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NET Framework: 427. C# 컴파일러는 변수를 초기화시키지 않을까요?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18470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3개 있습니다.)

C# 컴파일러는 변수를 초기화시키지 않을까요?

아래와 같은 질문이 있습니다.

기본 질문, 변수 초기화
; https://www.sysnet.pe.kr/3/0/1234

질문을 정리해 볼까요? 다음과 같은 코드가 있는 경우,

using System;

class Program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tring txt;
        Console.WriteLine(txt);
    }
}

C# 컴파일러는 다음과 같은 오류와 함께 컴파일을 중지합니다.

error CS0165: Use of unassigned local variable 'txt'

이 오류를 없애려면 다음과 같이 명시적으로 초기화를 해야만 C# 컴파일러는 정상적으로 어셈블리를 생성합니다.

string txt = null;
Console.WriteLine(txt);

그렇다면 C# 컴파일러는 txt 변수를 null로 초기화시키는 것이 아닐까요? 현상으로만 봐서는 개발자가 명시적으로 하는 듯 합니다.

이를 정확하게 확인하려면 IL 코드 수준으로 내려가야 합니다. 위에서 컴파일된 EXE 파일을 ildasm.exe를 이용해 다음과 같이 IL 코드로 변경합니다.

c:\temp>ildasm ConsoleApplication1.exe /OUT=test.il

그럼, test.il 파일에 Main 코드를 볼 수 있는데요. 개발자가 null로 명시적인 초기화를 하는 코드가 추가된 부분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method private hidebysig static void  Main(string[] args) cil managed
{
    .entrypoint
    // Code size       11 (0xb)
    .maxstack  1
    .locals init ([0] string txt)
    IL_0000:  nop
    IL_0001:  ldnull
    IL_0002:  stloc.0
    IL_0003:  ldloc.0
    IL_0004:  call       void [mscorlib]System.Console::WriteLine(string)
    IL_0009:  nop
    IL_000a:  ret
} // end of method Program::Main

이걸 지우고 컴파일하면 어떻게 될까요? 만약, 닷넷 프로그램이 변수 초기화를 해주지 않는다면 WriteLine의 출력값은 C/C++처럼 쓰레기값이 나오거나 운이 나쁘다면 프로그램이 비정상종료될 것입니다.

일단 제거하고,

.method private hidebysig static void  Main(string[] args) cil managed
{
    .entrypoint
    // Code size       11 (0xb)
    .maxstack  1
    .locals init ([0] string txt)
    IL_0000:  nop
    IL_0003:  ldloc.0
    IL_0004:  call       void [mscorlib]System.Console::WriteLine(string)
    IL_0009:  nop
    IL_000a:  ret
} // end of method Program::Main

컴파일하면,

c:\temp>ilasm test.il /OUT=test.exe

Microsoft (R) .NET Framework IL Assembler.  Version 4.0.30319.33440
Copyright (c) Microsoft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Assembling 'test.il'  to EXE --> 'test.exe'
Source file is ANSI

Assembled method Program::Main
Assembled method Program::.ctor
Creating PE file

Emitting classes:
Class 1:        Program

Emitting fields and methods:
Global
Class 1 Methods: 2;

Emitting events and properties:
Global
Class 1
Writing PE file
Operation completed successfully

아하~~~ 정상적으로 컴파일되는 군요. 게다가 실행시켜 보면 null 출력과 동일하게 화면에는 아무것도 출력되지 않습니다.

즉, C# 컴파일러는 (좀 더 정확하게 말하면 닷넷은) 기본적으로 변수에 대해 초기화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0(null)로 초기화를 해둡니다. 단지, C# 컴파일러는 개발자로 하여금 명시적으로 초기화하지 않은 변수를 사용하고 있다는 것을 알리기 위해 CS0165 오류를 내는 것입니다.

이를 염두에 두고 다음의 코드를 볼까요?

using System;

class Program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tring txt;

        if (Environment.TickCount == 0)
        {
            txt = Environment.TickCount.ToString();
        }

        Console.WriteLine(txt);
    }
}

if 문 안에서 개발자가 txt 변수를 초기화했지만, C# 컴파일러는 프로그램의 실행 경로 상에 여전히 if 내부를 타지 않는 경우 txt가 초기화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이번에도 CS0165 오류를 발생시킵니다.

따라서, 이런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2가지로 고쳐주면 오류가 사라집니다.

string txt = null;

if (Environment.TickCount == 0)
{
    txt = Environment.TickCount.ToString();
}

string txt;

if (Environment.TickCount == 0)
{
    txt = Environment.TickCount.ToString();
}
else
{
    txt = null;
}

물론, 개발자는 txt 변수가 null이라고 가정할 수 있겠지만 분명히 실수로 txt 변수가 초기화되지 않았다는 사실을 모를 수도 있습니다. C# 컴파일러가 어떻게 개발자의 마음을 읽어 그 두가지 상황을 구별할 수 있겠습니까? 대신, 그 두가지 경우에서 C# 컴파일러는 프로그램이 보다 안정적으로 돌아가는 방향으로 선택을 한 것입니다.

