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윈도우 8.1에서 윈도우 체험 지수(Windows Experience Index, WEI) 확인 방법

일단, UI 상에서는 윈도우 체험 지수가 없어진 것이 맞습니다. ^^

윈도우 8.1에서 없어진 기능 8.1가지
; http://www.itworld.co.kr/news/84360

하지만, 아래의 글에서 명령행으로 실행하는 방법을 소개하고 있습니다.

Calculate your WEI (Windows Experience Index) under Windows 8.1
; http://feeds.hanselman.com/~/64766007/0/scotthanselman~Calculate-your-WEI-Windows-Experience-Index-under-Windows.aspx

방법은 간단합니다. 우선, 관리자 권한의 명령행 창을 하나 띄우고 다음과 같이 "winsat prepop" 명령을 실행해 줍니다.

C:\WINDOWS\system32>winsat prepop
Windows System Assessment Tool
> Running: Feature Enumeration ''
...[생략]...
> Uniproc CPU Vista Compression                260.35 MB/s
> Uniproc CPU SHA1 Hash                        455.45 MB/s
> Memory Performance                           18023.25 MB/s
> Dshow Video Encode Time                      1.28142 s
> Disk  Sequential 64.0 Read                   511.82 MB/s          8.1
> Disk  Random 16.0 Read                       368.98 MB/s          8.1
> Total Run Time 00:01:34.00

약간의 시간이 흐른 후 테스트가 완료되면 "Windows Powershell"을 실행시켜 "Get-WmiObject -class Win32_WinSAT" 명령을 실행하면 WEI 수치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PS C:\WINDOWS\system32> Get-WmiObject -class Win32_WinSAT

__GENUS               : 2
__CLASS               : Win32_WinSAT
__SUPERCLASS          :
__DYNASTY             : Win32_WinSAT
__RELPATH             : Win32_WinSAT.TimeTaken="MostRecentAssessment"
__PROPERTY_COUNT      : 8
__DERIVATION          : {}
__SERVER              : SAMSUNGNOTE
__NAMESPACE           : root\cimv2
__PATH                : \\SAMSUNGNOTE\root\cimv2:Win32_WinSAT.TimeTaken="MostRecentAssessment"
CPUScore              : 7.7
D3DScore              : 4.9
DiskScore             : 8.1
GraphicsScore         : 5.9
MemoryScore           : 7.7
TimeTaken             : MostRecentAssessment
WinSATAssessmentState : 1
WinSPRLevel           : 4.9
PSComputerName        : SAMSUNGNOTE

위의 컴퓨터 수치는 회사에서 사용하고 있는 "삼성 센스 NT700Z5C-S88 크로노스" 노트북의 성능입니다. 가장 높은 8.1을 기록한 DiskScore는 SSD로 교체했기 때문에 높게 나온 것이고, 가장 낮은 4.9의 D3DScore는 아무래도 모바일 GPU라서 그런 것 같습니다.

반면, 집에서 쓰는 데스크톱 컴퓨터는 다음의 수치를 보이고 있습니다.

PS C:\WINDOWS\system32> Get-WmiObject -class Win32_WinSAT

__GENUS               : 2
__CLASS               : Win32_WinSAT
__SUPERCLASS          :
__DYNASTY             : Win32_WinSAT
__RELPATH             : Win32_WinSAT.TimeTaken="MostRecentAssessment"
__PROPERTY_COUNT      : 8
__DERIVATION          : {}
__SERVER              : HOMEDESKTOP
__NAMESPACE           : root\cimv2
__PATH                : \\HOMEDESKTOP\root\cimv2:Win32_WinSAT.TimeTaken="MostRecentAssessment"
CPUScore              : 8
D3DScore              : 8.2
DiskScore             : 8.1
GraphicsScore         : 8.2
MemoryScore           : 8
TimeTaken             : MostRecentAssessment
WinSATAssessmentState : 1
WinSPRLevel           : 8
PSComputerName        : HOMEDESKTOP

역시 데스크톱 CPU/GPU라서 8점대를 넘고 DiskScore의 경우 크로노스 노트북과 같은 제품의 SSD라서 점수가 동일합니다.

마지막으로, Dell Venue 8 Pro의 WEI 수치입니다.

