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3개 있습니다.)

동전을 여러 더미로 나누는 경우의 수 세기(Partition Number) - 두 번째 이야기

저번 글에서 점화식을 언급하면서 이야기를 끝냈는데요.

동전을 여러 더미로 나누는 경우의 수 세기
; https://www.sysnet.pe.kr/2/0/1271

이와 관련해서 한번 정리를 해야지... 막연히 생각만 하다가 오늘 우연히 다음의 글을 보았습니다.

Enumerating integer compositions (the return of the binomial coefficients)
; http://blogs.msdn.com/b/oldnewthing/archive/2014/07/14/10541999.aspx

저 글을 보면서 "동전을 여러 더미로 나누는 경우의 수 세기"가 생각났던 것입니다. 그럼 한번 정리를 해볼까요? ^^

우선, "Enumerating integer compositions (the return of the binomial coefficients)" 글에서 언급된 동전 나누기 경우의 수를 세는 것을 보겠습니다. 글의 본문에 나오듯이 숫자 3에 대해 다음과 같이 쪼개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 * *   3 
*|* *   1+2 
* *|*   2+1 
*|*|*   1+1+1 

사실 이렇게 나누는 것은 쉽습니다. ^^ (제 짧은 수학 지식으로도 예전에 읽었던 통계 책의 기억에 따라) 나누는 기준을 '칸막이'라고 생각하면 쉽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게다가 2진 코드에 익숙한 우리네 개발자들이라면 칸막이의 유무를 비트로 생각하면 더욱 이해가 쉽습니다.

즉, 다음과 같이 0과 1로 대체해 보면 됩니다.

* * *   3 
 0 0

*|* *   1+2 
 1 0

* *|*   2+1 
 0 1

*|*|*   1+1+1 
 1 1

00, 10, 01, 11의 경우로 나오는데요. 그렇습니다. 바로 그 익숙한 2진수입니다. 따라서 n개의 동전인 경우 그것을 나누기 경우의 수는 2(n - 1)로 간단하게 구할 수 있습니다. 위에서는 n == 3이기 때문에 2(3 - 1)이므로 4가 나오는 것입니다.




동전 나누기 이야기를 더 하기 전에 "Enumerating integer compositions (the return of the binomial coefficients)" 글의 제목에 나온 "이항 계수(binomial coefficient)"에 대해 잠시 알아보겠습니다.

이항계수
; http://ko.wikipedia.org/wiki/%EC%9D%B4%ED%95%AD%EA%B3%84%EC%88%98

[알고리즘] 동적프로그래밍 Part 1 - 이항 계수 문제 (Binomal Coefficient)
; http://destiny738.tistory.com/194

위의 글에서도 나오지만 이항계수는 "n개의 서로 다른 물건 중에서 순서 없이 k개를 뽑는 조합의 가짓수"입니다. 즉, 우리가 많이 알고 있던 nCr의 문제이고 따라서 다음의 공식으로 구해집니다.

[MathJax]
\begin{pmatrix}n \\ k\end{pmatrix} = \frac{n!}{k!(n-k)!} \hspace{35pt} if \hspace{15pt} n \geq k \geq 0 \hspace{45pt}

[Google Chart API]
TeX


정의에 따라 이 식을 그대로 factorial 계산을 이용해 구할 수 있습니다.

using System;
using System.Numerics;

class Program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 7개 중에서 3개를 뽑는 조합의 가짓수 == 7C3
        Console.WriteLine(7.C(3)); // 출력 결과: 35
    }
}

static class IntExtension
{
    public static BigInteger C(this int n, int k)
    {
        return n.Factorial() / (k.Factorial() * (n - k).Factorial());
    }

    public static BigInteger Factorial(this int n)
    {
        if (n == 0)
        {
            return 1;
        }

