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개발 환경 구성: 219. SOS.dll 확장 모듈을 버전 별로 구하는 방법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25307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2개 있습니다.)

SOS.dll 확장 모듈을 버전 별로 구하는 방법

windbg로 덤프 분석을 하다 보면 다음과 같이 SOS 버전이 맞지 않는다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0:007> !name2ee System.dll!System.Net.Sockets.Socket
The version of SOS does not match the version of CLR you are debugging.  Please load the matching version of SOS for the version of CLR you are debugging.
CLR Version: 4.0.30319.18052
SOS Version: 4.0.30319.34011
Module:      000007fe998206f8
Assembly:    System.dll
Token:       00000000020005bc
MethodTable: <not loaded yet>
EEClass:     <not loaded yet>
Name:        System.Net.Sockets.Socket

해당 덤프가 떠진 응용 프로그램이 구동된 환경의 CLR 버전은 4.0.30319.18052였지만, 현재 windbg에 로드된 sos.dll의 버전은 4.0.30319.34011이기 때문에 저렇게 불평을 하는 것입니다.

사실 위의 경우는 버전이 다르긴 하지만 결과만 놓고 봤을 때는 제대로 정보를 출력하고 있어서 상관없지만, 그래도 혹시나 잘못되었을지 모르는 정보를 기반으로 분석을 하는 것이 그다지 탐탁치는 않습니다.

이때 가장 쉬운 방법은 해당 덤프를 뜬 컴퓨터로부터 다음의 2가지 DLL을 (x86/x64에 맞게) 구하는 것입니다.


간혹 이것이 여의치 않을 때가 있는데요. 금융권의 잇따른 보안 사고 문제로 점점 강화되어 가는 절차때문에 실서버로부터 DLL 하나 요청하는 데 며칠씩 걸리는 일이 바로 그런 경우일 것입니다.

이때는 직접 구하는 것이 더 빠릅니다. 방법은, 결국 sos.dll의 버전이 바뀌는 요인이 보안 패치 때문이므로 다음의 사이트에서 sos.dll의 버전에 따른 보안 패치를 알아내면 됩니다.

sos.dll
; http://www.mskbfiles.com/sos.dll.php

제 경우에는 4.0.30319.18052가 필요한데, KB2833957 패치가 담고 있던 sos.dll이 바로 그 버전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다음의 마이크로소프트 공식 사이트로부터 패치를 다운로드 받으면,

Windows 7 서비스 팩 1에 대한 Microsoft .NET Framework 4.5 보안 업데이트 및 Windows Server 2008 R2 서비스 팩 1, Windows Vista 서비스 팩 2 및 Windows Server 2008 서비스 팩 2 보안 업데이트
; http://www.microsoft.com/ko-kr/download/details.aspx?id=39392

NDP45-KB2833957-x86.exe, NDP45-KB2833957-x64.exe 파일을 구할 수 있는데요. 어차피 x64 버전에 x86까지 모두 포함되어 있으므로 NDP45-KB2833957-x64.exe 파일 하나만 다운로드 하면 됩니다.

근데, 이 EXE 파일로부터 압축을 해제하는 방법을 못찾겠군요. ^^; 그래서 일단 실행시키고 Process Explorer를 통해 압축된 임시 폴더를 찾아낼 수 있었습니다.

get_sos_dll.png

결국 그 안에서 NDP45-KB2833957.msp란 파일을 구했고, 이는 다음의 글에 소스코드까지 공개된 msix.exe라는 도구를 이용해서 압축을 해제할 수 있습니다.

Patch Files Extractor
; https://devblogs.microsoft.com/setup/patch-files-extractor/

How to extract msu/msp/msi/exe files from the command line
; http://www.windowswiki.info/2009/02/19/how-to-extract-msumspmsiexe-files-from-the-command-line/

방법은 이렇습니다.

msix patch.msp /out C:<target_dir>

근데, 저 글에 나온데로 실행해 보니 다음과 같이 에러가 발생합니다.

D:\temp>msix NDP45-KB2833957.msp /out c:d:\tem
c:d:\tem\RTM.1
Error: failed to save storage 'RTM.1'.

가만보니, 설명이 잘못된듯 합니다. /out 옵션에 "c:"로 다시 옵션을 주는 것이 아니라 그것이 경로로 포함된 것이었습니다. ^^ 어쨌든 이를 고려해서 명령을 주면 압축을 잘 해제합니다. (참고로, 폴더는 미리 만들어져 있어야 합니다.)

D:\temp>msix NDP45-KB2833957.msp /out c:\temp
c:\temp\RTM.1
c:\temp\#RTM.1
c:\temp\RTM.1.1
c:\temp\#RTM.1.1
c:\temp\GDRSecurity Update.cab
c:\temp\LDRSecurity Update.cab

마지막으로 "GDRSecurity Update.cab" 파일의 압축을 해제하면 그 안에 확장자가 생략된 sos 파일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다시 확장자를 DLL로 부여하면 끝~~~!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5/18/2023]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14-04-17 01시59분
더 공식적인 방법이 있었군요. ^^

