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NET Framework: 418. Thread.Abort 호출의 hang 현상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24084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시리즈 글이 5개 있습니다.)
.NET Framework: 284. Thread 개체의 Interrupt와 Abort의 차이점
; https://www.sysnet.pe.kr/2/0/1205

.NET Framework: 418. Thread.Abort 호출의 hang 현상
; https://www.sysnet.pe.kr/2/0/1617

.NET Framework: 536. Thread.Abort의 스레드 종료 지연
; https://www.sysnet.pe.kr/2/0/10865

.NET Framework: 538. Thread.Abort로 인해 프로세스가 종료되는 현상
; https://www.sysnet.pe.kr/2/0/10867

디버깅 기술: 109. windbg - (x64에서의 인자 값 추적을 이용한) Thread.Abort 시 대상이 되는 스레드를 식별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380




Thread.Abort 호출의 hang 현상

Thread.Abort 문서에 보면,

Thread.Abort Method 
; https://learn.microsoft.com/en-us/dotnet/api/system.threading.thread.abort#System_Threading_Thread_Abort

다음과 같은 내용이 나오는데요.

The thread is not guaranteed to abort immediately, or at all. This situation can occur if a thread does an unbounded amount of computation in the finally blocks that are called as part of the abort procedure, thereby indefinitely delaying the abort. To wait until a thread has aborted, you can call the Join method on the thread after calling the Abort method, but there is no guarantee the wait will end.
...[생략]...

If Abort is called on a managed thread while it is executing unmanaged code, a ThreadAbortException is not thrown until the thread returns to managed code.


실제로 다음의 질문에 재현할 수 있는 코드가 실려 있습니다.

AcceptSocket does not respect a Thread.Abort request [duplicate]
; http://stackoverflow.com/questions/5778267/acceptsocket-does-not-respect-a-thread-abort-request

class Program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Thread thread = new Thread(Listen);
        thread.Start();
        Thread.Sleep(1000); // give it a second to get going
        Console.WriteLine("Aborting listener thread");
        thread.Abort();
        thread.Join();
        Console.WriteLine("Listener thread finished press <enter> to end app.");
        Console.ReadLine();
    }

    static void Listen()
    {
        try
        {
            Console.WriteLine("Starting to listen");
            TcpListener listener = new TcpListener(IPAddress.Any, 4070);
            listener.Start();
            Socket socket = listener.AcceptSocket();
            Console.WriteLine("Connected!");
            return;
        }
        catch (ThreadAbortException exception)
        {
            Console.WriteLine("Abort requested");
        }
    }
}

Socket.Accept는 Win32 API의 accept 메소드로 호출이 전달되고, 그것은 unmanaged 영역의 코드이기 때문에 해당 코드가 반환하기 전까지는 managed 영역으로 넘어오지 않아서 ThreadAbortException이 실행될 기회가 발생하지 않는 것입니다.

근데, 이게 좀 재현이 애매모호합니다. 실제로 제가 해본 결과 hang 현상의 재현이 쉽지 않았습니다. 단지 NT 서비스로 만든 경우 hang이 걸리는 것을 확인했는데 정확한 규칙이 없었습니다.

돌이켜 보면, 실제 개발 경험에서도 hang 현상을 겪었던 것 같기도 합니다. 조금 다른 문제였는데요. 다른 쓰레드의 실행을 중지 하기 위해 Thread.Abort 메소드를 호출했는데, 그 메소드를 호출하는 스레드가 hang 현상에 빠져버린 것입니다. 처음에는 문서에 나온대로 Thread.Join에서 hang이 있는 줄 알았지만, 덤프를 떠 보면 Abort에서 걸려 있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솔직히, 해당 덤프 파일을 남겨두지 않아서 이젠 그것이 정말 원인이었는지 조차 기억이 희미하군요. ^^;)