__GENUS               : 2
__CLASS               : Win32_WinSAT
__SUPERCLASS          :
__DYNASTY             : Win32_WinSAT
__RELPATH             : Win32_WinSAT.TimeTaken="MostRecentAssessment"
__PROPERTY_COUNT      : 8
__DERIVATION          : {}
__SERVER              : VENUETAB
__NAMESPACE           : root\cimv2
__PATH                : \\VENUETAB\root\cimv2:Win32_WinSAT.TimeTaken="MostRecentAssessment"
CPUScore              : 6.3
D3DScore              : 4.1
DiskScore             : 6.4
GraphicsScore         : 4.1
MemoryScore           : 5.5
TimeTaken             : MostRecentAssessment
WinSATAssessmentState : 1
WinSPRLevel           : 4.1
PSComputerName        : VENUETAB

사실, WEI 수치가 그다지 큰 의미가 있는 것은 아니지만, 역시 수치로 비교할 수 있으니 ^^ 재미있군요.




참고로, "winsat prepop" 명령을 실행하고 파워쉘에서 결과가 안 나오는 경우도 있습니다.

Windows PowerShell
Copyright (C) 2013 Microsoft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PS C:\WINDOWS\system32> Get-WmiObject -class Win32_WinSAT


__GENUS               : 2
__CLASS               : Win32_WinSAT
__SUPERCLASS          :
__DYNASTY             : Win32_WinSAT
__RELPATH             : Win32_WinSAT.TimeTaken="MostRecentAssessment"
__PROPERTY_COUNT      : 8
__DERIVATION          : {}
__SERVER              : TESTMACHINE
__NAMESPACE           : root\cimv2
__PATH                : \\TESTMACHINE\root\cimv2:Win32_WinSAT.TimeTaken="MostRecentAssessment"
CPUScore              : 0
D3DScore              : 0
DiskScore             : 0
GraphicsScore         : 0
MemoryScore           : 0
TimeTaken             : MostRecentAssessment
WinSATAssessmentState : 3
WinSPRLevel           : 0
PSComputerName        : TESTMACHINE

위의 경우 "WinSATAssessmentState : 3" 값을 볼 수 있는데요. 문서에 따르면,

WINSAT_ASSESSMENT_STATE enumeration
; https://docs.microsoft.com/en-us/windows/win32/api/winsatcominterfacei/ne-winsatcominterfacei-winsat_assessment_state

다음의 의미를 지니고 있습니다.

INSAT_ASSESSMENT_STATE_NOT_AVAILABLE
The assessment data is not available because a formal WinSAT assessment has not been run on this computer.

즉, 이 컴퓨터에서 WinSAT 평가가 실행된 적이 없어서 데이터가 없다는 것인데요. 원래 "winsat prepop" 명령을 실행하면 그 결과가 DataStore 폴더에 각각의 xml 파일로 저장됩니다.

C:\Windows\Performance\WinSAT\DataStore

0014-05-27 16.17.03.627 Cpu.Assessment (Prepop).WinSAT.xml
0014-05-27 16.17.03.627 Disk.Assessment (Prepop).WinSAT.xml
0014-05-27 16.17.03.627 DWM.Assessment (Prepop).WinSAT.xml
0014-05-27 16.17.03.627 Graphics3D.Assessment (Prepop).WinSAT.xml
0014-05-27 16.17.03.627 GraphicsMedia.Assessment (Prepop).WinSAT.xml
0014-05-27 16.17.03.627 Mem.Assessment (Prepop).WinSAT.xml

사실, 이렇게 해서 얻은 XML 파일로부터도 WEI 수치를 볼 수 있는데요. 각각의 xml 파일을 열면 다음과 같은 식의 수치 데이터가 있기 때문입니다.

<CpuScore>7.8</CpuScore>
<DiskScore>7.75</DiskScore>
<GraphicsScore>5.9</GraphicsScore>
<MemoryScore>7.8</MemoryScore>
<CPUSubAggScore>7.6</CPUSubAggScore>
<VideoEncodeScore>7.9</VideoEncodeScore>
<GamingScore>4.8</GamingScore>

그래도 이렇게 일일이 찾아서 보는 것이 귀찮으니까, 방법을 찾아 보았는데요. "winsat /?" 도움말에 보니까 "winsat formal" 기능이 눈에 띠어 실행해 보았는데,

C:\WINDOWS\system32>winsat formal
Windows System Assessment Tool
> Running the Formal Assessment
...[생략]...
> Disk  Sequential 64.0 Read                   492.83 MB/s          8.1
> Disk  Random 16.0 Read                       367.98 MB/s          8.1
> Total Run Time 00:02:29.34