        BigInteger result = 1;
        for (int i = 1; i <= n; i++)
        {
            result *= i;
        }

        return result;
    }
}

하지만 일반적으로 factorial은 계산량이 많기 때문에 재귀호출을 이용한 점화식을 쓰는 것이 효율적입니다. 아래의 글에 나오는 것처럼,

History: 알고리즘 대회에 필요한 수학 - 이항계수
; https://algospot.com/wiki/old/561/%EC%95%8C%EA%B3%A0%EB%A6%AC%EC%A6%98_%EB%8C%80%ED%9A%8C%EC%97%90_%ED%95%84%EC%9A%94%ED%95%9C_%EC%88%98%ED%95%99

이항 계수의 점화식이 있고,

[MathJax]
\begin{pmatrix}n \\ k \end{pmatrix} = \begin{cases} \begin{pmatrix}n - 1 \\ k - 1 \end{pmatrix} + \begin{pmatrix}n - 1 \\ k \end{pmatrix} &\mbox { if } 0 < k < n \\ 1 &\mbox { if } \: k = 0 \: or \: k = n \end{cases}

[Google Chart API]
TeXTeX



복잡하게 factorial 계산할 필요없이 곧바로 이 수식을 코드로 옮겨주면 결과가 나옵니다.

using System;
using System.Numerics;

class Program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Console.WriteLine(7.BC(3)); // 7.C(3)과 결과가 같은 35 출력
    }
}

static class IntExtension
{
    public static BigInteger BC(this int n, int r)
    {
        if (r == 0 || r == n)
        {
            return 1;
        }

        return (n - 1).BC(r - 1) + (n - 1).BC(r);
    }
}

그런데, 조합(Combination)하면 꼭 등장하는 것이 바로 "파스칼의 삼각형"입니다.

파스칼의 삼각형
; http://ko.wikipedia.org/wiki/%ED%8C%8C%EC%8A%A4%EC%B9%BC%EC%9D%98_%EC%82%BC%EA%B0%81%ED%98%95

          1
        1   1
      1   2   1
    1   3   3   1
  1   4   6   4   1
1   5  10  10   5   1

잘 아시는 것처럼, 이 값은 이항 전개에서의 계수들의 값과 일치하기도 합니다.

(n + k)2 = 1 * n2 + 2nk + 1

(n + k)3 = 1 * n3 + 3a2b + 3ab2 + 1



뿐만 아니라, 파스칼의 삼각형이 각 줄마다 nCr의 조합에 해당한다는 것도 꽤나 유명하지요.


[MathJax]
a_{nk} = \begin{pmatrix}n - 1 \\k - 1\end{pmatrix}

[Google Chart API]
TeX


               0C0
            1C0   1C1
        2C0    2C1    2C2
     3C0   3C1    3C2   3C3 
  4C0   4C1   4C2   4C3   4C4
5C0  5C1   5C2   5C3   5C4    5C5

즉 파스칼의 삼각형에 n번째 줄의 k번째 수는 각각 1씩 뺀 조합의 수와 일치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5번째 줄의 3번째 값인 6은 (5 - 1)C(3 - 1)의 조합을 의미하고 결국 4C2의 값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어렵게 재귀 호출을 할 필요도 없이 단순하게 파스칼의 삼각형 값만 갖는 자료 구조가 있는 경우 nCr의 수를 인덱스 번호만으로 바로 구할 수 있습니다.

using System;
using System.Collections.Generic;
using System.Diagnostics;

class Program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Console.WriteLine(PascalTriangle(4, 2)); // 출력 결과: 6
    }
    
    public static int PascalTriangle(int n, int r)
    {
        List<int[]> list = new List<int[]>();

        for (int i = 0; i <= n; i++)
        {
            list.Add(new int[i + 1]);

            for (int j = 0; j < i + 1; j++)
            {
                if (j == 0 || j == i)
                {
                    list[i][j] = 1;
                }
                else
                {
                    list[i][j] = list[i - 1][j - 1] + list[i - 1][j];
                }
            }
        }

        return list[n][r];
    }
}

가볍게 성능 테스트를 해볼까요? n == 30, r == 12로 한 경우 재귀 호출을 했던 2번째 방식이 가장 극악의 성능을 보여줬습니다.

