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운영체제 종료 후에도 USB 외장 하드의 전원이 꺼지지 않는 경우

그 전에도 한번 원인을 찾다가 포기를 한 적이 있었는데요. 오늘은 왠지, 운영체제 종료 상태의 컴퓨터에 여전히 USB 외장 하드가 동작하고 있다는 그 사실을 더더욱 참기 힘든 기분이 들어 다시 한번 원인 파악에 나섰습니다. ^^

여기서 한가지 특이한 점은, 당연한 소리지만 컴퓨터 전원 플러그를 빼는 식이라면 USB 외장 하드에 전원이 안 들어옵니다. 하지만, 운영체제를 최대 절전 모드(Hibernation) 또는 종료(Shutdown) 메뉴를 선택한 경우에는 PC 자체는 꺼지지만 USB 케이블로 연결된 외장 하드에는 여전히 불이 들어와 있고 HDD가 동작하고 있는 소리가 들립니다.

사실 처음 이 문제를 조사할 때는 윈도우 8.1의 전원 관리 정책이 잘못된 것이 아닌가 싶어 USB 장치 드라이버와 제어판의 전원 부분에만 집중해서 봤었습니다. 물론 혹시나 싶어 컴퓨터 BIOS의 옵션도 대충 살펴봤는데 운영체제 종료 후에도 USB 장치에 전원을 공급할만한 옵션은 찾지 못했습니다.

그래도, 오늘은 맘먹고 아주 자세히 BIOS 옵션을 파헤쳐 보리라 다짐하고... 옵션 하나하나 살펴보았습니다. 오호~~~ 결국 문제의 원인을 찾긴 했습니다. "Power Management" / "ErP"라는 기능인데 이것이 "Disabled" 상태인 경우에 USB 외장 하드의 전원이 지속되었습니다. 그래서 다음 화면과 같이 ^^ "Enabled" 옵션으로 바꾸고 이 문제를 해결했습니다.

usbhdd_not_poweroff_1.jpg

위의 "ErP"에 대한 설명을 보면,

Determines whether to let the system consume least power in S5 (shutdown) state.
Note: When Enabled, the following functions will become unavailable: PME event wake up, power on by mouse, power on by keyboard, and wake on LAN.


라고 하는데, 말 그대로 위의 옵션을 Enabled로 설정한 다음부터는 키보드를 눌러서 전원이 들어오는 기능이 동작하지 않았습니다. 나름 편했던 기능인데, 그래도 운영체제 종료 후에 하드 디스크의 전원이 들어온 상태가 더 불편하므로 "Erp == Enabled" 상태로 놓을 수밖에 없었습니다.




참고로, 제가 사용한 메인 보드는 "기가바이트(GIGABYTE)"입니다.

GIGABYTE GA-Z87-HD3  제이씨현 
; http://www.compuzone.co.kr/form/popup_detail_renew.htm?ProductNo=260054

따라서, 다른 컴퓨터인 경우에는 옵션의 이름이 틀리거나, 아예 해당 옵션이 없거나 또는 USB 외장 하드의 전원이 꺼지지 않는 현상 자체가 없을 수도 있습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6/27/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14-08-21 03시57분
[Lyn] 모든 포트가 다 그런지 확인해보시는것도 좋을듯 합니다.

요즘 최신보드나 노트북은 휴대폰 충전용으로 꺼놔도 USB 포트 하나만 전기가 들어오는 기능이 있거든요
[guest]
2014-08-22 01시13분
@Lyn님 물론 확인해 봤습니다. ^^ 모든 USB 포트 전부 그랬습니다.
정성태
2014-09-16 11시11분
[김영대] 대단하십니다 저도 같은 문제로 찾다찾다 안되서 메인보드 고객지원센터에 전화해보니 적어주신 erp 기능을 가르쳐 주시더라구요 상세한 내용 감사합니다
[guest]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039정성태4/27/202217311.NET Framework: 1999. C# - Playwright를 이용한 간단한 브라우저 제어 실습
13038정성태4/26/202213488오류 유형: 806. twine 실행 시 ConfigParser.ParsingError: File contains parsing errors: /root/.pypirc
13037정성태4/25/202214282.NET Framework: 1998. Azure Functions를 사용한 간단한 실습
13036정성태4/24/202215215.NET Framework: 1997. C# - nano 시간을 가져오는 방법 [2]
13035정성태4/22/202216471Windows: 204. Windows 10부터 바뀐 QueryPerformanceFrequency, QueryPerformanceCounter
13034정성태4/21/202214049.NET Framework: 1996. C# XingAPI - 주식 종목에 따른 PBR, PER, ROE, ROA 구하는 방법(t3320, t8430 예제)파일 다운로드1
13033정성태4/18/202215171.NET Framework: 1195. C# - Thread.Yield와 Thread.Sleep(0)의 차이점(?)
13032정성태4/17/202215363오류 유형: 805. Github의 50MB 파일 크기 제한 - warning: GH001: Large files detected. You may want to try Git Large File Storage
13031정성태4/15/202215051.NET Framework: 1194. C# - IdealProcessor와 ProcessorAffinity의 차이점
13030정성태4/15/202213578오류 유형: 804. 정규 표현식 오류 - Quantifier {x,y} following nothing.
13029정성태4/14/202214974Windows: 203. iisreset 후에도 이전에 설정한 전역 환경 변수가 w3wp.exe에 적용되는 문제
13028정성태4/13/202215102.NET Framework: 1193. (appsettings.json처럼) web.config의 Debug/Release에 따른 설정 적용
13027정성태4/12/202214979.NET Framework: 1192. C# - 환경 변수의 변화를 알리는 WM_SETTINGCHANGE Win32 메시지 사용법파일 다운로드1
13026정성태4/11/202216344.NET Framework: 1191. C 언어로 작성된 FFmpeg Examples의 C# 포팅 전체 소스 코드 [3]
13025정성태4/11/202215601.NET Framework: 1190.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vaapi_encode.c, vaapi_transcode.c 예제 포팅
13024정성태4/7/202213858.NET Framework: 1189. C# - 런타임 환경에 따라 달라진 AppDomain.GetCurrentThreadId 메서드
13023정성태4/6/202214442.NET Framework: 1188.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transcoding.c 예제 포팅 [3]
13022정성태3/31/202214007Windows: 202. 윈도우 11 업그레이드 - "PC Health Check"를 통과했지만 여전히 업그레이드가 안 되는 경우 해결책
13021정성태3/31/202215832Windows: 201. Windows - INF 파일을 이용한 장치 제거 방법
13020정성태3/30/202214059.NET Framework: 1187. RDP 접속 시 WPF UserControl의 Unloaded 이벤트 발생파일 다운로드1
13019정성태3/30/202214516.NET Framework: 1186. Win32 Message를 Code로부터 메시지 이름 자체를 텍스트로 구하고 싶다면?파일 다운로드1
13018정성태3/29/202215268.NET Framework: 1185. C# - Unsafe.AsPointer가 반환한 포인터는 pinning 상태일까요? [5]
13017정성태3/28/202214235.NET Framework: 1184. C# - GC Heap에 위치한 참조 개체의 주소를 알아내는 방법 - 두 번째 이야기 [3]
13016정성태3/27/202215908.NET Framework: 1183. C# 11에 추가된 ref 필드의 (우회) 구현 방법파일 다운로드1
13015정성태3/26/202217609.NET Framework: 1182. C# 11 - ref struct에 ref 필드를 허용 [1]
13014정성태3/23/202215058VC++: 155. CComPtr/CComQIPtr과 Conformance mode 옵션의 충돌 [1]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