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운영체제 종료 후에도 USB 외장 하드의 전원이 꺼지지 않는 경우

그 전에도 한번 원인을 찾다가 포기를 한 적이 있었는데요. 오늘은 왠지, 운영체제 종료 상태의 컴퓨터에 여전히 USB 외장 하드가 동작하고 있다는 그 사실을 더더욱 참기 힘든 기분이 들어 다시 한번 원인 파악에 나섰습니다. ^^

여기서 한가지 특이한 점은, 당연한 소리지만 컴퓨터 전원 플러그를 빼는 식이라면 USB 외장 하드에 전원이 안 들어옵니다. 하지만, 운영체제를 최대 절전 모드(Hibernation) 또는 종료(Shutdown) 메뉴를 선택한 경우에는 PC 자체는 꺼지지만 USB 케이블로 연결된 외장 하드에는 여전히 불이 들어와 있고 HDD가 동작하고 있는 소리가 들립니다.

사실 처음 이 문제를 조사할 때는 윈도우 8.1의 전원 관리 정책이 잘못된 것이 아닌가 싶어 USB 장치 드라이버와 제어판의 전원 부분에만 집중해서 봤었습니다. 물론 혹시나 싶어 컴퓨터 BIOS의 옵션도 대충 살펴봤는데 운영체제 종료 후에도 USB 장치에 전원을 공급할만한 옵션은 찾지 못했습니다.

그래도, 오늘은 맘먹고 아주 자세히 BIOS 옵션을 파헤쳐 보리라 다짐하고... 옵션 하나하나 살펴보았습니다. 오호~~~ 결국 문제의 원인을 찾긴 했습니다. "Power Management" / "ErP"라는 기능인데 이것이 "Disabled" 상태인 경우에 USB 외장 하드의 전원이 지속되었습니다. 그래서 다음 화면과 같이 ^^ "Enabled" 옵션으로 바꾸고 이 문제를 해결했습니다.

usbhdd_not_poweroff_1.jpg

위의 "ErP"에 대한 설명을 보면,

Determines whether to let the system consume least power in S5 (shutdown) state.
Note: When Enabled, the following functions will become unavailable: PME event wake up, power on by mouse, power on by keyboard, and wake on LAN.


라고 하는데, 말 그대로 위의 옵션을 Enabled로 설정한 다음부터는 키보드를 눌러서 전원이 들어오는 기능이 동작하지 않았습니다. 나름 편했던 기능인데, 그래도 운영체제 종료 후에 하드 디스크의 전원이 들어온 상태가 더 불편하므로 "Erp == Enabled" 상태로 놓을 수밖에 없었습니다.




참고로, 제가 사용한 메인 보드는 "기가바이트(GIGABYTE)"입니다.

GIGABYTE GA-Z87-HD3  제이씨현 
; http://www.compuzone.co.kr/form/popup_detail_renew.htm?ProductNo=260054

따라서, 다른 컴퓨터인 경우에는 옵션의 이름이 틀리거나, 아예 해당 옵션이 없거나 또는 USB 외장 하드의 전원이 꺼지지 않는 현상 자체가 없을 수도 있습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6/27/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14-08-21 03시57분
[Lyn] 모든 포트가 다 그런지 확인해보시는것도 좋을듯 합니다.

