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컴퓨터를 껐는데도 어느 순간 자동으로 켜진다면? - 두 번째 이야기

지난번에 쓴 것이 완전한 해결책이 아니었습니다.

컴퓨터를 껐는데도 어느 순간 자동으로 켜진다면?
; https://www.sysnet.pe.kr/2/0/1589

빈도수는 현저히 줄었지만, 그래도 가끔씩 자고 나면 최대 절전 모드로 종료했던 컴퓨터가 켜져 있는 현상이 발생했습니다. 이벤트 로그를 보면 부팅 시간은 새벽 3시 무렵입니다.

Log Name:      System
Source:        Microsoft-Windows-Power-Troubleshooter
Date:          2014-02-05 오전 2:57:38
Event ID:      1
Task Category: None
Level:         Information
Keywords:      
User:          LOCAL SERVICE
Computer:      thedual
Description:
The system has returned from a low power state.

혹시나 싶어 "제어판" / "관리도구" / "Task Scheduler"에 예약되어 있는 작업들을 모두 검사해 보았습니다. 확인 결과 "Regular Maintenance"가 "Wake the computer to run this task" 옵션이 켜져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computer_auto_bootup_1.png

그 외에도 다음의 작업들이 "Wake ..." 옵션들이 켜져 있었지만 모두 "Disabled" 상태였습니다.

.NET Framework
  - .NET Framework NGEN v4.0.30319 64 Critical: Disabled
  - .NET Framework NGEN v4.0.30319 Critical: Disabled
WindowsUpdate
  - AUSessionConnect: Disabled

그래서 일단 처음에는 "Regular Maintenance" 작업을 수동으로 직접 "Wake the computer to run this task" 옵션을 해제하고 저장했습니다.

이제 되었다고 생각했는데, 얼마 가지 않아서 또 그런 현상이 재현되었습니다. 확인해 보니, "Wake the computer to run this task" 옵션이 자동으로 다시 켜져 있었습니다.




검색해 보면 이와 관련한 글들이 나옵니다.

How can I prevent my computer from waking up accidentally?
; http://superuser.com/questions/494235/how-can-i-prevent-my-computer-from-waking-up-accidentally

위의 글에 보면 waketimers 이야기가 나오는데요. powercfg.exe를 이용해 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C:\Windows\system32>powercfg /waketimers
Timer set by [SERVICE] \Device\HarddiskVolume4\Windows\System32\svchost.exe (SystemEventsBroker) expires at 오전 2:22:31 on 2014-02-06.
  Reason: Windows will execute 'NT TASK\Microsoft\Windows\TaskScheduler\Regular Maintenance' scheduled task that requested waking the computer.

그렇습니다. 동일하게 "Regular Maintenance" 작업을 가리키고 있습니다.

이를 확실히 끄려면 제어판의 전원 옵션에 가서 다음과 같이 "Sleep" 부분의 "Allow wake timers"를 비활성(Disabled)으로 놓아야 합니다.

computer_auto_bootup_2.png

이후로는 "Regular Maintenance" 작업의 "Wake the computer to run this task" 옵션이 더 이상 켜지지 않게 됩니다. 물론, 이후로 1주일이 넘도록 컴퓨터가 다시 켜지는 현상은 한번도 없었습니다.

정리해 보면, 컴퓨터 자동 부팅 상태를 해제하려면 다음의 2가지 작업을 해줘야 합니다.

