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시리즈 글이 10개 있습니다.)
Windows: 63. 윈도우 서버 2012 - Hyper-V의 새로운 기능 Live Migration
; https://www.sysnet.pe.kr/2/0/1356

개발 환경 구성: 211. Hyper-V - Generation 2 유형의 VM 생성 시 ISO 부팅이 안된다면?
; https://www.sysnet.pe.kr/2/0/1603

개발 환경 구성: 236. Hyper-V에 설치한 리눅스 VM의 VHD 크기 늘리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742

개발 환경 구성: 317. Hyper-V 내의 VM에서 다시 Hyper-V를 설치: Nested Virtualization
; https://www.sysnet.pe.kr/2/0/11218

개발 환경 구성: 405. Hyper-V 가상 머신에서 직렬 포트(Serial Port, COM Port) 사용
; https://www.sysnet.pe.kr/2/0/11720

.NET Framework: 798. C# - Hyper-V 가상 머신의 직렬 포트와 연결된 Named Pipe 간의 통신
; https://www.sysnet.pe.kr/2/0/11722

디버깅 기술: 169. Hyper-V의 VM에 대한 메모리 덤프를 뜨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284

개발 환경 구성: 608. Hyper-V 가상 머신에 Console 모드로 로그인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859

개발 환경 구성: 664. Hyper-V에 설치한 리눅스 VM의 VHD 크기 늘리는 방법 - 두 번째 이야기
; https://www.sysnet.pe.kr/2/0/13246

Windows: 259. Hyper-V Generation 1 유형의 VM을 Generation 2 유형으로 바꾸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564




Hyper-V - Generation 2 유형의 VM 생성 시 ISO 부팅이 안된다면?

VM을 Generation 2(정확한 명칭은, "generation 2 VM"이라고 합니다.)로 생성한 경우, 운영체제 설치를 위해 ISO 이미지를 마운트하고 부팅시키면 다음과 같은 초기 화면이 뜨면서 설치를 못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Boot Failed: EFI SCSI Device.
PXE Network Boot using IPv4
......
  PXE-E18: Server response timeout.
Boot Failed: EFI Network.
Boot Failed: EFI SCSI Device.
Boot Failed: EFI SCSI Device.
No Operating System was Loaded. Press a key to retry the reboot sequence...

현재 Generation 2 유형의 VM을 지원하는 운영체제는 다음의 4가지로 제한되어 있다는 것이 그 원인입니다.

  • Windows Server 2012
  • Windows Server 2012 R2
  • 64-bit versions of Windows 8
  • 64-bit versions of Windows 8.1

가령, 32비트 윈도우 8.1용의 ISO 파일로 VM DVD에 마운트한 경우 위에서 예시한 것처럼 부팅 오류가 발생합니다. 왜냐하면 Windows 8.1의 UEFI에는 CSM(Compatibility Support Module)이라 불리는 32비트 구현이 없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어쩔 수 없습니다. Gen 2 VM을 만들고 싶다면 64비트용의 Windows 8/2012 ISO 파일을 사용해야 합니다. 그래도 약간 신경을 쓰셔야 합니다. 해당 ISO 파일로 부팅하는 경우 다음과 같이 초기에 키 입력을 하라는 메시지가 나오는데요.

hyper-v-boot_from_iso_1.png

이 순간을 놓치면 다시 부팅 실패 단계로 넘어가 버립니다. ^^ (그런 경우, reset하고 위의 메시지가 나오는 시점을 기다렸다가 아무 키나 눌러주시면 설치 화면으로 진행할 수 있습니다.)




참고로, Hyper-V Gen2에 대해 좀 더 깊이 알고 싶으시다면 다음의 글이 도움될 것입니다.


위의 글을 읽으면서 Part 9에서 재미있는 것을 알게 되었는데요. 기존 ISO 파일로 Gen2 유형의 VM에 설치할 수 있는 방법이 소개되어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테스트해보다가 마지막 단계에서 제작된 iso 파일을 실수로 날려버려 완료할 수 없었기 때문에 정말 되는지까지는 확인을 못해봤습니다. (어째... 다시 하기 싫군요. ^^;)

일단, 진행된 단계까지만 정리한 것을 공유합니다.

"Installing from ISO"의 내용대로 기존 (Gen2를 지원하지 않는) ISO 파일의 내용을 변경하려면 MagicISO와 같은 상용 도구를 사용하는데, ADK(Windows Assessment and Deployment Kit for Windows 8.1)에 포함된 oscdimg.exe가 다소 불편하지만 비슷한 기능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실제로 Part 9의 내용을 보면 oscdimg.exe를 이용해 cdboot.efi / efisys.bin 파일을 교체해서 다시 ISO 파일을 만드는 과정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잠깐 실습해 볼까요? ^^ 우선, 변경하려는 ISO 이미지를 mount 시켜서 해당 내용을 하드 디스크에 복사합니다. 제 경우에는 다음의 경로에 복사했습니다.

