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Windows: 99. INetCache 폴더가 다르게 보이는 이유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34392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INetCache 폴더가 다르게 보이는 이유

아래의 질문 글이 있습니다.

c# 인터넷 임시 파일 삭제 문의
; https://www.sysnet.pe.kr/3/0/1300

덧글에 나온 것처럼 일단 질문자의 사용자 환경에서 왜 다르게 나오는지는 모르겠지만 그래도 원리는 알고 지나가는 것이 좋겠지요. ^^




우선, 최초 운영체제를 설치한 다음 INetCache를 방문해 보면 다음과 같이 여느 폴더와 다름없는 리스트가 나옵니다.

inetcache_1.png

그리고 해당 폴더에 명령행 창을 이용해 직접 이동해서 dir 명령을 실행하면 다음과 같이 나옵니다.

C:\Users\SeongTae Jeong\AppData\Local\Microsoft\Windows\INetCache>dir /a
 Volume in drive C has no label.
 Volume Serial Number is A0A5-FF2C

 Directory of C:\Users\SeongTae Jeong\AppData\Local\Microsoft\Windows\INetCache

2014-01-08  오후 09:10    <DIR>          .
2014-01-08  오후 09:10    <DIR>          ..
2014-01-08  오전 11:21    <JUNCTION>     Content.IE5 [C:\Users\SeongTae Jeong\AppData\Local\Microsoft\Windows\INetCache\IE\]
2014-01-08  오전 11:21               128 counters.dat
2014-01-08  오전 11:54    <DIR>          IE
2014-01-20  오전 02:35    <DIR>          Low
2014-05-21  오후 01:38    <DIR>          Sqm
2014-01-20  오전 02:35    <DIR>          Virtualized
               1 File(s)            128 bytes
               7 Dir(s)  193,269,039,104 bytes free

위의 <JUNCTION>은 예전에도 몇번 설명드렸던 바로 그 Junction입니다.

윈도우 업데이트 다운로드 폴더를 변경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0/0/394

윈도우 시스템 디스크 용량 확보를 위한 "Package Cache" 폴더 이동
; https://www.sysnet.pe.kr/2/0/1713

윈도우 XP 이전에는 junction으로 폴더를 연결했고, 비스타 이후로는 mklink.exe가 내장되어 /J 옵션을 주는 것으로 가능해졌습니다.

그래서 "C:\Users\[사용자계정]\AppData\Local\Microsoft\Windows\INetCache\IE" 폴더로 이동하면 어떤 파일이 있을까요?

C:\Users\SeongTae Jeong\AppData\Local\Microsoft\Windows\INetCache\IE>dir /a
 Volume in drive C has no label.
 Volume Serial Number is A0A5-FF2C

 Directory of C:\Users\SeongTae Jeong\AppData\Local\Microsoft\Windows\INetCache\
IE

2014-01-08  오전 11:54    <DIR>          .
2014-01-08  오전 11:54    <DIR>          ..
2014-07-21  오후 02:29    <DIR>          AAY9WDXY
2014-01-08  오전 11:21                 0 container.dat
2014-06-30  오전 12:16    <DIR>          LHYU0U2N
2014-06-30  오전 12:15    <DIR>          UIKV0AYO
2014-06-28  오후 11:38    <DIR>          ZF5G5EO4
               1 File(s)              0 bytes
               6 Dir(s)  193,269,030,912 bytes free

그렇습니다. IE가 캐시해 놓은 각종 HTML 파일들이 이곳에 보관되어 있습니다.




이제 재미있는 테스트를 하나 해볼까요? Internet Explorer 웹 브라우저를 실행하고 "Internet Options" 메뉴를 선택하면 대화창이 하나 뜹니다. 거기서 "General" 탭의 "Settings" 버튼을 눌러 "Temporary Internet Files" 탭의 "View files" 버튼을 누르면, 다음과 같은 창이 뜹니다.

inetcache_2.png

동일하게 (C:\Users\SeongTae Jeong\AppData\Local\Microsoft\Windows\)INetCache 폴더가 탐색기에 보여지는데 내용의 뷰가 다릅니다.

그 이유는 "View files" 버튼을 누르는 경우 Internet Explorer가 INetCache 폴더에 desktop.ini 파일을 생성해 두기 때문입니다. 그 파일의 내용을 보면,

C:\Users\SeongTae Jeong\AppData\Local\Microsoft\Windows\INetCache>type desktop.ini
[.ShellClassInfo]
ConfirmFileOp=0
UICLSID={7BD29E00-76C1-11CF-9DD0-00A0C9034933}

COM 객체의 바로 그 CLSID가 나옵니다. 탐색기는 desktop.ini 파일이 있는 폴더의 경우 UICLSID 항목이 있는지 확인하고 그에 대한 COM 개체를 레지스트리를 통해 생성합니다. 실제로 다음의 경로에 가면 어떤 COM 개체를 가리키는지 나옵니다.