만약 제가 .NET 프레임워크 용 언어로 D#을 만든다면... 아마도 변수 초기화를 안했다고 CS0165 오류를 내도록 하지는 않았을 것입니다. 그런 기능까지 신경쓰기에는...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7/10/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072정성태12/9/201910929오류 유형: 583. iisreset 수행 시 "No such interface supported" 오류
12071정성태12/9/201913244오류 유형: 582. 리눅스 디스크 공간 부족 및 safemode 부팅 방법
12070정성태12/9/201915412오류 유형: 581. resize2fs: Bad magic number in super-block while trying to open /dev/.../root
12069정성태12/2/201911763디버깅 기술: 139. windbg - x64 덤프 분석 시 메서드의 인자 또는 로컬 변수의 값을 확인하는 방법
12068정성태11/28/201915113디버깅 기술: 138. windbg와 Win32 API로 알아보는 Windows Heap 정보 분석 [3]파일 다운로드2
12067정성태11/27/201911766디버깅 기술: 137. 실제 사례를 통해 Debug Diagnostics 도구가 생성한 닷넷 웹 응용 프로그램의 성능 장애 보고서 설명 [1]파일 다운로드1
12066정성태11/27/201911636디버깅 기술: 136. windbg - C# PInvoke 호출 시 마샬링을 담당하는 함수 분석 - OracleCommand.ExecuteReader에서 OpsSql.Prepare2 PInvoke 호출 분석
12065정성태11/25/201910501디버깅 기술: 135. windbg - C# PInvoke 호출 시 마샬링을 담당하는 함수 분석파일 다운로드1
12064정성태11/25/201912701오류 유형: 580. HTTP Error 500.0/500.33 - ANCM In-Process Handler Load Failure
12063정성태11/21/201911722디버깅 기술: 134. windbg - RtlReportCriticalFailure로부터 parameters 정보 찾는 방법
12062정성태11/21/201911809디버깅 기술: 133. windbg - CoTaskMemFree/FreeCoTaskMem에서 발생한 덤프 분석 사례 - 두 번째 이야기
12061정성태11/20/201911964Windows: 167. CoTaskMemAlloc/CoTaskMemFree과 윈도우 Heap의 관계
12060정성태11/20/201912339디버깅 기술: 132. windbg/Visual Studio - HeapFree x64의 동작 분석
12059정성태11/20/201911945디버깅 기술: 131. windbg/Visual Studio - HeapFree x86의 동작 분석
12058정성태11/19/201912738디버깅 기술: 130. windbg - CoTaskMemFree/FreeCoTaskMem에서 발생한 덤프 분석 사례
12057정성태11/18/20199874오류 유형: 579. Visual Studio - Memory 창에서 유효한 주소 영역임에도 "Unable to evaluate the expression." 오류 출력
12056정성태11/18/201913693개발 환경 구성: 464. "Microsoft Visual Studio Installer Projects" 프로젝트로 EXE 서명 및 MSI 파일 서명 방법파일 다운로드1
12055정성태11/17/20199427개발 환경 구성: 463. Visual Studio의 Ctrl + Alt + M, 1 (Memory 1) 등의 단축키가 동작하지 않는 경우
12054정성태11/15/201910762.NET Framework: 869. C# - 일부러 GC Heap을 깨뜨려 GC 수행 시 비정상 종료시키는 예제
12053정성태11/15/201912457Windows: 166. 윈도우 10 - 명령행 창(cmd.exe) 속성에 (DotumChe, GulimChe, GungsuhChe 등의) 한글 폰트가 없는 경우
12052정성태11/15/201911556오류 유형: 578. Azure - 일정(schedule)에 등록한 runbook이 1년 후 실행이 안 되는 문제(Reason - The key used is expired.)
12051정성태11/14/201914020개발 환경 구성: 462. 시작하자마자 비정상 종료하는 프로세스의 메모리 덤프 - procdump [1]
12050정성태11/14/201911697Windows: 165. AcLayers의 API 후킹과 FaultTolerantHeap
12049정성태11/13/201911793.NET Framework: 868. (닷넷 프로세스를 대상으로) 디버거 방식이 아닌 CLR Profiler를 이용해 procdump.exe 기능 구현
12048정성태11/12/201912561Windows: 164. GUID 이름의 볼륨에 해당하는 파티션을 찾는 방법
12047정성태11/12/201914407Windows: 163. 안전하게 eject시킨 USB 장치를 물리적인 재연결 없이 다시 인식시키는 방법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