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개발 환경 구성: 227. 닷넷 용 ClojureCLR 개발환경 설정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21136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닷넷 용 ClojureCLR 개발환경 설정

Clojure의 파일 확장자가 "CLJ"인데요. "C#", "LISP", "Java"의 약자를 딴 것이라고 합니다. 그래서인지 Clojure는 닷넷용으로도 포팅되어 있습니다. (단지, 자바의 릴리스에 비해 시기가 늦어질 뿐!)

clojure-clr (A port of Clojure to the CLR, part of the Clojure project)
; https://github.com/clojure/clojure-clr

release
; https://github.com/clojure/clojure-clr/releases

실제로 자바는 이미 1.6.0 버전이 stable 단계로 릴리즈되었지만 ClojureCLR은 1.6.0이 베타 1 단계에 접어들었습니다. (이것이 2월 23일의 이야기니까... 꽤나 느리게 진행되고 있다는 것을 짐작케 합니다.)

그래도 저는 언어 공부가 목적이므로 그냥 베타 단계이지만 1.6.0 버전을 설치해 보았습니다.

다운로드 받은 "clojure-clr-clojure-1.6.0-beta1.zip" 파일의 압축을 해제하면 "./Clojure" 폴더 밑에 ClojureCLR.sln 솔루션 파일이 있는데요. Visual Studio에서 로드하고 빌드하면 ./bin/3.5/Debug 폴더에 Clojure.Main.exe 및 기타 다양한 어셈블리들이 함께 출력됩니다.

어쨌든 실행하면 잘 됩니다.

c:\...\clojure-clr-clojure-1.6.0-beta1\bin\3.5\Debug>Clojure.Main.exe
Clojure 1.6.0-beta1
user=>

Visual Studio의 훌륭한 디버깅 환경을 생각하면, 만약 clojure 언어 자체의 컴파일러나 내부 구조에 관심이 있다면 clojureclr로 공부하시는 것도 좋은 선택이겠습니다.




그 외 "Clojure 언어의 윈도우 개발환경 설정"에서 다뤘던 것들을 동일하게 설명해 보면!

외부 clj 소스 코드를 로드하기 위한 load-file 명령어도 Clojure.Main.exe 파일이 있는 폴더를 기준으로 지정하면 됩니다.

; temp.clj 소스 코드 내용
; (defn hello [name] (str "Hello, " name))
; (hello "stu")
 
user=> (load-file "..\\sample\\temp.clj")
"Hello, stu"
user=>

Clojure.Main.exe가 실행되면서 처리하고 싶은 명령어가 있는 경우 -i 옵션을 이용해 지정하는 방법도 동일합니다.

c:\...\clojure-clr-clojure-1.6.0-beta1\bin\3.5\Debug>Clojure.Main.exe -i ..\sample\temp.clj -r
Clojure 1.6.0-beta1
user=> (hello "stu")
"Hello, stu"
user=>

아쉬운 점이 있다면 clojure.contrib의 닷넷 버전으로 컴파일된 DLL이 없다는 것입니다. (Java의 jar와 유사한) DLL로 패키징된 파일이 없어도 직접 소스 코드를 가져와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므로 clojure.contrib의 소스 코드에서 직접 가져오기를 시도해봤는데요. 일단 clojure-contrib 라이브러리를 다운로드 받고,

clojure-contrib
; http://code.google.com/p/clojure-contrib/downloads/list

압축을 푼 후 .\clojure-contrib-1.1.0\contrib\src\clojure 폴더 하위에 있는 contrib 폴더를 Clojure.Main.exe가 위치한 폴더의 하위에 있는 "clojure" 폴더 내에 복사하면 됩니다. 그리고 나서 str-utils를 사용해 보려고 했는데... 아쉽게도 오류가 발생하는 군요. ^^

user=> (use 'clojure.contrib.str-utils)
Bad type
CompilerException System.NullReferenceException: Object reference not set to aninstance of an object.
   at clojure.lang.Util.NameForType(Type t) in c:\...\clojure-clr-clojure-1.6.0-beta1\Clojure\Clojure\Lib\Util.cs:line 769
   at clojure.lang.Namespace.importClass(Type t) in c:\...\clojure-clr-clojure-1.6.0-beta1\Clojure\Clojure\Lib\Namespace.cs:line 339
   at clojure/contrib/str_utils$eval__35$loading__17106__auto____40__43.invoke() in eval:line 15
   at clojure/contrib/str_utils$eval__35__46.invoke() in eval:line 15
   at clojure.lang.Compiler.eval(Object form) in c:\...\clojure-clr-clojure-1.6.0-beta1\Clojure\Clojure\CljCompiler\Compiler.cs:line 999
   at clojure.lang.Compiler.eval(Object form) in c:\...\clojure-clr-clojure-1.6.0-beta1\Clojure\Clojure\CljCompiler\Compiler.cs:line 991
   at clojure.lang.Compiler.load(TextReader rdr, String sourcePath, String sourceName, String relativePath) in c:\...\clojure-clr-clojure-1.6.0-beta1\Clojure\Clojure\CljCompiler\Compiler.cs:line 1681, compiling: (c:\...\clojure-clr-clojure-1.6.0-beta1\bin\3.5\Debug\clojure\contrib\str_utils.clj:1:0)

