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윈도우 8 - 그림 암호를 이용해 로그인 시 지연 현상을 해결하는 방법

아래와 같은 질문이 있었습니다.

windows embedded 8.1 industry pro 라는 버전의 윈도우를 사용하고있는 사용자입니다. 
; http://social.msdn.microsoft.com/Forums/ko-KR/c30a3765-bf0c-48fe-8df7-76344c1d24d2/windows-embedded-81-industry-pro-?forum=vistako

실은 ^^ 저도 이와 동일한 현상을 겪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위의 글을 읽기 전까지는 그냥 그러려니 했는데요. 갑자기 저 질문을 읽으면서... 왜일까???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개인적으로 그다지 불편하지는 않았었습니다. 거의 항상 '최대절전모드(hibernation)'로 부팅했기 때문인데, 이때는 그런 지연 현상이 없었습니다.)

그래서 웹 검색을 좀 해보았는데요.

Windows 8: Huge delay after logging in
; http://blog.fabse.net/2013/01/17/windows-8-huge-delay-after-logging-in/

위의 블로거는 "Windows Phone 8 emulator"와 함께 설치되는 가상 네트워크 장치를 지움으로써 해결했다고 합니다. 저도 물론, 해당 장치가 있었지만 제 경우에는 이 문제는 아니었습니다.

좀 더 검색해 보니, 다음의 글이 나오는데요.

Delay between entering of PIN or Picture Password and the welcome symbol being displayed. 
; http://answers.microsoft.com/en-us/windows/forum/windows8_1-performance/delay-between-entering-of-pin-or-picture-password/68b762f1-2035-498b-bffd-7b5e68a42911

제 경우에 위의 답변 중 3번 항목이 해결책이었습니다.

Method 3: Check the status of the “Credential Manager” service and its dependency services from the “Services” Console.


실제로 서비스 관리자에 가서 보니, "Credential Manager" NT 서비스의 상태가 "Manual"로 되어 있었습니다. 그래서 이를 "자동(Automatic)"으로 변경해 주었는데,

picture_password_login_delay_1.png

이후로 그림 암호를 이용했을 때 대기하는 시간 없이 곧바로 로그인이 완료되었습니다.

대충, 생각해 보면... 아마도 '그림 암호'를 이용하는 경우 "Credential Manager" 서비스가 시작될 때까지 '인증'을 하지 못하고 대기하는 듯합니다. 이 때문에 "수동(Manual)"이었던 "Credential Manager"가 시작될 때까지 대기하는 현상이 발생하는 것이고!

그러고 보니, '최대절전모드'로부터 부팅 시에는 왜 그런 대기 현상이 발생하지 않았는지 이해가 되는군요. 이미 "Credential Manager"가 시작 상태였기 때문에 곧바로 인증이 된 것입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7/10/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20-09-21 11시32분
이상하군요, 오랜만에 설치한 윈도우 10에 그림 암호 기능을 아예 선택할 수가 없는 상태입니다. 이를 활성화하려면 secpol.msc를 통해 정책 변경을 해야 하는데, 자세한 사항은 다음의 글을 참고하세요.

Windows 10 picture password not appearing on sign in screen
; https://answers.microsoft.com/en-us/windows/forum/all/windows-10-picture-password-not-appearing-on-sign/489d17e0-865e-41d4-81d6-0f33e4d652a7

--------------------------------------

Why did Windows 7, for a few months, log on slower if you have a solid color background?
; https://devblogs.microsoft.com/oldnewthing/20250428-00/?p=111121

윈도우는 부팅 시 데스크탑 준비를 최대 30초까지 기다린다고 합니다. 달리 말하면 어느 특정 구성 요소의 준비가 안 된 경우 30초 대기를 하게 된다는 것을 의미하는데요, 재미있게도 단색 배경을 선택한 경우 wall paper 완료를 알리는 코드가 생략돼 그런 현상이 발생했다고 합니다. 또한 "Hide desktop icons" 그룹 정책을 적용한 경우에도 유사한 30초 대기 문제가 동일한 사유로 인해 발생했다고.
정성태