팩토리얼 30.C(12)   : 수행 시간 69 ticks
재귀호출 30.BC(12)  : 수행 시간 32825809 ticks
파스칼 삼각형       : 수행 시간 35 ticks

소스 코드를 보면 알겠지만 팩토리얼의 경우 중간 결과값이 쉽게 int 범위를 벗어날 수 있으므로 BigInteger를 사용하는 탓에 파스칼 삼각형과 비교해 수행 시간이 아주 쪼~~~끔 밀리긴 했지만 가장 빠른 방식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파스칼 삼각형이 구성하는 것도 팩토리얼에 비해 뒤지지 않는 성능을 보이면서도, 일단 한번 구성된 이후로는 자연스럽게 캐시(Cache) 용도로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성능상 가장 권장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마지막으로, 파스칼의 삼각형은 다시 처음의 동전 더미 나누기와 연관이 됩니다. 왜냐하면 삼각형 구성에서 하나의 줄은 그 동전으로 뽑을 수 있는 모든 가짓수를 나타내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Enumerating integer compositions (the return of the binomial coefficients)" 글에서 다룬 3개의 동전 무더기를 나누는 경우의 수는 2C0, 2C1, 2C2의 가짓수의 합이 되고 처음에 언급했던 것처럼 이것은 2(n - 1)이 되는 것입니다.

결국, (학창시절에 배웠던 데로) 파스칼의 삼각형의 한 줄의 합은 2(n - 1)입니다.




자, 이제 다시 "프로젝트 오일러의 76, 78번 문제"에서의 동전 무더기 나누는 문제로 돌아오겠습니다. 이것은 중복된 동전 나누기를 허용하지 않으므로 경우의 수가 다릅니다. 예를 들어 3인 경우,

3
2, 1
1, 2
1, 1, 1

위와 같이 "2, 1"과 "1, 2"에서 한 개만 포함하게 되는 것입니다. 이에 대해서는 별도로 "Partition Number"라는 문제로 바뀌게 되는데요.

Partition (number theory)
; http://en.wikipedia.org/wiki/Integer_partition

그리고 이것이 오각수 정리와 연관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Pentagonal number theorem
; http://en.wikipedia.org/wiki/Pentagonal_number_theorem

그래서 위의 글에 나온 Partition function을 보면 다음과 같은 함수가 나옵니다.


[MathJax]
p(n)=\sum_{k}(-1)^{k-1}p(n-g_{k})

[Google Chart API]
TeX


저 같은 사람은, 시그마 기호만 봐도 울렁증이 생기는데요. 다행히 이것을 쉽게 풀어 놓은 식이 함께 제공됩니다. ^^

p(n) = p(n - 1) + p(n - 2) - p(n - 5) - p(n - 7) + ...

여기서 p 함수의 인자에 빼기 값으로 1, 2, 5, 7, ... 수열이 나오는데요. 이것이 바로 프로젝트 오일러 45번 문제에서 이미 소개된 오각수입니다.

Pn = n (3n - 1) / 2    

단지, 오각수의 수열이 n = 1, 2, 3, 4, 5, ...을 대입하는 것과는 다르게 오일러의 오각수 정리에서는 n의 값으로 1, -1, 2, -2, 3, -3, ... 과 같은 식으로 대입을 하게 됩니다. 그런 경우 바로 우리가 p 함수에서 원했던 다음과 같은 수열이 나옵니다.

1, 2, 5, 7, 12, 15, 22, 26, 35, 40, ...

오호~~~ 그럼 이제 문제를 푼 것이나 다름없습니다. 단지, 재귀 호출로 이뤄져 있기 때문에 약간 복잡한 면이 있는데, 정의에 따라 p 함수는 p(0) == 1이고, p(n < 0) == 0이므로 p(n)의 계산을 다음과 같이 할 수 있습니다.

n == 1일때,
p(1) = p(1 - 1) + p(1 - 2) - ...  // 두 번째 p 함수에서 음수가 되었으므로 그 이후부터는 결과가 모두 0이 되므로 더 이상 수행할 필요가 없음. 