그럴 수밖에 없는 것이, clojure 언어 자체는 Java에 독립적이지만 이를 이용해 만드는 라이브러리에는 Java의 기능을 쓰는 경우가 있어서 CLR 닷넷 환경에서는 사용이 불가능한 것입니다. 예를 들어, clojure.contrib.str-utils의 경우 소스 코드가 다음과 같이 java.util.regex에 의존하고 있는 것이지요.

; str_utils.clj 
(ns 
  #^{:author "Stuart Sierra",
     :doc "String utilities for Clojure"}
  clojure.contrib.str-utils
  (:import (java.util.regex Pattern)))

...[생략]...

그나마 위안을 삼는다면, clojure.contrib의 함수들 중에는 Java 종속적이지 않아서 부분적인 소스 코드 자체는 가져다 쓰는 것이 가능합니다. 가령, clojure.contrib.str-utils.clj에 포함된 str-join 함수는 소스 코드를 복사해서 ClojureCLR REPL에서 직접 실행할 수 있습니다.

user=> (defn str-join  
    "Returns a string of all elements in 'sequence', separated by  'separator'.  Like Perl's 'join'."  
    [separator sequence]  
    (apply str (interpose separator sequence))
)
#'user/str-join

user=> (str-join "0" "test")
"t0e0s0t"

말할 필요도 없이, 시중에 공개된 clojure 책을 clojureClr에서 실습할 때는 닷넷이란 점을 감안하고 실습하시면 됩니다. 예를 들어, 예외 타입도 Java가 아닌 닷넷의 것으로 대체되고,

user=> (/ 1 0)
ArithmeticException Divide by zero  clojure.lang.Numbers.divide (c:\...\clojure-clr-clojure-1.6.0-beta1\Clojure\Clojure\Lib\Numbers.cs:208)

따라서 Java 종속적인 코드에 대해서는 지원되는 메서드 유형도 다릅니다.

; Java의 printStackTrace는 .NET Exception 타입에 없기 때문에 오류가 나고,
; user=> (.printStackTrace *e)
; MissingMethodException Cannot find instance field/property/member name printStackTrace  .CallSite.Target (:0)

; 대신 .StackTrace 속성으로 접근하면 됩니다.
user=> (.StackTrace *e)
"   at clojure.lang.Numbers.divide(Object x, Object y) in c:\\...\\clojure-clr-clojure-1.6.0-beta1\\Clojure\\Clojure\\Lib\\Numbers.cs:line 208\r\n   
    at clojure.lang.Numbers.divide(Int64 x, Int64 y) in c:\\...\\clojure-clr-clojure-1.6.0-beta1\\Clojure\\Clojure\\Lib\\Numbers.cs:line 2938\r\n   
    at user$eval__84__89.invoke() in eval:line 9\r\n   
    at clojure.lang.Compiler.eval(Object form) in c:\\...\\clojure-clr-clojure-1.6.0-beta1\\Clojure\\Clojure\\CljCompiler\\Compiler.cs:line 999\r\n   
    at clojure/core$eval__15007.invoke(Object ) in core.clj:line 2923\r\n   
    at clojure/main$repl$read_eval_print__21542$fn__21555__21559.invoke() in main.clj:line 258\r\n   
    at clojure/main$repl$read_eval_print__21542__21562.invoke() in main.clj:line 258"

이 정도면, clojureClr에서도 clojure 언어를 배우기 위한 기초적인 개발 환경은 끝난 것 같군요. ^^ 그 외에 Visual Studio 내에서 확장 패키지 형식으로 vsClojure가 있는데,

lisp_learn_1.png

설치하고 나면 다음과 같이 구색은 갖춰져 있지만,

lisp_learn_2.png

어쨌든 clojure 언어 자체가 아직은 기존의 Visual C#으로 작업하던 성격의 응용 프로그램을 대체하기에는 그래서... 공부 용도로는 그냥 clojureClr 명령행으로도 충분합니다. ^^

마지막으로 clojure 라이브 코딩 영상하나 소개합니다. ^^

Live Coding by parksungmin 
; http://www.youtube.com/watch?v=yiHw_oeYj_A




참고로, Visual Studio에서 ClojureClr 솔루션을 빌드하려고 하면 다음과 같은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Package restore is disabled by default. To give consent, open the Visual Studio Options dialog, click on Package Manager node and check 'Allow NuGet to download missing packages during build.' You can also give consent by setting the environment variable 'EnableNuGetPackageRestore' to 'true'.