...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
NoWriterDateCnt.TitleFile(s)
2904정성태4/27/201527102DDK: 6. ZwTerminateProcess로 프로세스를 종료하는 Device Driver 프로그램 [2]파일 다운로드1
2903정성태4/20/201520559Windows: 110. (무료) 마이크로소프트 온라인 강좌 소개 - Azure에서 제공하는 계정 관리 서비스
2902정성태4/16/201526525Windows: 109. (무료) 마이크로소프트 온라인 강좌 소개 - Active Directory 이해
2901정성태4/15/201523129Windows: 108. (무료) 마이크로소프트 온라인 강좌 소개 - Windows Server 2012 R2 주요 기술 (Hyper-V 관점)
2900정성태3/24/201522188오류 유형: 279. robocopy 오류 - The file cannot be accessed by the system [4]
2899정성태3/24/201530308개발 환경 구성: 264. Visual Studio 2013 솔루션을 2015로 마이그레이션
2898정성태3/24/201520891개발 환경 구성: 263. SharePoint 2013을 Windows Server 2012 R2에 설치
2897정성태3/18/201519554오류 유형: 278. LoadLibrary("...") failed - Invalid access to memory location.
2896정성태3/18/201519714VC++: 90. Visual Studio 2013에서 Visual Basic 6용 ATL Control 제작
2895정성태3/18/201522757VC++: 89. Visual Studio 2015 - auto 반환 타입 및 thread_local 예약어 지원(C++ 11 표준) [2]
2894정성태3/18/201521029.NET Framework: 509. ELEMENT_TYPE_MODIFIER의 조합
2893정성태3/18/201521113오류 유형: 277. command line error MIDL1004: cannot execute C preprocessor cl.exe
2892정성태3/17/201525992오류 유형: 276. robocopy - Logon failure: unknown user name or bad password.
2891정성태3/17/201542107개발 환경 구성: 262. Visual Basic 6 (Enterprise Edition)을 Windows 7 x86에 설치하는 방법 [1]
2890정성태3/17/201524464오류 유형: 275. Internet Explorer - This page can't be displayed
2889정성태3/17/201525140Windows: 107. (2015-03-12) 업데이트 이후 작업 표시줄 또는 탐색기의 반응이 느려지는 문제 [1]
2888정성태3/17/201523153.NET Framework: 508. Visual Studio 빌드 - fatal error C1033: cannot open program database ''
2887정성태3/13/201520403.NET Framework: 507. CoreFx 빌드하는 방법
2886정성태3/13/201522145오류 유형: 274. CoreFx, CoreCLR 빌드 시 "error CS0518: Predefined type 'System.Object' is not defined or imported" 오류 해결 방법
2885정성태3/13/201533477VS.NET IDE: 99. Visual Studio는 2019는 32비트, 2022부터 64비트 버전입니다. [2]
2884정성태3/12/201526786.NET Framework: 506. .NETCore = CoreFX + CoreCLR [5]
2883정성태3/10/201523932.NET Framework: 505. OpenCover 소스 코드 분석을 Visual Studio 2013에서 하는 방법 [1]
2882정성태3/10/201522808.NET Framework: 504. OpenCover 코드 커버리지 도구의 동작 방식을 통해 살펴보는 Calli IL 코드 사용법
2881정성태3/9/201523295개발 환경 구성: 261. OpenCover 오픈 소스를 이용한 .NET 코드 커버리지(Code coverage)
2880정성태3/7/201521585개발 환경 구성: 260. C# Code Coverage 도구 - Semantic Designs 소개
2879정성태3/3/201526590개발 환경 구성: 259. Visual Studio 없이 Visual C++ 컴파일하는 방법
...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