main 함수에 BreakPoint 걸기
; https://www.sysnet.pe.kr/2/0/1021

디버깅 기술: 59. NT 서비스가 시작하자마자 디버거를 연결시키는 방법 (1)
; https://www.sysnet.pe.kr/2/0/1586

디버깅 기술: 60. NT 서비스가 시작하자마자 디버거를 연결시키는 방법 (2)
; https://www.sysnet.pe.kr/2/0/1587

디버깅 기술: 61. NT 서비스 시작 단계에서 닷넷 메서드에 BP를 걸어 디버깅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598

디버깅 기술: 100. windbg - .NET 4.0 응용 프로그램의 Main 메서드에 Breakpoint 걸기
; https://www.sysnet.pe.kr/2/0/11322

디버깅 기술: 125. WinDbg로 EXE의 EntryPoint에서 BP 거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859




NT 서비스 시작 단계에서 닷넷 메서드에 BP를 걸어 디버깅하는 방법

NT 서비스에 Visual Studio를 연결하는 방법을 알아 봤는데요.

NT 서비스가 시작하자마자 디버거를 연결시키는 방법 (1)
; https://www.sysnet.pe.kr/2/0/1586

NT 서비스가 시작하자마자 디버거를 연결시키는 방법 (2)
; https://www.sysnet.pe.kr/2/0/1587

그렇게 연결한 서비스의 닷넷 메서드에 BP를 걸어보는 것도 마저 해봐야겠지요. ^^ 참고로, 방식은 예전의 Main 메서드 거는 것과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NET 4.0 응용 프로그램의 Main 함수에 BreakPoint 걸기
; https://www.sysnet.pe.kr/2/0/1021

자, 그럼 레지스트리의 "Image File Execution Options"에 windbg로 "SQL Server Reporting Services" 서비스를 디버깅하는 것으로 시작해 볼까요? ^^

일단 디버거가 로드되면,

Microsoft (R) Windows Debugger Version 6.12.0002.633 AMD64
Copyright (c) Microsoft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CommandLine: "C:\Program Files\Microsoft SQL Server\MSRS11.MSSQLSERVER\Reporting Services\ReportServer\bin\ReportingServicesService.exe"
Symbol search path is: SRV*d:\Symbols*http://msdl.microsoft.com/download/symbols
Executable search path is: 
ModLoad: 00000000`00330000 00000000`007ea000   ReportingServicesService.exe
...[생략]...
ModLoad: 00000000`50000000 00000000`50007000   C:\Program Files\Microsoft SQL Server\MSRS11.MSSQLSERVER\Reporting Services\ReportServer\bin\SQLRSOS.dll
...[생략]...
ModLoad: 00007ff8`2c770000 00007ff8`2c796000   C:\Windows\SYSTEM32\DEVOBJ.dll
(1b50.107c): Break instruction exception - code 80000003 (first chance)
ntdll!LdrInitShimEngineDynamic+0x330:
00007ff8`305e7710 cc              int     3

NT 서비스 로드의 제약 시간에 걸리지 않게 mscorlib까지만 빠르게 진행을 시켜줍니다. (아니면, ServicesPipeTimeout을 변경해 주어 시간을 늘리는 것도 좋겠고.)

0:013> sxe ld mscorlib

0:013> g
Profiler Initialize - End!
ModLoad: 00000000`068f0000 00000000`06d4e000   mscorlib.dll
ntdll!NtMapViewOfSection+0xa:
00007ff8`305b67fa c3              ret

이제 sos를 로드하고 BP를 걸어볼까요?

0:013> .loadby sos mscorwks

0:013> !bpmd mscorlib System.Runtime.Remoting.Messaging.StackBuilderSink.SyncProcessMessage
PDB symbol for mscorwks.dll not loaded
Adding pending breakpoints...

