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NET Framework: 413. C# - chromiumembedded 사용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37828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3개 있습니다.)

C# - chromiumembedded 사용

WebKit이 Java Applet과의 충돌을 일으키므로,

C# - WebKit.NET 사용
; https://www.sysnet.pe.kr/2/0/1456

다음 대안을 찾아보았습니다. 오호~~~ 마침 Chromium을 내장 컨트롤로 감싸주는 프로젝트가 있군요. ^^

chromiumembedded 
; http://code.google.com/p/chromiumembedded/

C/C++은 당연히 chromiumembedded 프로젝트 자체가 지원되겠고, 위의 사이트에서 "External Projects"를 보면 .NET, Mono, Delphi, Java, Python에서 추가지원을 하고 있으니 왠지 WebKit보다 더욱 신뢰가 갑니다. ^^

그럼, .NET 에 대한 지원을 한번 볼까요?

CefSharp - Embedded Chromium for .Net
; https://github.com/chillitom/CefSharp#readme

CefSharp-master.zip 소스 코드는 Visual Studio 2012를 지원하지 않으므로 제 경우에는 별도로 브랜치된 다음의 버전을 다운로드를 받았습니다.

.Net binding for the Chromium Embedded Framework - vs2012 branch
; https://github.com/perlun/CefSharp/tree/vs2012

압축해제하고 Visual Studio 2012에 로드하면 다음과 같은 프로젝트들이 보입니다.

  • CefSharp
  • CefSharp.Example
  • CefSharp.Test
  • CefSharp.WinForms
  • CefSharp.WinForms.Example
  • CefSharp.WinForms.Test
  • CefSharp.Wpf
  • CefSharp.Wpf.Example
  • CefSharp.Wpf.Test

이 중에서 테스트 프로젝트 제외하고, WinForm으로 한정지으면 다음과 같이 정리됩니다.

  • CefSharp
  • CefSharp.Example
  • CefSharp.WinForms
  • CefSharp.WinForms.Example

다시 예제 프로젝트를 제외하면 최종적으로 다음과 같이 정리됩니다.

  • CefSharp: C++/CLI, libcerf.dll을 매개로 Chromium과 연동
  • CefSharp.WinForms: C++/CLI, CefSharp 프로젝트를 매개로 윈폼용 WebView 컨트롤 구현

그리고 Chromium 관련 네이티브 DLL 들이 압축 파일의 .\CefSharp-vs2012\Release 폴더에 있는데 이 DLL들이 EXE와 함께 배포되어야 합니다.




자... ^^ 그럼 이제 x86 Windows Forms 프로젝트를 하나 생성시키고, CefSharp의 chromium 관련 네이티브 DLL 들을 프로젝트에 복사하고 Embed시킵니다.

cef_sample_1.png
(주의: locales 폴더 내의 파일들도 "Copy if newer"로 설정)

편의상, 프로젝트 설정에서 "Debug" / "Enable the Visual Studio hosting process"옵션을 해제합니다.

그 후로는 일반적인 컨트롤 사용하는 것과 별반 다르지 않게 제어할 수 있습니다.

using System;
using System.ComponentModel;
using System.Windows.Forms;
using CefSharp;
using CefSharp.WinForms;

namespace WindowsFormsApplication1
{
    public partial class Form1 : Form
    {
        public Form1()
        {
            InitializeComponent();
        }

        WebView _webView;
        BrowserSettings _settings = new BrowserSettings();

        private void Form1_Load(object sender, EventArgs e)
        {
            _webView = new WebView("https://www.sysnet.pe.kr", _settings);
            this.Controls.Add(_webView);
            _webView.Dock = DockStyle.Fill;
        }
    }
}

그럼, 다음과 같이 잘 실행됩니다. ^^

cef_sample_2.png

URL을 전달하는 것은 생성자에서도 가능하지만, 별도로 Load 메소드가 제공되는데요. 주의할 점은 반드시 "초기화"된 후에만 정상적으로 호출할 수 있으므로 다음과 같은 식으로 초기화 되었음을 확인해 주어야 합니다.

if (_webView.IsBrowserInitialized == true)
{
    _webView.Load("https://www.sysnet.pe.kr");
}

첨부된 파일은 위의 예제를 포함합니다.




그 외에, JRE만 설치하면 Java Applet도 잘 동작합니다. Flash의 경우에는 아래의 경로에서 배포되는 "Flash Player 11 for Other Browsers"를 설치하는 경우 역시 잘 동작합니다.