경로: HKEY_CLASSES_ROOT\CLSID\{7BD29E00-76C1-11CF-9DD0-00A0C9034933}
    (기본값): Temporary Internet Files

    하위키: DefaultIcon
                (기본값): C:\Windows\System32\ieframe.dll,-20780

            InProcServer32
                (기본값): C:\Windows\System32\ieframe.dll
                ThreadingModel: Apartment

            ShellFolder
                (기본값): (value not set)
                Attributes: 20000004

따라서, 탐색기는 ieframe.dll을 로드하고 DllGetClassObject API를 호출해 {7BD29E00-76C1-11CF-9DD0-00A0C9034933} CLSID를 가진 COM Class Factory를 로드하고 그 객체로부터 CreateInstance 메서드를 호출해 특수 폴더를 볼 수 있는 "뷰어 객체"를 생성하는 것입니다.

일단 이렇게 한번 desktop.ini가 생성이 되면 이후로 인터넷 익스플로러를 거치지 않고 그냥 탐색기를 실행시키면 INetCache 폴더의 내용이 {7BD29E00-76C1-11CF-9DD0-00A0C9034933} CLSID 객체가 보여주는 모습으로 유지됩니다. 물론 해당 파일을 지우고,

C:\Users\SeongTae Jeong\AppData\Local\Microsoft\Windows\INetCache>attrib desktop.ini
   SH        C:\Users\SeongTae Jeong\AppData\Local\Microsoft\Windows\INetCache\desktop.ini

C:\Users\SeongTae Jeong\AppData\Local\Microsoft\Windows\INetCache>attrib -S -H desktop.ini

C:\Users\SeongTae Jeong\AppData\Local\Microsoft\Windows\INetCache>del desktop.ini

다시 탐색기로 INetCache를 보면 원래의 폴더 모습이 나타납니다. 그리고 Internet Explorer의 "View files" 버튼을 누르면 desktop.ini가 또 생성되고 폴더 뷰가 바뀌는 것이 반복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7/17/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0899정성태2/17/201623344개발 환경 구성: 282. kernel32.dll, kernel32legacy.dll, api-ms-win-core-sysinfo-l1-2-0.dll [1]
10898정성태2/17/201621804.NET Framework: 547. PerformanceCounter의 InstanceName 지정 시 주의 사항파일 다운로드1
10897정성태2/17/201621193디버깅 기술: 76. windbg 분석 사례 - 닷넷 프로파일러의 GC 콜백 부하
10896정성태2/17/201622326오류 유형: 320. FATAL: 28000: no pg_hba.conf entry for host "fe80::1970:8120:695:a41e%12"
10895정성태2/17/201621120.NET Framework: 546. System.AppDomain으로부터 .NET Profiler의 AppDomainID 구하는 방법 [1]
10894정성태2/17/201621840오류 유형: 319. Visual Studio에서 찾기는 성공하지만 해당 소스 코드 정보가 보이지 않는 경우
10893정성태2/16/201620505.NET Framework: 545. 닷넷 - 특정 클래스가 로드되었는지 여부를 알 수 있을까? - 두 번째 이야기
10892정성태2/16/201621105오류 유형: 318. 탐색기에서 폴더 생성/삭제 시 몇 초 동안 멈추는 현상
10891정성태2/16/201624127VC++: 95. 내 CPU가 MPX/SGX를 지원할까요? [1]
10890정성태2/15/201624017.NET Framework: 544. C# 5의 Caller Info를 .NET 4.5 미만의 응용 프로그램에 적용하는 방법 [5]
10889정성태2/14/201620305.NET Framework: 543. C++의 inline asm 사용을 .NET으로 포팅하는 방법 - 두 번째 이야기파일 다운로드1
10888정성태2/14/201618643.NET Framework: 542. 닷넷 - 특정 클래스가 로드되었는지 여부를 알 수 있을까?
10887정성태2/3/201619310VC++: 94. MPX(Memory Protection Extensions) 테스트파일 다운로드1
10886정성태2/3/201620533개발 환경 구성: 281. Intel MPX Runtime Driver 수동 설치
10885정성태2/2/201620241오류 유형: 317. Sybase.Data.AseClient.AseException: The command has timed out.
10884정성태1/11/201621447개발 환경 구성: 280. 닷넷에서 SAP Adaptive Server Enterprise 데이터베이스 사용파일 다운로드1
10882정성태1/6/201620752Windows: 113. 윈도우의 2179, 26143, 47001 TCP 포트 사용 [1]
10881정성태1/3/201622183오류 유형: 316. 윈도우 10 - 바탕/돋음 체가 사라져 한글이 깨지는 현상 [2]
10880정성태12/16/201519878오류 유형: 315. 닷넷 프로파일러의 오류 코드 정보
10879정성태12/16/201521811오류 유형: 314. Error : DEP0700 : Registration of the app failed. error 0x80070005
10878정성태12/9/201524848디버깅 기술: 75. UWP(유니버설 윈도우 플랫폼) 앱에서 global::System.Diagnostics.Debugger.Break 예외 발생 시 대응 방법
10877정성태12/9/201529287VC++: 93. std::thread 사용 시 R6010 오류 [2]
10876정성태11/26/201525351.NET Framework: 541. SignedXml을 이용한 ds:Signature만드는 방법 [3]파일 다운로드1
10875정성태11/26/201530332개발 환경 구성: 279. signtool.exe의 다중 서명 기능 [2]
10874정성태11/26/201526344개발 환경 구성: 278. 인증서와 인증서를 이용한 코드 사인의 해시 구분
10873정성태11/25/201525453.NET Framework: 540. C# - 부동 소수 계산 왜 이렇게 나오죠? (2) [3]파일 다운로드1
...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