따라서 p(1) == p(0) == 1

n == 2일때,
p(2) = p(2 - 1) + p(2 - 2) - p(2 - 5) - ... // 세 번째 p 함수부터 0 결과 반환
       
       p(2-1) == p(1) == 1
       p(2-2) == p(0) == 1

따라서 p(2) == 2

n == 3일때,
p(3) = p(3 - 1) + p(3 - 2) - p(3 - 5) - ... // 역시 세 번째 p 함수부터 0 결과 반환

       p(3-1) == p(2), p(2)는 다시,
                 p(2) == p(2 - 1) + p(2 - 2) - p(2 - 5) - ...
                 p(2) == 2

       p(3-2) == p(1) == 1

따라서 p(3) == p(2) + p(1) == 3

어디... 이걸 C# 코드로 한번 만들어 볼까요? ^^

우선, 오각수 수열에 들어갈 n = 1, -1, 2, -2, 3, -3,... 값을 생성하는 것과 이를 오각수 식에 대입해서 나오는 결과 수열을 다음과 같이 IEnumerable 메서드로 반환할 수 있습니다.

public class Pentagonal
{
    public IEnumerable<int> GenerateN()
    {
        int result = 1;

        while (true)
        {
            yield return result;
            yield return result * -1;

            result++;
        } // 1, -1, 2, -2, 3, -3,... 수열을 반환
    }

    public IEnumerable<int> Numbers()
    {
        foreach (int k in GenerateN())
        {
            yield return k * (3 * k - 1) / 2;
        } //  1, 2, 5, 7, ... 수열을 반환
    }
}

재료가 준비되었으니, 이제 재귀 호출 구문으로 오일러 함수를 만들어 주면 됩니다.

public class EulerFunction
{
    public BigInteger P(int n)
    {
        BigInteger sum = 0;

        if (n == 0 || n == 1)
        {
            return 1;
        }

        Pentagonal pentagonal = new Pentagonal();
        int sign = 1;

        foreach (int pentagonalNumber in pentagonal.Numbers())
        {
            int diff = n - pentagonalNumber;
            if (diff < 0)
            {
                break;
            }

            if (sign % 4 == 1 || sign % 4 == 2)
            {
                sum += P(diff);
            }
            else
            {
                sum -= P(diff);
            }

            sign ++;
        }

        return sum;
    }
}

이를 이용해 다음과 같이 자연스럽게 Partition Number 조합을 얻어낼 수 있습니다.

EulerFunction eulerFunction = new EulerFunction();
for (i = 2; i < 100; i++)
{
    Console.WriteLine(i + ": " + eulerFunction.P(i));
}

물론, 이렇게 재귀호출로만 문제를 풀면 이항 계수를 얻어냈을 때 처럼 속도가 무척 느립니다. 위의 메서드는 단지 '원칙에 기반해 작성한 코드'이기 때문에 이해를 위해서만 사용하시고 ^^ 원하는 속도를 얻으려면 여기에 약간의 캐시(Cache)를 적용하면 훨씬 속도가 빨라집니다.

public class EulerFunction
{
    static List<BigInteger> _pCache = new List<BigInteger>();
    static EulerFunction()
    {
        _pCache.Add(1); // P(0) == 1
        _pCache.Add(1); // P(1) == 1
    }

    public BigInteger P(int n)
    {
        BigInteger sum = 0;

        if (_pCache.Count > n)
        {
            return _pCache[n];
        }

        Pentagonal pentagonal = new Pentagonal();
        int sign = 1;

        foreach (int pentagonalNumber in pentagonal.Numbers())
        {
            int diff = n - pentagonalNumber;
            if (diff < 0)
            {
                break;
            }

            if (sign % 4 == 1 || sign % 4 == 2)
            {
                sum += P(diff);
            }
            else
            {
                sum -= P(diff);
            }

            sign ++;
        }

        _pCache.Add(sum);
        return sum;
    }
}

대단하군요. ^^ 이 코드로 "Problem 78 (동전을 여러 더미로 나누는 경우의 수 세기)" 문제를 풀면 1분 안에 10MB 남짓한 메모리만 써서 답을 얻을 수 있습니다. 생짜로 구했을 때는 메모리가 4GB에 376초가 소요되었는데. ^^