위와 같이 메시지가 나오면 pending이라고는 되어 있지만 BP가 안 걸린 것입니다. 따라서 BP가 걸릴 수 있을 정도로 좀 더 진행해야 할 필요가 있는데요. System.Data까지 해보았습니다. (어디까지 할지는 몇번 시행 착오를 거쳐야 합니다.)

0:013> sxe ld system.data
0:013> g

ModLoad: 00000000`1b6d0000 00000000`1b9dc000   System.Data.dll
ntdll!NtMapViewOfSection+0xa:
00007ff8`305b67fa c3              ret

이제서야 BP가 제대로 걸립니다. ^^

0:010> !bpmd mscorlib System.Runtime.Remoting.Messaging.StackBuilderSink.SyncProcessMessage
Found 2 methods...
MethodDesc = 00007ff7c02e9fa8
MethodDesc = 00007ff7c02e9fb0
Adding pending breakpoints...

같은 pending이라도 위와 같이 "Found" 메시지가 나와줘야 BP가 걸린 것입니다. 이렇게 하고 진행을 하면 다음과 같이 해당 메서드의 실행 순간에 멈춥니다.

0:010> g
(c4c.1408): CLR notification exception - code e0444143 (first chance)
JITTED mscorlib!System.Runtime.Remoting.Messaging.StackBuilderSink.SyncProcessMessage(System.Runtime.Remoting.Messaging.IMessage)
Setting breakpoint: bp 00007FF7C0C4DA70 [System.Runtime.Remoting.Messaging.StackBuilderSink.SyncProcessMessage(System.Runtime.Remoting.Messaging.IMessage)]
Breakpoint 0 hit
00007ff7`c0c4da70 53              push    rbx

BP로 걸린 메서드의 MethodDesc 값을 알아내어,

0:010> !name2ee mscorlib!System.Runtime.Remoting.Messaging.StackBuilderSink.SyncProcessMessage
Module: 00007ff7c0172020 (mscorlib.dll)
Token: 0x0000000006004510
MethodDesc: 00007ff7c02e9fa8
Name: System.Runtime.Remoting.Messaging.StackBuilderSink.SyncProcessMessage(System.Runtime.Remoting.Messaging.IMessage)
JITTED Code Address: 00007ff7c0c4da70

sos.dll의 !U 명령어를 통해 역어셈블할 수 있습니다.

0:010> !U 00007ff7c02e9fa8
Normal JIT generated code
System.Runtime.Remoting.Messaging.StackBuilderSink.SyncProcessMessage(System.Runtime.Remoting.Messaging.IMessage)
Begin 00007ff7c0c4da70, size cf
00007ff7`c0c4da70 53              push    rbx
00007ff7`c0c4da71 55              push    rbp
00007ff7`c0c4da72 57              push    rdi
...[생략]...
00007ff7`c0c4db2a e8a1a9225f      call    mscorwks!PreBindAssembly+0x5cad0 (00007ff8`1fe784d0) (JitHelp: CORINFO_HELP_RETHROW)
00007ff7`c0c4db2f 488d05a3ffffff  lea     rax,[00007ff7`c0c4dad9]
00007ff7`c0c4db36 4883c430        add     rsp,30h
00007ff7`c0c4db3a 5f              pop     rdi
00007ff7`c0c4db3b 5d              pop     rbp
00007ff7`c0c4db3c 5b              pop     rbx
00007ff7`c0c4db3d f3c3            rep ret

sos.dll의 !U 명령어말고 windbg 자체의 u(nassemble)도 있는데요. 2개의 출력 결과가 다소 다릅니다. !U로 한 경우에는 내부에 닷넷 메서드 호출들의 표시가 추가되므로 로직 파악이 더 쉽습니다.




참고로, 실패했지만 한 가지 더 설명해 보겠습니다.

위의 방법대로하면 Local SYSTEM 설정 및 데스크톱 보안 문제로 디버깅이 다소 불편한데요. 이것 때문에 아예 VM을 대상으로 커널 디버깅으로 해볼까... 시도를 해봤습니다.