  1. 어댑터 설정 변경에 가서 "Wake on Magic Packet" 또는 "Wake on pattern match" 설정을 해제
  2. 전원 옵션에 가서 다음과 같이 "Sleep" 부분의 "Allow wake timers"를 비활성(Disabled)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7/10/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958정성태2/6/202221190.NET Framework: 1149. C# - ffmpeg(FFmpeg.AutoGen) - 비디오 프레임 디코딩 [2]파일 다운로드1
12957정성태2/6/202218599개발 환경 구성: 636. ffmpeg.exe를 이용해 planar 포맷의 데이터를 packed 형식으로 변환하는 방법? [2]
12956정성태2/4/202219516.NET Framework: 1148. C# - ffmpeg(FFmpeg.AutoGen) - decoding 과정 [2]파일 다운로드1
12955정성태2/4/202217764개발 환경 구성: 635. 비주얼 스튜디오에서 실행하던 ASP.NET Core (.NET Framework) 응용 프로그램을 명령행에서 실행하는 방법 (2)
12954정성태2/4/202215868VS.NET IDE: 173. 비주얼 스튜디오 - Output 창에 색상이 지정된 출력 결과가 "[39m[22m" 식의 문자로 나오는 문제
12953정성태2/2/202216862Linux: 48. Windows 11 + WSL 우분투 GUI 환경에서 한글 출력
12952정성태2/2/202218327.NET Framework: 1148.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오디오 필터 예제(filter_audio.c)파일 다운로드1
12951정성태2/2/202216745.NET Framework: 1147.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오디오 필터링 예제(filtering_audio.c)파일 다운로드1
12950정성태2/1/202218699.NET Framework: 1146. .NET 6에 추가되지 않은 Generic Math (예: INumber<T>)
12949정성태2/1/202217545.NET Framework: 1145. C# - ffmpeg(FFmpeg.AutoGen) - Codec 정보 열람 및 사용 준비파일 다운로드1
12948정성태1/30/202218577.NET Framework: 1144. C# - ffmpeg(FFmpeg.AutoGen) AVFormatContext를 이용해 ffprobe처럼 정보 출력파일 다운로드1
12947정성태1/30/202218355개발 환경 구성: 634. ffmpeg.exe - 기존 동영상 컨테이너에 다중 스트림을 추가하는 방법
12946정성태1/28/202218254오류 유형: 792. .NET Core - 로컬 개발 중에 docker 호스팅으로 바꾸는 경우 SQL 서버 접근 방법
12945정성태1/28/202218545오류 유형: 791. SQL 서버 로그인 시 localhost는 되고, 127.0.0.1로는 안 되는 문제
12944정성태1/28/202222303.NET Framework: 1143. C# - Entity Framework Core 6 개요
12943정성태1/27/202221290.NET Framework: 1142. .NET 5+로 포팅 시 플랫폼 호환성 경고 메시지(SYSLIB0006, SYSLIB0011, CA1416) [1]파일 다운로드1
12942정성태1/27/202220177.NET Framework: 1141. XmlSerializer와 Dictionary 타입파일 다운로드1
12941정성태1/26/202220800오류 유형: 790. AKS/k8s - pod 상태가 Pending으로 지속되는 경우
12940정성태1/26/202216941오류 유형: 789. AKS에서 hpa에 따른 autoscale 기능이 동작하지 않는다면?
12939정성태1/25/202219833.NET Framework: 1140.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해 MP3 오디오 파일 인코딩/디코딩하는 예제 [1]파일 다운로드1
12938정성태1/24/202222439개발 환경 구성: 633. Docker Desktop + k8s 환경에서 local 이미지를 사용하는 방법
12937정성태1/24/202220696.NET Framework: 1139.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해 오디오(mp2) 인코딩하는 예제(encode_audio.c) [2]파일 다운로드1
12936정성태1/22/202218605.NET Framework: 1138.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해 멀티미디어 파일의 메타데이터를 보여주는 예제(metadata.c)파일 다운로드1
12935정성태1/22/202220867.NET Framework: 1137. ffmpeg의 파일 해시 예제(ffhash.c)를 C#으로 포팅파일 다운로드1
12934정성태1/22/202219994오류 유형: 788. Warning C6262 Function uses '65564' bytes of stack: exceeds /analyze:stacksize '16384'. Consider moving some data to heap. [2]
12933정성태1/21/202220738.NET Framework: 1136.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해 MP2 오디오 파일 디코딩 예제(decode_audio.c)파일 다운로드1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