시키는 대로 하시면 됩니다. 근데 이상하군요. 이것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2가지 옵션이 있는데, 하나는 "Tools" / "Options..." 메뉴 선택하고 "NuGet Package Manager" 범주에 가서 "Allow NuGet to download missing packages" 관련 옵션을 체크하는 것이라고 합니다. 하지만 실제로 그 옵션은 설정되어 있는데도 불구하고 동일한 오류가 발생합니다.

대신 환경 변수에 가서 "EnableNuGetPackageRestore"을 "true" 값으로 등록해 두고 Visual Studio를 다시 실행하면 정상적으로 빌드가 됩니다.

(그리고, Visual Studio 2010의 경우 기본적으로 Nuget이 없기 때문에 "Tools" / "Extension Manager..." 메뉴를 선택해 "NuGet Package Manager"를 다운로드 받아 설치해야 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6/27/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893정성태2/27/20252249Linux: 115. eBPF (bpf2go) - ARRAY / HASH map 기본 사용법
13892정성태2/24/20253012닷넷: 2325. C# - PowerShell과 연동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3891정성태2/23/20252529닷넷: 2324. C# - 프로세스의 성능 카운터용 인스턴스 이름을 구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3890정성태2/21/20252350닷넷: 2323. C# - 프로세스 메모리 중 Private Working Set 크기를 구하는 방법(Win32 API)파일 다운로드1
13889정성태2/20/20253126닷넷: 2322. C# - 프로세스 메모리 중 Private Working Set 크기를 구하는 방법(성능 카운터, WMI) [1]파일 다운로드1
13888정성태2/17/20252525닷넷: 2321. Blazor에서 발생할 수 있는 async void 메서드의 부작용
13887정성태2/17/20253110닷넷: 2320. Blazor의 razor 페이지에서 code-behind 파일로 코드를 분리 및 DI 사용법
13886정성태2/15/20252580VS.NET IDE: 196. Visual Studio - Code-behind처럼 cs 파일을 그룹핑하는 방법
13885정성태2/14/20253265닷넷: 2319. ASP.NET Core Web API / Razor 페이지에서 발생할 수 있는 async void 메서드의 부작용
13884정성태2/13/20253554닷넷: 2318. C# - (async Task가 아닌) async void 사용 시의 부작용파일 다운로드1
13883정성태2/12/20253309닷넷: 2317. C# - Memory Mapped I/O를 이용한 PCI Configuration Space 정보 열람파일 다운로드1
13882정성태2/10/20252602스크립트: 70. 파이썬 - oracledb 패키지 연동 시 Thin / Thick 모드
13881정성태2/7/20252844닷넷: 2316. C# - Port I/O를 이용한 PCI Configuration Space 정보 열람파일 다운로드1
13880정성태2/5/20253200오류 유형: 947. sshd - Failed to start OpenSSH server daemon.
13879정성태2/5/20253437오류 유형: 946. Ubuntu - N: Updating from such a repository can't be done securely, and is therefore disabled by default.
13878정성태2/3/20253221오류 유형: 945. Windows - 최대 절전 모드 시 DRIVER_POWER_STATE_FAILURE 발생 (pacer.sys)
13877정성태1/25/20253266닷넷: 2315. C# - PCI 장치 열거 (레지스트리, SetupAPI)파일 다운로드1
13876정성태1/25/20253737닷넷: 2314. C# - ProcessStartInfo 타입의 Arguments와 ArgumentList파일 다운로드1
13875정성태1/24/20253173스크립트: 69. 파이썬 - multiprocessing 패키지의 spawn 모드로 동작하는 uvicorn의 workers
13874정성태1/24/20253582스크립트: 68. 파이썬 - multiprocessing Pool의 기본 프로세스 시작 모드(spawn, fork)
13873정성태1/23/20252999디버깅 기술: 217. WinDbg - PCI 장치 열거파일 다운로드1
13872정성태1/23/20252910오류 유형: 944. WinDbg - 원격 커널 디버깅이 연결은 되지만 Break (Ctrl + Break) 키를 눌러도 멈추지 않는 현상
13871정성태1/22/20253307Windows: 278. Windows - 윈도우를 다른 모니터 화면으로 이동시키는 단축키 (Window + Shift + 화살표)
13870정성태1/18/20253760개발 환경 구성: 741. WinDbg - 네트워크 커널 디버깅이 가능한 NIC 카드 지원 확대
13869정성태1/18/20253480개발 환경 구성: 740. WinDbg - _NT_SYMBOL_PATH 환경 변수에 설정한 경로로 심벌 파일을 다운로드하지 않는 경우
13868정성태1/17/20253126Windows: 277. Hyper-V - Windows 11 VM의 Enhanced Session 모드로 로그인을 할 수 없는 문제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