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Phone: 11. Xamarin.Forms - 2. XAML을 이용한 페이지 개발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22147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Part1_2.zip]    

(시리즈 글이 3개 있습니다.)
개발 환경 구성: 183. Xamarin 2.0 - 윈도우 환경의 Visual Studio에서 C#으로 iOS/Android 응용 프로그램 개발
; https://www.sysnet.pe.kr/2/0/1415

Phone: 10. Xamarin.Forms - 1. Forms 시작하기
; https://www.sysnet.pe.kr/2/0/1699

Phone: 11. Xamarin.Forms - 2. XAML을 이용한 페이지 개발
; https://www.sysnet.pe.kr/2/0/1702




Xamarin.Forms - 2. XAML을 이용한 페이지 개발

이번에도 역시 "Xamarin.Forms - 1. Forms 시작하기" 글의 모델이었던 원본 시리즈의 2번째 글을 참고해서 작성한 것입니다. (거의 배꼈다고 보시면 됩니다. ^^)

Learning Xamarin: Forms and XAML
; http://blog.falafel.com/Blogs/jesse-liberty/2014/06/13/learning-xamarin-forms-and-xaml




"Xamarin.Forms - 1. Forms 시작하기" 글에서 UI를 코드로 작성했는데요. 그것만 보면 별로 매력이 별로 없을 텐데, 다행히 Xamarin은 WPF의 XAML을 최대한의 호환을 유지하며 Xamarin.Forms에 녹아냈습니다. 그것이 훌륭하지요. ^^

그래서, 지난번에 작성했던 MonkeyPage나 DetailPage를 코드가 아닌 XAML로 표현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바로 이것이 이번 글의 실습 주제입니다.

프로젝트는 이전에 만들어 둔 것에 이어서 시작해보겠습니다. 일단 코드로 페이지를 작성했던 MonkeyPage.cs를 삭제하고 "Forms Xaml Page" 항목으로 새롭게 MonkeyPage.cs를 추가합니다.

xamarin_forms_part2_1.png

그럼, WPF와 마찬가지로 MonkeyPage.xaml과 MonkeyPage.xaml.cs 파일이 생성됩니다. (하지만, 아쉽게도 XAML과 유사할 뿐 마이크로소프트가 지원하는 XAML과 동일하지는 않기 때문에 디자이너 화면은 제공되지 않습니다.)

<?xml version="1.0" encoding="utf-8" ?>
<ContentPage xmlns="http://xamarin.com/schemas/2014/forms"
                       xmlns:x="http://schemas.microsoft.com/winfx/2009/xaml"
                       x:Class="Part1.MonkeyPage">
    <Label Text="{Binding MainText}" VerticalOptions="Center" HorizontalOptions="Center" />
</ContentPage>

using System;
using System.Collections.Generic;
using System.Linq;
using System.Text;
using System.Threading.Tasks;

namespace Part1
{
    public partial class MonkeyPage
    {
        public MonkeyPage()
        {
            InitializeComponent();
        }
    }
}

그래도 보시는 바와 같이 WPF처럼 Data Binding 구문도 지원되고 속성도 거의 유사하게 제공하고 있기 때문에 편안하게 느껴집니다. ^^ 이제 지난번에 코드로 구성했던 UI를 XAML로 넣어줍니다.

<?xml version="1.0" encoding="utf-8" ?>
<ContentPage xmlns="http://xamarin.com/schemas/2014/forms"
                       xmlns:x="http://schemas.microsoft.com/winfx/2009/xaml"
                       x:Class="Part1.MonkeyPage">
    <ListView x:Name="list" ItemsSource="{Binding Monkeys}">
        <ListView.ItemTemplate>
            <DataTemplate>
                <TextCell Text="{Binding Name}"
                    Detail="{Binding Location}">
                </TextCell>
            </DataTemplate>
        </ListView.ItemTemplate>
    </ListView>
</ContentPage>

UI요소를 xaml 파일이 가져갔으므로 MonkeyPage.xaml.cs의 코드는 한결 더 가벼워집니다.