정리해 보면, Thread.Abort로 인해 대상 스레드가 반드시 종료된다는 보장이 없으며 Thread.Abort를 호출한 메서드는 대상 스레드가 종료될 때까지 기다리는 경우도 있다는 것을 고려해야 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9/28/2024]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21-05-24 11시44분
On replacing Thread.Abort() in .NET 6, .NET 5 and .NET Core
; https://blog.ndepend.com/on-replacing-thread-abort-in-net-6-net-5-and-net-core
정성태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626정성태2/4/201420828Windows: 86. 윈도우 8.1의 Skydrive 내용이 동기화가 안된다면?
1625정성태2/2/201428037.NET Framework: 422. C++과 C#의 Event 공유파일 다운로드1
1624정성태2/2/201423618.NET Framework: 421. ASP.NET에서 Server.CreateObject와 COM Interop 클래스 생성의 차이점
1623정성태2/1/201428350개발 환경 구성: 213. x86/x64별로 나뉘어진 어셈블리를 한 프로젝트에서 참조하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622정성태1/31/201428890VC++: 74. 어떤 것을 쓰면 좋을까요? wvnsprintf, _vsnwprintf_s, StringCbVPrintfW [4]
1621정성태1/31/201420655.NET Framework: 420. 베트남의 11학년(한국의 고2)이 45분만에 푼다는 알고리즘 문제파일 다운로드1
1620정성태1/30/201430510.NET Framework: 419. C# - BigDecimal파일 다운로드1
1619정성태1/30/201427254VS.NET IDE: 85. T4를 이용한 INotifyPropertyChanged 코드 자동 생성파일 다운로드1
1618정성태1/29/201442940Linux: 2. 우분투에서 Active Directory 계정을 이용한 파일 공유
1617정성태1/29/201424084.NET Framework: 418. Thread.Abort 호출의 hang 현상 [1]
1616정성태1/29/201424727디버깅 기술: 63. windbg 디버깅 사례: AppDomain 간의 static 변수 사용으로 인한 crash
1615정성태1/29/201426703.NET Framework: 417. WPF WebBrowser 컨트롤에서 SHDocVw.IWebBrowser2 인터페이스를 구하는 방법 및 순수 WPF 웹 브라우저 컨트롤 소개
1614정성태1/29/201423655.NET Framework: 416. System.Net.Sockets.NetworkStream이 Thread-safe할까?파일 다운로드1
1613정성태1/29/201425723.NET Framework: 415. IIS 작업자 프로세스 재생(recycle)하는 방법 [1]
1612정성태1/29/201422430오류 유형: 219. IIS 500 Internal Server Error - Skydrive에 공유된 경우
1611정성태1/27/201453450.NET Framework: 414. C# - 컴퓨터에서 알아낼 수 있는 고윳값 정리 [3]파일 다운로드1
1610정성태1/26/201437769.NET Framework: 413. C# - chromiumembedded 사용 [11]파일 다운로드1
1609정성태1/26/201420759오류 유형: 218. wsDualHttpBinding + Windows Server 2003인 경우 발생하는 오류
1608정성태1/26/201426073.NET Framework: 412. HttpContext.Current를 통해 이해하는 CallContext와 ExecutionContext [4]
1607정성태1/26/201426031.NET Framework: 411. 유니코드의 "compatibility character"가 뭘까요? [4]파일 다운로드1
1606정성태1/25/201424122오류 유형: 217. 델 베뉴 스타일러스 관련 업데이트 오류 - 5830_Firmware_X267N_WN_1.0.4.1_A01.EXE
1605정성태1/23/201421048개발 환경 구성: 212. Visual Studio Online과 "Monaco" 서비스 연동
1604정성태1/23/201421389오류 유형: 216. 윈도우 서버 백업 - Hyper-V 가상 머신이 백업되지 않는 경우 (2)
1603정성태1/23/201433563개발 환경 구성: 211. Hyper-V - Generation 2 유형의 VM 생성 시 ISO 부팅이 안된다면? [1]
1602정성태1/22/201423649디버깅 기술: 62. windbg - 사용자 모드 원격 디버깅
1601정성태1/22/201427197오류 유형: 215. windbg - Symbol file could not be found. Defaulted to export symbols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