Obtaining Correct Mscordacwks.dll for .NET WinDbg’ing
; https://chentiangemalc.wordpress.com/2014/04/16/obtaining-correct-mscordacwks-dll-for-net-windbging/
정성태
2014-09-24 04시17분
[교강용] 7zip을 쓰면 그냥 곧바로 압축을 풀 수 있습니다. MS에서 다운받은 보안패치 EXE를 이걸로 풀고, 그 안에 있는 msp를 또 풀고, 다시 그 안에 있는 큰 파일(보통 GDRxxx 나 LDRxxxx)을 강제로 풀면 파일이 그냥 들어 있습니다. 7zip이 MS보안패치에 사용된 SFX, MSP, CAB 압축형식을 다 인식하기 때문입니다. 비슷한 접근을 했던 사람으로 살짝 편한 방법이 있어 댓글 달아봅니다. 물론 이걸로 안되는 보안패치도 존재할지 모르지만 제 경우에는 대개 잘 되었습니다.
[guest]
2014-09-24 12시23분
7zip에 그런 기능이 있는지 몰랐습니다. 좋은 정보 감사드립니다. ^^
정성태
2018-07-30 05시58분
혹시나 해보니, /extract 옵션으로 압축 해제가 됩니다.

c:\temp>NDP40-KB2729449-x64.exe /extract:c:\temp
정성태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062정성태11/21/201919028디버깅 기술: 133. windbg - CoTaskMemFree/FreeCoTaskMem에서 발생한 덤프 분석 사례 - 두 번째 이야기
12061정성태11/20/201919447Windows: 167. CoTaskMemAlloc/CoTaskMemFree과 윈도우 Heap의 관계
12060정성태11/20/201921088디버깅 기술: 132. windbg/Visual Studio - HeapFree x64의 동작 분석
12059정성태11/20/201920368디버깅 기술: 131. windbg/Visual Studio - HeapFree x86의 동작 분석
12058정성태11/19/201920936디버깅 기술: 130. windbg - CoTaskMemFree/FreeCoTaskMem에서 발생한 덤프 분석 사례
12057정성태11/18/201916773오류 유형: 579. Visual Studio - Memory 창에서 유효한 주소 영역임에도 "Unable to evaluate the expression." 오류 출력
12056정성태11/18/201922468개발 환경 구성: 464. "Microsoft Visual Studio Installer Projects" 프로젝트로 EXE 서명 및 MSI 파일 서명 방법파일 다운로드1
12055정성태11/17/201916609개발 환경 구성: 463. Visual Studio의 Ctrl + Alt + M, 1 (Memory 1) 등의 단축키가 동작하지 않는 경우
12054정성태11/15/201918265.NET Framework: 869. C# - 일부러 GC Heap을 깨뜨려 GC 수행 시 비정상 종료시키는 예제
12053정성태11/15/201919854Windows: 166. 윈도우 10 - 명령행 창(cmd.exe) 속성에 (DotumChe, GulimChe, GungsuhChe 등의) 한글 폰트가 없는 경우
12052정성태11/15/201918687오류 유형: 578. Azure - 일정(schedule)에 등록한 runbook이 1년 후 실행이 안 되는 문제(Reason - The key used is expired.)
12051정성태11/14/201922238개발 환경 구성: 462. 시작하자마자 비정상 종료하는 프로세스의 메모리 덤프 - procdump [1]
12050정성태11/14/201919810Windows: 165. AcLayers의 API 후킹과 FaultTolerantHeap
12049정성태11/13/201920265.NET Framework: 868. (닷넷 프로세스를 대상으로) 디버거 방식이 아닌 CLR Profiler를 이용해 procdump.exe 기능 구현
12048정성태11/12/201920386Windows: 164. GUID 이름의 볼륨에 해당하는 파티션을 찾는 방법
12047정성태11/12/201922727Windows: 163. 안전하게 eject시킨 USB 장치를 물리적인 재연결 없이 다시 인식시키는 방법
12046정성태10/29/201917235오류 유형: 577. windbg - The call to LoadLibrary(...\sos.dll) failed, Win32 error 0n193
12045정성태10/27/201917169오류 유형: 576. mstest.exe 실행 시 "Visual Studio Enterprise is required to execute the test." 오류 - 두 번째 이야기
12044정성태10/27/201916756오류 유형: 575. mstest.exe - System.Resources.MissingSatelliteAssemblyException: The satellite assembly named "Microsoft.VisualStudio.ProductKeyDialog.resources.dll, ..."
12043정성태10/27/201918313오류 유형: 574. Windows 10 설치 시 오류 - 0xC1900101 - 0x4001E
12042정성태10/26/201918015오류 유형: 573. OneDrive 하위에 위치한 Documents, Desktop 폴더에 대한 권한 변경 시 "Unable to display current owner"
12041정성태10/23/201918951오류 유형: 572. mstest.exe - The load test results database could not be opened.
12040정성태10/23/201919360오류 유형: 571. Unhandled Exception: System.Net.Mail.SmtpException: Transaction failed. The server response was: 5.2.0 STOREDRV.Submission.Exception:SendAsDeniedException.MapiExceptionSendAsDenied
12039정성태10/22/201916836스크립트: 16. cmd.exe의 for 문에서는 ERRORLEVEL이 설정되지 않는 문제
12038정성태10/17/201916910오류 유형: 570. SQL Server 2019 RC1 - SQL Client Connectivity SDK 설치 오류
12037정성태10/15/201924423.NET Framework: 867. C# - Encoding.Default 값을 바꿀 수 있을까요?파일 다운로드1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