using Monkeys.ViewModels;

namespace Part1
{
    public partial class MonkeyPage
    {
        public MonkeyPage()
        {
            InitializeComponent();

            this.BindingContext = new MonkeysViewModel();
        }
    }
}

여기까지 변경하고 윈도우 폰 에뮬레이터로 실행하면, "지난번 글에서 코드로 구성한 예제"와 정확히 같은 실행 화면을 보여줍니다.

xamarin_forms_part1_3.png




ListView의 항목을 클릭한 것에 대한 상세 보기 페이지로 이동하는 기능도 추가해 볼까요? ^^ 이를 위해 기존 실습으로 작성된 DetailPage.cs 파일을 삭제하고 역시 이번에도 "Forms Xaml Page" 항목으로 새롭게 DetailPage.cs 파일을 다시 추가해줍니다.

<?xml version="1.0" encoding="utf-8" ?>
<ContentPage xmlns="http://xamarin.com/schemas/2014/forms"
                       xmlns:x="http://schemas.microsoft.com/winfx/2009/xaml"
                       x:Class="Part1.DetailPage">
    <Label Text="{Binding MainText}" VerticalOptions="Center" HorizontalOptions="Center" />
</ContentPage>

using System;
using System.Collections.Generic;
using System.Linq;
using System.Text;
using System.Threading.Tasks;

namespace Part1
{
    public partial class DetailPage
    {
        public DetailPage()
        {
            InitializeComponent();
        }
    }
}

XAML에 기본 생성된 <Label /> 태그를 삭제하고 이전에 코드로 작성했던 상세 보기 페이지의 ScrollView/Label를 각각 추가합니다.

<?xml version="1.0" encoding="utf-8" ?>
<ContentPage xmlns="http://xamarin.com/schemas/2014/forms"
                       xmlns:x="http://schemas.microsoft.com/winfx/2009/xaml"
                       x:Class="Part1.DetailPage" Title="{Binding Name}">
    <ScrollView Padding="20">
        <Label Text="{Binding Details}" />
    </ScrollView>
</ContentPage>

마찬가지로 DetailPage.xaml.cs 코드 역시 BindingContext만 지정하는 것으로 끝납니다.

namespace Part1
{
    public partial class DetailPage
    {
        public DetailPage(Monkey monkey)
        {
            InitializeComponent();
            this.BindingContext = monkey;
        }
    }
}

DetailPage XAML이 완성되었으니, 이제 MonkeyPage XAML에서 ListView 항목이 선택된 경우 이벤트를 처리하기 위해 XAML에 ItemTapped 이벤트를 추가합니다.

<?xml version="1.0" encoding="utf-8" ?>
<ContentPage xmlns="http://xamarin.com/schemas/2014/forms"
                       xmlns:x="http://schemas.microsoft.com/winfx/2009/xaml"
                       x:Class="Part1.MonkeyPage">
    <ListView x:Name="list" ItemsSource="{Binding Monkeys}"
               ItemTapped="OnItemSelected">
        ...[생략]...
    </ListView>
</ContentPage>

그리고 MonkeyPage.xaml.cs 파일에 그에 대응되는 코드를 만들어 줍니다.

public void OnItemSelected(object sender, ItemTappedEventArgs args)
{
    var monkey = args.Item as Monkey;
    if (monkey == null)
        return;

    Navigation.PushAsync(new DetailPage(monkey));
    list.SelectedItem = null;
} 

실행하면, 역시 모든 동작은 "지난번 글에서 코드로 구성한 예제"와 동일합니다.

어떠세요? WPF의 경험을 살릴 수 있는 Xamarin.Forms! 마음에 드시나요? ^^ 사실 갈 길이 멉니다. XAML에 대한 디자이너 화면도 없고, 인텔리센스도 제공되지 않습니다. (Xamarin Studio에서는 xaml 페이지에 인텔리센스가 제공됩니다.) 게다가 간단한 UI 화면임에도 불구하고 윈도우 폰과 안드로이드 폰에서 다르게 나오기 때문에 이런 부분을 맞춰주어야 하는 상황이 오면 피곤할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원본의 "Learning Xamarin: Forms and XAML" 글에서도 나오지만, 아직은 LOB 성격의 앱으로 적당할 것 같습니다. 그 외의 앱을 제작한다면, 미리 신중하게 기술검토를 하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