아래의 문서대로 환경 구성을 하고,

Windbg - Hyper-V 윈도우 7 원격 디버깅 구성
; https://www.sysnet.pe.kr/2/0/938

Hyper-V 호스트 컴퓨터에 windbg를 설치해,

Debugging Tools for Windows 독립 설치 버전
; https://www.sysnet.pe.kr/2/0/1447

VM 자체를 커널 디버깅으로 연결을 했습니다.

Microsoft (R) Windows Debugger Version 6.12.0002.633 AMD64
Copyright (c) Microsoft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Opened \\.\pipe\windbg_port
Waiting to reconnect...
Connected to Windows 7 9600 x64 target at (Fri Jan 17 21:04:16.771 2014 (UTC + 9:00)), ptr64 TRUE
Kernel Debugger connection established.
Symbol search path is: SRV*d:\Symbols*http://msdl.microsoft.com/download/symbols
Executable search path is: 
Windows 7 Kernel Version 9600 MP (6 procs) Free x64
Product: Server, suite: TerminalServer SingleUserTS
Built by: 9600.16452.amd64fre.winblue_gdr.131030-1505
Machine Name:
Kernel base = 0xfffff803`0e40f000 PsLoadedModuleList = 0xfffff803`0e6d3990
Debug session time: Fri Jan 17 21:04:12.158 2014 (UTC + 9:00)
System Uptime: 0 days 0:21:53.376
Break instruction exception - code 80000003 (first chance)

nt!DbgBreakPointWithStatus:
fffff803`0e563890 cc              int     3

프로세스 생성에 대해 BP를 잡고,

bp nt!PspInsertProcess

g로 시작해 NT 서비스를 실행하니 services.exe에서 잡혔습니다. 그래서 한번 더 g를 거치고 나서야 정상적으로 ReportingServicesService.exe에 잡혔습니다.

0: kd> g
Breakpoint 1 hit
nt!PspInsertProcess:
fffff803`0e840a78 48895c2420      mov     qword ptr [rsp+20h],rbx

0: kd> kc
Call Site
nt!PspInsertProcess
nt!NtCreateUserProcess

0: kd> !process -1 0 
PROCESS ffffe000013d8940
    SessionId: 0  Cid: 0298    Peb: 7ff7e527e000  ParentCid: 0238
    DirBase: 10b32b000  ObjectTable: ffffc0000270f0c0  HandleCount: <Data Not Accessible>
    Image: services.exe

0: kd> g
Breakpoint 1 hit
nt!PspInsertProcess:
fffff803`0e840a78 48895c2420      mov     qword ptr [rsp+20h],rbx

1: kd> !process -1 0 
PROCESS ffffe00003f44940
    SessionId: 0  Cid: 1100    Peb: 7ff5ff4fa000  ParentCid: 0298
    DirBase: 13a79c000  ObjectTable: ffffc000132ace00  HandleCount: <Data Not Accessible>
    Image: ReportingServicesService.exe