요즘 최신보드나 노트북은 휴대폰 충전용으로 꺼놔도 USB 포트 하나만 전기가 들어오는 기능이 있거든요
[guest]
2014-08-22 01시13분
@Lyn님 물론 확인해 봤습니다. ^^ 모든 USB 포트 전부 그랬습니다.
정성태
2014-09-16 11시11분
[김영대] 대단하십니다 저도 같은 문제로 찾다찾다 안되서 메인보드 고객지원센터에 전화해보니 적어주신 erp 기능을 가르쳐 주시더라구요 상세한 내용 감사합니다
[guest]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086정성태12/20/201921002디버깅 기술: 144. windbg - Marshal.FreeHGlobal에서 발생한 덤프 분석 사례
12085정성태12/20/201919002오류 유형: 586. iisreset - The data is invalid. (2147942413, 8007000d) 오류 발생 - 두 번째 이야기 [1]
12084정성태12/19/201919427디버깅 기술: 143. windbg/sos - Hashtable의 buckets 배열 내용을 모두 덤프하는 방법 (do_hashtable.py) [1]
12083정성태12/17/201922376Linux: 27. linux - lldb를 이용한 .NET Core 응용 프로그램의 메모리 덤프 분석 방법 [2]
12082정성태12/17/201920588오류 유형: 585. lsof: WARNING: can't stat() fuse.gvfsd-fuse file system
12081정성태12/16/201922447개발 환경 구성: 465. 로컬 PC에서 개발 중인 ASP.NET Core 웹 응용 프로그램을 다른 PC에서도 접근하는 방법 [5]
12080정성태12/16/201919612.NET Framework: 870. C# - 프로세스의 모든 핸들을 열람
12079정성태12/13/201921504오류 유형: 584. 원격 데스크톱(rdp) 환경에서 다중 또는 고용량 파일 복사 시 "Unspecified error" 오류 발생
12078정성태12/13/201921332Linux: 26. .NET Core 응용 프로그램을 위한 메모리 덤프 방법 [3]
12077정성태12/13/201920395Linux: 25. 자주 실행할 명령어 또는 초기 환경을 "~/.bashrc" 파일에 등록
12076정성태12/12/201918940디버깅 기술: 142. Linux - lldb 환경에서 sos 확장 명령어를 이용한 닷넷 프로세스 디버깅 - 배포 방법에 따른 차이
12075정성태12/11/201919745디버깅 기술: 141. Linux - lldb 환경에서 sos 확장 명령어를 이용한 닷넷 프로세스 디버깅
12074정성태12/10/201919440디버깅 기술: 140. windbg/Visual Studio - 값이 변경된 경우를 위한 정지점(BP) 설정(Data Breakpoint)
12073정성태12/10/201920931Linux: 24. Linux/C# - 실행 파일이 아닌 스크립트 형식의 명령어를 Process.Start로 실행하는 방법
12072정성태12/9/201917696오류 유형: 583. iisreset 수행 시 "No such interface supported" 오류
12071정성태12/9/201921230오류 유형: 582. 리눅스 디스크 공간 부족 및 safemode 부팅 방법
12070정성태12/9/201923162오류 유형: 581. resize2fs: Bad magic number in super-block while trying to open /dev/.../root
12069정성태12/2/201919559디버깅 기술: 139. windbg - x64 덤프 분석 시 메서드의 인자 또는 로컬 변수의 값을 확인하는 방법
12068정성태11/28/201928226디버깅 기술: 138. windbg와 Win32 API로 알아보는 Windows Heap 정보 분석 [3]파일 다운로드2
12067정성태11/27/201919629디버깅 기술: 137. 실제 사례를 통해 Debug Diagnostics 도구가 생성한 닷넷 웹 응용 프로그램의 성능 장애 보고서 설명 [1]파일 다운로드1
12066정성태11/27/201919281디버깅 기술: 136. windbg - C# PInvoke 호출 시 마샬링을 담당하는 함수 분석 - OracleCommand.ExecuteReader에서 OpsSql.Prepare2 PInvoke 호출 분석
12065정성태11/25/201917593디버깅 기술: 135. windbg - C# PInvoke 호출 시 마샬링을 담당하는 함수 분석파일 다운로드1
12064정성태11/25/201920523오류 유형: 580. HTTP Error 500.0/500.33 - ANCM In-Process Handler Load Failure
12063정성태11/21/201919450디버깅 기술: 134. windbg - RtlReportCriticalFailure로부터 parameters 정보 찾는 방법
12062정성태11/21/201918919디버깅 기술: 133. windbg - CoTaskMemFree/FreeCoTaskMem에서 발생한 덤프 분석 사례 - 두 번째 이야기
12061정성태11/20/201919373Windows: 167. CoTaskMemAlloc/CoTaskMemFree과 윈도우 Heap의 관계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