다른 버전의 Adobe Flash Player 설치
; http://get.adobe.com/kr/flashplayer/otherversions/

참고로, Java Applet의 경우 JRE 7과 연동하는 경우 충돌이 발생하는 현상은 여전합니다.




Visual Studio 2013의 경우 CefSharp, CefSharp.WinForms 프로젝트를 컴파일하는 경우 다음과 같은 빌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LNK2038: mismatch detected for '_MSC_VER': value '1600' doesn't match value '1800' in AssemblyInfo.obj

해법은 아래의 글에서처럼,

error LNK2038: mismatch detected for '_MSC_VER': value '1600' doesn't match value '1700' in CppFile1.obj
; http://stackoverflow.com/questions/19575747/error-lnk2038-mismatch-detected-for-msc-ver-value-1600-doesnt-match-valu

개별 프로젝트의 "Platform Toolset" 설정을 이전 v100 버전으로 맞춰주어야 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27/2014]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14-01-29 12시45분
참고로, 완전한 WPF-스러운 WebBrowser 컨트롤을 chrome을 이용해서 만든 오픈 소스가 있군요. ^^

A Real WPF WebBrowser
; http://chriscavanagh.wordpress.com/2009/08/25/a-real-wpf-webbrowser/

WPF Chromium WebBrowser control
; http://wpfchromium.codeplex.com/
정성태
2014-02-06 09시28분
[이성환] 댓글로 주신 오픈 소스는 이름만 Chromium 이고 실제로는 Awesomium 을 랩핑한 거네요.
(그리고 둘 다 같은 프로젝트입니다.)

소스 받아서 이것 저것 해보려고 했더니

VS2012에서 사용이 안 돼서 VS2010으로 돌렸으나 빌드까진 어떻게 했는데

실제 사용하는 부분에서 AwesomiumWrapper.dll 이 로딩이 안 돼서 일단 포기...
(Procmon으로 보면 DLL 자체는 로딩이 되는데 의존성이 빠진 거 같더군요. 근데 뭐가 빠졌는지 찾질 못하겠네요...)


게다가 현재 Awesomium Pro 버전 유료라 이 녀석은 못 쓸 듯 합니다....
($100K 미만은 공짜라는 게 수익인지 매출인지 모르나 제품으로 넣기엔 부적절해 보이네요)

chromium이 MTA 에서 프로세스를 여러 개 만들기 때문에

STA 진입점을 따로 만드는 수고를 해주는 게 불편해서 대안을 찾아봤는데

당분간은 그냥 써야 할 듯 하네요...;;;
[guest]
2014-02-10 12시43분
넵. 같은 프로젝트이지만 소개를 자세히 하려고 링크를 2개 한 것입니다. 그리고 Awesomium은 Chromium의 래퍼에 불과합니다. 문제가 발생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저도 시간나면 한번 해봐야겠군요. ^^
정성태
2014-05-01 06시50분
[이준기] 만드신 예제를 ActiveX control로 만들 수 있을까요? html5로 웹앱을 IE에서 실행시킬 수 있을까 해서요?
[guest]
2014-05-01 02시20분
물론, 만들 수 있겠지요. 이준기님이 ^^ 만들어서 공개해주실 수 있을까요? ^^
정성태
2014-10-22 11시11분
[까뭉] 안녕하세요.
궁금한 점이 있어 질문드립니다.
저는 현재 vs2010으로 테스트 중이며 CefSharp-master.zip을 받아 테스트 하려는 중 dll이 포함되어 있지 않아
별로도 CefSharp.dll, CefSharp.Windorms.dll을 다운받아 사용했습니만.. 구동이 되지 않네요.
올리신 글과 같이 다른 dll로 다운 받아야 하난건가요?
[guest]
2014-10-22 12시26분
@까뭉 CefSharp-master.zip은 소스코드이기 때문에 빌드를 해야 합니다. 별도로 다운로드 받은 CefSharp.dll, CefSharp.Winforms.dll을 다운로드 받았다면 그것 자체로도 사용할 수 없습니다. CefSharp 관련 DLL은 chromium의 래퍼에 불과하기 때문에 반드시 chromium 네이티브 DLL들이 함께 있어야 합니다.
정성태
2014-10-23 01시14분
[까뭉] 답변감사드립니다.
CefSharp-master.zip 파일을 빌드 시 레퍼런스들이 없어 빌드가 되지 않습니다.
관련 네이티브 DLL은 따로 받아야하나요?
위와 비슷한 질문인 것 같아 죄송합니다.
[guest]
2014-10-23 04시22분
[까뭉] 음.. 덧글 수정을 어떻게 하는지를 모르겠네요 ㅜ
dll 파일들은 다른 프로젝트를 받아 구했는대..
다른 dll들은 Debug Relese에 옮겨두고 CefSharp, CefSharp.WinFroms만 참조에 넣고 구동을 하였지만..
_webView = new WebView("http://www.google.co.kr", _settings);
이곳에서 아무 에러도 없이 종료되는 현상이 발생하네요.
지금 현재 검토중입니다..
[guest]
2014-10-27 01시13분
@까뭉 다시 CefSharp 소스코드를 보니 그새 많이 바뀌었군요. ^^ 아래의 글에 간단하게 정리해두었으니 참고하세요.