(첨부 파일은 이 글에 나온 모든 코드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8/31/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513정성태1/5/20242221닷넷: 2194. C# - WebActivatorEx / System.Web의 PreApplicationStartMethod 특성
13512정성태1/4/20242169개발 환경 구성: 701. IIS - w3wp.exe 프로세스의 ASP.NET 런타임을 항상 Warmup 모드로 유지하는 preload Enabled 설정
13511정성태1/4/20242193닷넷: 2193. C# - ASP.NET Web Application + OpenAPI(Swashbuckle) 스펙 제공
13510정성태1/3/20242119닷넷: 2192. C# - 특정 실행 파일이 있는지 확인하는 방법 (Linux)
13509정성태1/3/20242168오류 유형: 887. .NET Core 2 이하의 프로젝트에서 System.Runtime.CompilerServices.Unsafe doesn't support netcoreapp2.0.
13508정성태1/3/20242215오류 유형: 886. ORA-28000: the account is locked
13507정성태1/2/20242858닷넷: 2191. C# - IPGlobalProperties를 이용해 netstat처럼 사용 중인 Socket 목록 구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3506정성태12/29/20232444닷넷: 2190. C# - 닷넷 코어/5+에서 달라지는 System.Text.Encoding 지원
13505정성태12/27/20232973닷넷: 2189. C# - WebSocket 클라이언트를 닷넷으로 구현하는 예제 (System.Net.WebSockets)파일 다운로드1
13504정성태12/27/20232566닷넷: 2188. C# - ASP.NET Core SignalR로 구현하는 채팅 서비스 예제파일 다운로드1
13503정성태12/27/20232428Linux: 67. WSL 환경 + mlocate(locate) 도구의 /mnt 디렉터리 검색 문제
13502정성태12/26/20232545닷넷: 2187. C# - 다른 프로세스의 환경변수 읽는 예제파일 다운로드1
13501정성태12/25/20232316개발 환경 구성: 700. WSL + uwsgi - IPv6로 바인딩하는 방법
13500정성태12/24/20232407디버깅 기술: 194. Windbg - x64 가상 주소를 물리 주소로 변환
13498정성태12/23/20233090닷넷: 2186. 한국투자증권 KIS Developers OpenAPI의 C# 래퍼 버전 - eFriendOpenAPI NuGet 패키지
13497정성태12/22/20232491오류 유형: 885. Visual Studiio - error : Could not connect to the remote system. Please verify your connection settings, and that your machine is on the network and reachable.
13496정성태12/21/20232471Linux: 66. 리눅스 - 실행 중인 프로세스 내부의 환경변수 설정을 구하는 방법 (gdb)
13495정성태12/20/20232411Linux: 65. clang++로 공유 라이브러리의 -static 옵션 빌드가 가능할까요?
13494정성태12/20/20232575Linux: 64. Linux 응용 프로그램의 (C++) so 의존성 줄이기(ReleaseMinDependency) - 두 번째 이야기
13493정성태12/19/20232693닷넷: 2185. C# - object를 QueryString으로 직렬화하는 방법
13492정성태12/19/20232367개발 환경 구성: 699. WSL에 nopCommerce 예제 구성
13491정성태12/19/20232267Linux: 63. 리눅스 - 다중 그룹 또는 사용자를 리소스에 권한 부여
13490정성태12/19/20232397개발 환경 구성: 698. Golang - GLIBC 의존을 없애는 정적 빌드 방법
13489정성태12/19/20232174개발 환경 구성: 697. GoLand에서 ldflags 지정 방법
13488정성태12/18/20232108오류 유형: 884. HTTP 500.0 - 명령행에서 실행한 ASP.NET Core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방법
13487정성태12/16/20232411개발 환경 구성: 696. C# - 리눅스용 AOT 빌드를 docker에서 수행 [1]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