아하~~~ 이 명령어를 실행하고 나서 "Get-WmiObject -class Win32_WinSAT"을 실행하니 정상적으로 결과가 나왔습니다. ^^ "winsat prepop" 명령어의 결과와 비교해 보니, "winsat formal"의 경우 DataStore에 생성된 파일이 1개 더 많은 정도였습니다. 아마도 그 파일이 없어서 파워 쉘에서는 결과가 안 나온 것 같습니다.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7/17/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086정성태12/20/201920957디버깅 기술: 144. windbg - Marshal.FreeHGlobal에서 발생한 덤프 분석 사례
12085정성태12/20/201918935오류 유형: 586. iisreset - The data is invalid. (2147942413, 8007000d) 오류 발생 - 두 번째 이야기 [1]
12084정성태12/19/201919382디버깅 기술: 143. windbg/sos - Hashtable의 buckets 배열 내용을 모두 덤프하는 방법 (do_hashtable.py) [1]
12083정성태12/17/201922335Linux: 27. linux - lldb를 이용한 .NET Core 응용 프로그램의 메모리 덤프 분석 방법 [2]
12082정성태12/17/201920573오류 유형: 585. lsof: WARNING: can't stat() fuse.gvfsd-fuse file system
12081정성태12/16/201922435개발 환경 구성: 465. 로컬 PC에서 개발 중인 ASP.NET Core 웹 응용 프로그램을 다른 PC에서도 접근하는 방법 [5]
12080정성태12/16/201919600.NET Framework: 870. C# - 프로세스의 모든 핸들을 열람
12079정성태12/13/201921487오류 유형: 584. 원격 데스크톱(rdp) 환경에서 다중 또는 고용량 파일 복사 시 "Unspecified error" 오류 발생
12078정성태12/13/201921275Linux: 26. .NET Core 응용 프로그램을 위한 메모리 덤프 방법 [3]
12077정성태12/13/201920379Linux: 25. 자주 실행할 명령어 또는 초기 환경을 "~/.bashrc" 파일에 등록
12076정성태12/12/201918898디버깅 기술: 142. Linux - lldb 환경에서 sos 확장 명령어를 이용한 닷넷 프로세스 디버깅 - 배포 방법에 따른 차이
12075정성태12/11/201919715디버깅 기술: 141. Linux - lldb 환경에서 sos 확장 명령어를 이용한 닷넷 프로세스 디버깅
12074정성태12/10/201919397디버깅 기술: 140. windbg/Visual Studio - 값이 변경된 경우를 위한 정지점(BP) 설정(Data Breakpoint)
12073정성태12/10/201920899Linux: 24. Linux/C# - 실행 파일이 아닌 스크립트 형식의 명령어를 Process.Start로 실행하는 방법
12072정성태12/9/201917679오류 유형: 583. iisreset 수행 시 "No such interface supported" 오류
12071정성태12/9/201921204오류 유형: 582. 리눅스 디스크 공간 부족 및 safemode 부팅 방법
12070정성태12/9/201923127오류 유형: 581. resize2fs: Bad magic number in super-block while trying to open /dev/.../root
12069정성태12/2/201919510디버깅 기술: 139. windbg - x64 덤프 분석 시 메서드의 인자 또는 로컬 변수의 값을 확인하는 방법
12068정성태11/28/201928185디버깅 기술: 138. windbg와 Win32 API로 알아보는 Windows Heap 정보 분석 [3]파일 다운로드2
12067정성태11/27/201919588디버깅 기술: 137. 실제 사례를 통해 Debug Diagnostics 도구가 생성한 닷넷 웹 응용 프로그램의 성능 장애 보고서 설명 [1]파일 다운로드1
12066정성태11/27/201919261디버깅 기술: 136. windbg - C# PInvoke 호출 시 마샬링을 담당하는 함수 분석 - OracleCommand.ExecuteReader에서 OpsSql.Prepare2 PInvoke 호출 분석
12065정성태11/25/201917560디버깅 기술: 135. windbg - C# PInvoke 호출 시 마샬링을 담당하는 함수 분석파일 다운로드1
12064정성태11/25/201920493오류 유형: 580. HTTP Error 500.0/500.33 - ANCM In-Process Handler Load Failure
12063정성태11/21/201919424디버깅 기술: 134. windbg - RtlReportCriticalFailure로부터 parameters 정보 찾는 방법
12062정성태11/21/201918905디버깅 기술: 133. windbg - CoTaskMemFree/FreeCoTaskMem에서 발생한 덤프 분석 사례 - 두 번째 이야기
12061정성태11/20/201919351Windows: 167. CoTaskMemAlloc/CoTaskMemFree과 윈도우 Heap의 관계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