(첨부된 파일은 이번 글의 실습을 반영한 프로젝트입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6/27/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214정성태1/10/202313887.NET Framework: 2087. .NET 6부터 SourceGenerator와 통합된 System.Text.Json [1]파일 다운로드1
13213정성태1/9/202312214오류 유형: 836. docker 이미지 빌드 시 "RUN apt install ..." 명령어가 실패하는 이유
13212정성태1/8/202313591기타: 85. 단정도/배정도 부동 소수점의 정밀도(Precision)에 따른 형변환 손실
13211정성태1/6/202313342웹: 42. (https가 아닌) http 다운로드를 막는 웹 브라우저
13210정성태1/5/202312133Windows: 219. 윈도우 x64의 경우 0x00000000`7ffe0000 아래의 주소는 왜 사용하지 않을까요?
13209정성태1/4/202311561Windows: 218. 왜 윈도우에서 가상 메모리 공간은 64KB 정렬이 된 걸까요?
13208정성태1/3/202312402.NET Framework: 2086. C# - Windows 운영체제의 2MB Large 페이지 크기 할당 방법파일 다운로드1
13207정성태12/26/202212888.NET Framework: 2085. C# - gpedit.msc의 "User Rights Assignment" 특권을 코드로 설정/해제하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3206정성태12/24/202213048.NET Framework: 2084. C# - GetTokenInformation으로 사용자 SID(Security identifiers) 구하는 방법 [4]파일 다운로드1
13205정성태12/24/202212226.NET Framework: 2083. C# - C++과의 연동을 위한 구조체의 fixed 배열 필드 사용 (2)파일 다운로드1
13204정성태12/22/202211392.NET Framework: 2082. C# - (LSA_UNICODE_STRING 예제로) CustomMarshaler 사용법파일 다운로드1
13203정성태12/22/202211827.NET Framework: 2081. C# Interop 예제 - (LSA_UNICODE_STRING 예제로) 구조체를 C++에 전달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3202정성태12/21/202213170기타: 84. 직렬화로 설명하는 Little/Big Endian파일 다운로드1
13201정성태12/20/202214285오류 유형: 835. PyCharm 사용 시 C 드라이브 용량 부족
13200정성태12/19/202212288오류 유형: 834. 이벤트 로그 - SSL Certificate Settings created by an admin process for endpoint
13199정성태12/19/202212321개발 환경 구성: 656. Internal Network 유형의 스위치로 공유한 Hyper-V의 VM과 호스트가 통신이 안 되는 경우
13198정성태12/18/202212565.NET Framework: 2080. C# - Microsoft.XmlSerializer.Generator 처리 없이 XmlSerializer 생성자를 예외 없이 사용하고 싶다면?파일 다운로드1
13197정성태12/17/202212105.NET Framework: 2079. .NET Core/5+ 환경에서 XmlSerializer 사용 시 System.IO.FileNotFoundException 예외 발생하는 경우파일 다운로드1
13196정성태12/16/202212702.NET Framework: 2078. .NET Core/5+를 위한 SGen(Microsoft.XmlSerializer.Generator) 사용법
13195정성태12/15/202213056개발 환경 구성: 655. docker - bridge 네트워크 모드에서 컨테이너 간 통신 시 --link 옵션 권장 이유
13194정성태12/14/202213344오류 유형: 833. warning C4747: Calling managed 'DllMain': Managed code may not be run under loader lock파일 다운로드1
13193정성태12/14/202213502오류 유형: 832. error C7681: two-phase name lookup is not supported for C++/CLI or C++/CX; use /Zc:twoPhase-
13192정성태12/13/202213402Linux: 55. 리눅스 - bash shell에서 실수 연산
13191정성태12/11/202215305.NET Framework: 2077. C# - 직접 만들어 보는 SynchronizationContext파일 다운로드1
13190정성태12/9/202216841.NET Framework: 2076. C# - SynchronizationContext 기본 사용법파일 다운로드1
13189정성태12/9/202216898오류 유형: 831. Visual Studio - Windows Forms 디자이너의 도구 상자에 컨트롤이 보이지 않는 문제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