E:\MSDN\Platform\Win8\g2

이제 아래의 경로에 가서,

E:\MSDN\Platform\Win8\g2\efi\microsoft\boot

기존의 cdboot.efi 파일을 이름변경(또는 삭제)하고 또 다른 cdboot_noprompt.efi 파일을 기존의 cdboot.efi 파일명으로 변경해 줍니다. 마찬가지로 efisys.bin에 대해서도 efisys_prompt.bin 파일로 교체한 후 다음과 같은 명령을 통해서 ISO 이미지 파일을 다시 생성합니다.

d:\temp>"C:\Program Files (x86)\Windows Kits\8.1\Assessment and Deployment Kit\Deployment Tools\amd64\Oscdimg\Oscdimg" -m -o -u2 -udfver102 -bootdata:2#p0,e,b"E:\MSDN\Platform\Win8\g2\boot\etfsboot.com"#pEF,e,b"E:\MSDN\Platform\Win8\g2\efi\microsoft\boot\efisys.bin" "E:\MSDN\Platform\Win8\g2" E:\MSDN\Platform\Win81_noprompt.iso

OSCDIMG 2.56 CD-ROM and DVD-ROM Premastering Utility
Copyright (C) Microsoft, 1993-2012. All rights reserved.
Licensed only for producing Microsoft authorized content.


Scanning source tree (1645 files in 500 directories)
Scanning source tree complete (1839 files in 641 directories)

Computing directory information complete

Image file is 2845868032 bytes (before optimization)

Writing 1839 files in 641 directories to E:\MSDN\Platform\Win81_noprompt.iso

100% complete

Storage optimization saved 228 files, 64491520 bytes (3% of image)

After optimization, image file is 2786918400 bytes
Space saved because of embedding, sparseness or optimization = 64491520

Done.

이렇게 해서 만들어진 Win81_noprompt.iso 파일을 VM에 마운트하고 부팅하면... (된다고 합니다.)

참고로, oscdimg.exe파일은 "Windows Assessment and Deployment Kit for Windows 8.1 (otherwise known as the ADK)"에서 구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해당 툴킷을 설치해도 되지만, 기존 PC에 설치된 툴킷으로부터 oscdimg.exe파일만 복사해 와서 실행해도 무방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6/16/2023]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22-11-16 11시09분
[ah...] 키를 안눌러서 오류였다니 충격이네요 ㅠㅠ
[guest]

...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575정성태7/2/201812885Math: 28. GeoGebra 기하 (5) - 선분을 n 등분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574정성태7/2/201811236Math: 27. GeoGebra 기하 (4) - 선분을 n 배 늘이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573정성태7/2/201811002Math: 26. GeoGebra 기하 (3) - 평행선
11572정성태7/1/201810206.NET Framework: 783. C# 컴파일러가 허용하지 않는 (유효한) 코드를 컴파일해 테스트하는 방법
11571정성태7/1/201811650.NET Framework: 782. C# - JIRA에 등록된 Project의 Version 항목 추가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570정성태7/1/201811845Math: 25. GeoGebra 기하 (2) - 임의의 선분과 특정 점을 지나는 수직선파일 다운로드1
11569정성태7/1/201811349Math: 24. GeoGebra 기하 (1) - 수직 이등분선파일 다운로드1
11568정성태7/1/201822617Math: 23. GeoGebra 기하 - 컴퍼스와 자를 이용한 작도 프로그램 [1]
11567정성태6/28/201812112.NET Framework: 781. C# - OpenCvSharp 사용 시 포인터를 이용한 속도 향상파일 다운로드1
11566정성태6/28/201817817.NET Framework: 780. C# - JIRA REST API 사용 정리 (1) Basic 인증 [4]파일 다운로드1
11565정성태6/28/201814406.NET Framework: 779. C# 7.3에서 enum을 boxing 없이 int로 변환하기 - 세 번째 이야기파일 다운로드1
11564정성태6/27/201813051.NET Framework: 778. (Unity가 사용하는) 모노 런타임의 __makeref 오류
11563정성태6/27/201812218개발 환경 구성: 386. .NET Framework Native compiler 프리뷰 버전 사용법 [2]
11562정성태6/26/201811855개발 환경 구성: 385. 레지스트리에 등록된 원격지 스크립트 COM 객체 실행 방법
11561정성태6/26/201822249.NET Framework: 777. UI 요소의 접근은 반드시 그 UI를 만든 스레드에서! [8]파일 다운로드1
11560정성태6/25/201813845.NET Framework: 776. C# 7.3 - 초기화 식에서 변수 사용 가능(expression variables in initializers)파일 다운로드1
11559정성태6/25/201820347개발 환경 구성: 384. 영문 설정의 Windows 10 명령행 창(cmd.exe)의 한글 지원 [6]
11558정성태6/24/201814342.NET Framework: 775. C# 7.3 - unmanaged(blittable) 제네릭 제약파일 다운로드1
11557정성태6/22/201814546.NET Framework: 774. C# - blittable 타입이란?파일 다운로드1
11556정성태6/19/201820878.NET Framework: 773. C# 7.3 - 구조체의 고정 크기를 갖는 fixed 배열 필드에 대한 직접 접근 가능 [1]파일 다운로드1
11555정성태6/18/201813389.NET Framework: 772. C# 7.3 - 사용자 정의 타입에 fixed 적용 가능(Custom fixed)파일 다운로드1
11554정성태6/17/201814436.NET Framework: 771. C# 7.3 - 자동 구현 속성에 특성 적용 가능(Attribute on backing field)
11553정성태6/15/201814850.NET Framework: 770. C# 7.3 - 개선된 메서드 선택 규칙 3가지(Improved overload candidates)파일 다운로드1
11552정성태6/15/201815831.NET Framework: 769. C# 7.3에서 개선된 문법 4개(Support == and != for tuples, Ref Reassignment, Constraints, Stackalloc initializers)파일 다운로드1
11551정성태6/14/201812973개발 환경 구성: 383. BenchmarkDotNet 사용 시 주의 사항
11550정성태6/13/201813872.NET Framework: 768. BenchmarkDotNet으로 Span<T> 성능 측정 [2]
...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