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드디어... VSS 2005에서 HTTP를 통한 소스 컨트롤 기능이 생겼습니다.

그렇다고 해서, 아쉬운 점이 없는 것은 아닙니다.
이름 변경, 삭제, 히스토리, 라벨링 등의 기능은 "over HTTP"로는 지원되지 않습니다.

데이터베이스 열기, 추가, 체크인, 체크아웃, 가져오기 정도 뿐이죠.
그래도... 그게 어디입니까... ^^

80 포트를 통한 방법은... 아시는 데로 하면 됩니다.
여기서는 그 이외의 포트로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겠습니다.

1. [서버측] VSS Admin에서 "Server/Configuration" 메뉴를 선택해 다음과 같이 설정합니다. 주의할 것은 마지막에 ":5901"을 꼭 붙이셔야 합니다.


2. [서버측] IIS 관리자에서 "SourceSafe" 가상 애플리케이션이 있는 사이트의 포트를 변경합니다. 여기서는 "5901"로 지정합니다. 물론, 별도의 웹 사이트를 만들고 거기에서 "SourceSafe" 가상 애플리케이션을 만드셔도 무방합니다.

3. [클라이언트측] 아래의 화면과 같이 입력해 줍니다. 이때 반드시 "http://"를 앞에 포함해 주어야 하고 asmx 파일까지 모든 경로를 적어주어야 합니다. 80 포트인 경우에는 단순히 "www.sysnet.pe.kr"만 입력하면 되지만, 포트가 변경이 된 경우에는 "https://www.sysnet.pe.kr:5901/SourceSafe/VssService.asmx"까지 적어 주어야 합니다.


4. [클라이언트측] 굳이 3번과 같이 등록하지 않고, 레지스트리를 직접 조작해도 무방합니다. 결국 설정하면 아래와 같은 레지스트리 항목이 생길 뿐입니다.




참고로, 위의 "1번" 과정에서 포트까지 모두 적어주지 않고 단지 "www.sysnet.pe.kr"이라고만 지정한 경우에는 VS.NET 2005 IDE의 소스 제어 메뉴에서 "Internet"이 아닌 일반 모드로 갔다가 다시 "Internet" 모드로 오면 아래 화면에서 보는 것처럼 ":5901"이 삭제되어 버립니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6/11/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951정성태2/2/202215393.NET Framework: 1147.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오디오 필터링 예제(filtering_audio.c)파일 다운로드1
12950정성태2/1/202217114.NET Framework: 1146. .NET 6에 추가되지 않은 Generic Math (예: INumber<T>)
12949정성태2/1/202215769.NET Framework: 1145. C# - ffmpeg(FFmpeg.AutoGen) - Codec 정보 열람 및 사용 준비파일 다운로드1
12948정성태1/30/202217050.NET Framework: 1144. C# - ffmpeg(FFmpeg.AutoGen) AVFormatContext를 이용해 ffprobe처럼 정보 출력파일 다운로드1
12947정성태1/30/202217177개발 환경 구성: 634. ffmpeg.exe - 기존 동영상 컨테이너에 다중 스트림을 추가하는 방법
12946정성태1/28/202216531오류 유형: 792. .NET Core - 로컬 개발 중에 docker 호스팅으로 바꾸는 경우 SQL 서버 접근 방법
12945정성태1/28/202216712오류 유형: 791. SQL 서버 로그인 시 localhost는 되고, 127.0.0.1로는 안 되는 문제
12944정성태1/28/202220780.NET Framework: 1143. C# - Entity Framework Core 6 개요
12943정성태1/27/202219448.NET Framework: 1142. .NET 5+로 포팅 시 플랫폼 호환성 경고 메시지(SYSLIB0006, SYSLIB0011, CA1416) [1]파일 다운로드1
12942정성태1/27/202218706.NET Framework: 1141. XmlSerializer와 Dictionary 타입파일 다운로드1
12941정성태1/26/202219229오류 유형: 790. AKS/k8s - pod 상태가 Pending으로 지속되는 경우
12940정성태1/26/202215648오류 유형: 789. AKS에서 hpa에 따른 autoscale 기능이 동작하지 않는다면?
12939정성태1/25/202216596.NET Framework: 1140.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해 MP3 오디오 파일 인코딩/디코딩하는 예제파일 다운로드1
12938정성태1/24/202220552개발 환경 구성: 633. Docker Desktop + k8s 환경에서 local 이미지를 사용하는 방법
12937정성태1/24/202219116.NET Framework: 1139.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해 오디오(mp2) 인코딩하는 예제(encode_audio.c) [2]파일 다운로드1
12936정성태1/22/202217134.NET Framework: 1138.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해 멀티미디어 파일의 메타데이터를 보여주는 예제(metadata.c)파일 다운로드1
12935정성태1/22/202219005.NET Framework: 1137. ffmpeg의 파일 해시 예제(ffhash.c)를 C#으로 포팅파일 다운로드1
12934정성태1/22/202218461오류 유형: 788. Warning C6262 Function uses '65564' bytes of stack: exceeds /analyze:stacksize '16384'. Consider moving some data to heap. [2]
12933정성태1/21/202219042.NET Framework: 1136.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해 MP2 오디오 파일 디코딩 예제(decode_audio.c)파일 다운로드1
12932정성태1/20/202220463.NET Framework: 1135. C# - ffmpeg(FFmpeg.AutoGen)로 하드웨어 가속기를 이용한 비디오 디코딩 예제(hw_decode.c) [2]파일 다운로드1
12931정성태1/20/202215467개발 환경 구성: 632. ASP.NET Core 프로젝트를 AKS/k8s에 올리는 과정
12930정성태1/19/202217022개발 환경 구성: 631. AKS/k8s의 Volume에 파일 복사하는 방법
12929정성태1/19/202217916개발 환경 구성: 630. AKS/k8s의 Pod에 Volume 연결하는 방법
12928정성태1/18/202216586개발 환경 구성: 629. AKS/Kubernetes에서 호스팅 중인 pod에 shell(/bin/bash)로 진입하는 방법
12927정성태1/18/202218206개발 환경 구성: 628. AKS 환경에 응용 프로그램 배포 방법
12926정성태1/17/202217005오류 유형: 787. AKS - pod 배포 시 ErrImagePull/ImagePullBackOff 오류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