** 이미 실행중인 process라면, 해당 프로세스 정보를 얻어서 유저 모드로 내려갈 수 있습니다.

!process 0 0 ReportingServicesService.exe
.process /i ffffe00003f44940

이후, LoadLibrary에 BP를 거는 방식을 통해 적절한 닷넷 DLL이 로드되었을때

bp /p @$proc kernel32!LoadLibraryW

SOS를 로드하고 !name2ee와 같은 확장 명령어를 실행해 봤지만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았습니다. 제가 잘못한 건지는 알수 없으나 어쨌든 커널 모드의 windbg에서는 sos.dll을 동작시키는 것에 실패했습니다. (혹시 이에 대해 아시는 분은 덧글 좀 부탁드립니다.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7/10/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432정성태1/11/201826306.NET Framework: 726. WPF + Direct2D + SharpDX 출력 C# 예제파일 다운로드2
11431정성태1/11/201824284.NET Framework: 725. C# - 동기 방식이면서 비동기 메서드(awaitable)처럼 구현한 사례 [9]
11430정성태1/10/201827757.NET Framework: 724. WPF + Direct2D 출력 C# 예제 [2]파일 다운로드1
11429정성태1/9/201818471개발 환경 구성: 348. ASP.NET Core 2.1 Preview 버전 적용 방법
11428정성태1/6/201821253개발 환경 구성: 347. WinForm 프로젝트를 WPF 프로젝트 유형으로 변경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427정성태1/5/201819270오류 유형: 445. vcpkg 빌드 오류 - Starting the CLR failed with HRESULT 80040153
11426정성태1/5/201828936오류 유형: 444. curl로 호출할 때 발생하는 오류 정리
11425정성태1/4/201819555개발 환경 구성: 346. ASP.NET Core Web Application을 IIS에서 호스팅하는 방법 (2)
11424정성태1/4/201819128개발 환경 구성: 345. ASP.NET Core 프로젝트를 명령행에서 빌드하는 방법
11423정성태1/3/201837363VC++: 123. 내가 만든 코드보다 OpenCV의 속도가 월등히 빠른 이유 [8]파일 다운로드2
11422정성태1/2/201827955.NET Framework: 723. C# - OpenCvSharp 사용 시 C/C++을 이용한 속도 향상 (for 루프 연산) [4]파일 다운로드1
11421정성태1/2/201819731오류 유형: 443. Visual Studio - nuget configuration is invalid
11420정성태12/30/201723919.NET Framework: 722. C# - Windows 10 운영체제의 데스크톱 앱에서 음성인식(SpeechRecognizer) 사용하는 방법 [3]파일 다운로드1
11419정성태12/23/201726035.NET Framework: 721. WebClient 타입의 ...Async 메서드 호출은 왜 await + 동기 호출 시 hang 현상이 발생할까요? [2]파일 다운로드1
11418정성태12/23/201735799.NET Framework: 720. 비동기 메서드 내에서 await 시 ConfigureAwait 호출 의미 [2]파일 다운로드1
11417정성태12/22/201721662.NET Framework: 719. Task를 포함하는 async 메서드의 동작 방식 [2]
11416정성태12/21/201719311.NET Framework: 718. AsyncTaskMethodBuilder.Create() 메서드 동작 방식 [2]
11415정성태12/21/201721016.NET Framework: 717. Task를 포함하지 않는 async 메서드의 동작 방식 [6]
11414정성태12/21/201728191.NET Framework: 716. async 메서드의 void 반환 타입 사용에 대하여파일 다운로드2
11413정성태12/20/201722468개발 환경 구성: 344. 윈도우 10 - TTS 및 음성 인식을 위한 환경 설정
11412정성태12/20/201725134.NET Framework: 715. C# - Windows 10 운영체제의 데스크톱 앱에서 TTS(SpeechSynthesizer) 사용하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1411정성태12/20/201723412사물인터넷: 15. 라즈베리 파이용 C++ 프로젝트에 SSL Socket 적용
11410정성태12/20/201735694.NET Framework: 714. SSL Socket 예제 - C/C++ 서버, C# 클라이언트 [1]파일 다운로드1
11409정성태12/18/201741670VC++: 122. 오픈 소스 라이브러리를 쉽게 빌드해 주는 "C++ Package Manager for Windows: vcpkg" [7]
11408정성태12/18/201721313.NET Framework: 713. C# - SharpDX + DXGI를 이용한 윈도우 화면 캡처 소스 코드 + Direct2D 출력 + OpenCV (2)파일 다운로드1
11407정성태12/18/201724190.NET Framework: 712. C# - SharpDX + DXGI를 이용한 윈도우 화면 캡처 소스 코드 + Direct2D 출력 + OpenCV [1]파일 다운로드1
...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