C# - chromiumembedded 사용 - 두번째 이야기
; http://www.sysnet.pe.kr/2/0/1793
정성태
2021-01-24 09시53분
Introduction to Microsoft Edge WebView2
; https://learn.microsoft.com/en-us/microsoft-edge/webview2/

WebView2에서 Windows Forms 메서드 호출하기 ([.NET Conf 2021 x Seoul] 닷넷 5와 네이티브 프로그래밍)
; https://www.youtube.com/watch?v=GL_mz1Y_-Vk&t=2453
정성태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28정성태8/20/201233191개발 환경 구성: 163. IIS 7 - "MIME Types" 설정 아이콘이 없는 경우
1327정성태8/19/201237940Windows: 58. Windows 8 정식 버전을 설치해 보고... [14]
1326정성태8/19/201224262오류 유형: 160. Visual Studio 2010 Team Explorer 설치 오류
1325정성태8/15/201224286개발 환경 구성: 162. 닷넷 개발자가 컴파일해 본 리눅스
1324정성태8/15/201226315.NET Framework: 332. 함수형 언어의 코드가 그렇게 빠를까? [4]파일 다운로드1
1323정성태8/4/201228098.NET Framework: 331. C# - 클래스 안에 구조체를 포함하는 경우 발생하는 dynamic 키워드의 부작용 [2]
1322정성태8/3/201227724개발 환경 구성: 161. Ubuntu 리눅스의 Hyper-V 지원 (마우스, 네트워크)
1321정성태7/31/201227001개발 환경 구성: 160. Azure - Virtual Machine의 VHD 파일 다운로드 [2]
1320정성태7/30/201228973Math: 10. C# - (타)원 영역의 마우스 클릭 판단파일 다운로드1
1319정성태7/26/201227558개발 환경 구성: 159. Azure - 네트워크 포트 여는 방법 [1]
1317정성태7/24/201226429오류 유형: 159. SpeechRecognitionEngine.SetInputToDefaultAudioDevice 호출 시 System.InvalidOperationException 예외 발생
1316정성태7/18/201284534개발 환경 구성: 158. .NET 응용 프로그램에서 Oracle XE 11g 사용
1315정성태7/17/201229303개발 환경 구성: 157. Azure - Virtual Machine 구성 [2]
1314정성태7/16/201224330개발 환경 구성: 156. Azure - 2개 이상의 서비스 계정을 가지고 있을 때 프로젝트를 배포하는 방법
1313정성태7/16/201236491오류 유형: 158. Hyper-V 설치 후 VM 시작이 안되는 경우
1312정성태7/15/201236310Math: 9. 황금비율 증명
1311정성태7/15/201228987Math: 8. C# - 피보나치 수열의 사각형과 황금 나선(Golden spiral) 그리기파일 다운로드1
1310정성태7/13/201232457Math: 7. C# - 펜타그램(Pentagram) 그리기파일 다운로드1
1309정성태7/13/201230538개발 환경 구성: 155. 윈도우 운영체제에서 기본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압축 해제 방법
1308정성태7/3/201225924.NET Framework: 330. IEnumerator는 언제나 읽기 전용일까?파일 다운로드1
1307정성태6/30/201228197개발 환경 구성: 154. Sysnet, Azure를 만나다. [5]
1306정성태6/29/201228805제니퍼 .NET: 22. 눈으로 확인하는 connectionManagement의 maxconnection 설정값 [4]
1305정성태6/28/201226969오류 유형: 157. IIS 6 - WCF svc 호출 시 404 Not Found 발생
1304정성태6/27/201227786개발 환경 구성: 153. sysnet 첨부 파일을 Azure Storage에 마이그레이션 [3]파일 다운로드1
1303정성태6/26/201227257개발 환경 구성: 152. sysnet DB를 SQL Azure 데이터베이스로 마이그레이션
1302정성태6/25/201229301개발 환경 구성: 151. Azure 웹 사이트에 사용자 도메인 네임 연결하는 방법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