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Windows: 99. INetCache 폴더가 다르게 보이는 이유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34420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INetCache 폴더가 다르게 보이는 이유

아래의 질문 글이 있습니다.

c# 인터넷 임시 파일 삭제 문의
; https://www.sysnet.pe.kr/3/0/1300

덧글에 나온 것처럼 일단 질문자의 사용자 환경에서 왜 다르게 나오는지는 모르겠지만 그래도 원리는 알고 지나가는 것이 좋겠지요. ^^




우선, 최초 운영체제를 설치한 다음 INetCache를 방문해 보면 다음과 같이 여느 폴더와 다름없는 리스트가 나옵니다.

inetcache_1.png

그리고 해당 폴더에 명령행 창을 이용해 직접 이동해서 dir 명령을 실행하면 다음과 같이 나옵니다.

C:\Users\SeongTae Jeong\AppData\Local\Microsoft\Windows\INetCache>dir /a
 Volume in drive C has no label.
 Volume Serial Number is A0A5-FF2C

 Directory of C:\Users\SeongTae Jeong\AppData\Local\Microsoft\Windows\INetCache

2014-01-08  오후 09:10    <DIR>          .
2014-01-08  오후 09:10    <DIR>          ..
2014-01-08  오전 11:21    <JUNCTION>     Content.IE5 [C:\Users\SeongTae Jeong\AppData\Local\Microsoft\Windows\INetCache\IE\]
2014-01-08  오전 11:21               128 counters.dat
2014-01-08  오전 11:54    <DIR>          IE
2014-01-20  오전 02:35    <DIR>          Low
2014-05-21  오후 01:38    <DIR>          Sqm
2014-01-20  오전 02:35    <DIR>          Virtualized
               1 File(s)            128 bytes
               7 Dir(s)  193,269,039,104 bytes free

위의 <JUNCTION>은 예전에도 몇번 설명드렸던 바로 그 Junction입니다.

윈도우 업데이트 다운로드 폴더를 변경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0/0/394

윈도우 시스템 디스크 용량 확보를 위한 "Package Cache" 폴더 이동
; https://www.sysnet.pe.kr/2/0/1713

윈도우 XP 이전에는 junction으로 폴더를 연결했고, 비스타 이후로는 mklink.exe가 내장되어 /J 옵션을 주는 것으로 가능해졌습니다.

그래서 "C:\Users\[사용자계정]\AppData\Local\Microsoft\Windows\INetCache\IE" 폴더로 이동하면 어떤 파일이 있을까요?

C:\Users\SeongTae Jeong\AppData\Local\Microsoft\Windows\INetCache\IE>dir /a
 Volume in drive C has no label.
 Volume Serial Number is A0A5-FF2C

 Directory of C:\Users\SeongTae Jeong\AppData\Local\Microsoft\Windows\INetCache\
IE

2014-01-08  오전 11:54    <DIR>          .
2014-01-08  오전 11:54    <DIR>          ..
2014-07-21  오후 02:29    <DIR>          AAY9WDXY
2014-01-08  오전 11:21                 0 container.dat
2014-06-30  오전 12:16    <DIR>          LHYU0U2N
2014-06-30  오전 12:15    <DIR>          UIKV0AYO
2014-06-28  오후 11:38    <DIR>          ZF5G5EO4
               1 File(s)              0 bytes
               6 Dir(s)  193,269,030,912 bytes free

그렇습니다. IE가 캐시해 놓은 각종 HTML 파일들이 이곳에 보관되어 있습니다.




이제 재미있는 테스트를 하나 해볼까요? Internet Explorer 웹 브라우저를 실행하고 "Internet Options" 메뉴를 선택하면 대화창이 하나 뜹니다. 거기서 "General" 탭의 "Settings" 버튼을 눌러 "Temporary Internet Files" 탭의 "View files" 버튼을 누르면, 다음과 같은 창이 뜹니다.

inetcache_2.png

동일하게 (C:\Users\SeongTae Jeong\AppData\Local\Microsoft\Windows\)INetCache 폴더가 탐색기에 보여지는데 내용의 뷰가 다릅니다.

그 이유는 "View files" 버튼을 누르는 경우 Internet Explorer가 INetCache 폴더에 desktop.ini 파일을 생성해 두기 때문입니다. 그 파일의 내용을 보면,

C:\Users\SeongTae Jeong\AppData\Local\Microsoft\Windows\INetCache>type desktop.ini
[.ShellClassInfo]
ConfirmFileOp=0
UICLSID={7BD29E00-76C1-11CF-9DD0-00A0C9034933}

COM 객체의 바로 그 CLSID가 나옵니다. 탐색기는 desktop.ini 파일이 있는 폴더의 경우 UICLSID 항목이 있는지 확인하고 그에 대한 COM 개체를 레지스트리를 통해 생성합니다. 실제로 다음의 경로에 가면 어떤 COM 개체를 가리키는지 나옵니다.

경로: HKEY_CLASSES_ROOT\CLSID\{7BD29E00-76C1-11CF-9DD0-00A0C9034933}
    (기본값): Temporary Internet Files

    하위키: DefaultIcon
                (기본값): C:\Windows\System32\ieframe.dll,-20780

            InProcServer32
                (기본값): C:\Windows\System32\ieframe.dll
                ThreadingModel: Apartment

            ShellFolder
                (기본값): (value not set)
                Attributes: 20000004

따라서, 탐색기는 ieframe.dll을 로드하고 DllGetClassObject API를 호출해 {7BD29E00-76C1-11CF-9DD0-00A0C9034933} CLSID를 가진 COM Class Factory를 로드하고 그 객체로부터 CreateInstance 메서드를 호출해 특수 폴더를 볼 수 있는 "뷰어 객체"를 생성하는 것입니다.

일단 이렇게 한번 desktop.ini가 생성이 되면 이후로 인터넷 익스플로러를 거치지 않고 그냥 탐색기를 실행시키면 INetCache 폴더의 내용이 {7BD29E00-76C1-11CF-9DD0-00A0C9034933} CLSID 객체가 보여주는 모습으로 유지됩니다. 물론 해당 파일을 지우고,

C:\Users\SeongTae Jeong\AppData\Local\Microsoft\Windows\INetCache>attrib desktop.ini
   SH        C:\Users\SeongTae Jeong\AppData\Local\Microsoft\Windows\INetCache\desktop.ini

C:\Users\SeongTae Jeong\AppData\Local\Microsoft\Windows\INetCache>attrib -S -H desktop.ini

C:\Users\SeongTae Jeong\AppData\Local\Microsoft\Windows\INetCache>del desktop.ini

다시 탐색기로 INetCache를 보면 원래의 폴더 모습이 나타납니다. 그리고 Internet Explorer의 "View files" 버튼을 누르면 desktop.ini가 또 생성되고 폴더 뷰가 바뀌는 것이 반복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7/17/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
NoWriterDateCnt.TitleFile(s)
339정성태9/14/200619257오류 유형: 11. ProtocolsSection?
338정성태2/4/200727482개발 환경 구성: 12. BUG: 웹 서비스에서 DataTable 사용하기 [2]파일 다운로드1
350정성태10/2/200620679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12.1. ASMX 2.0 and SchemaImporterExtensions파일 다운로드1
335정성태8/20/200628441디버깅 기술: 8. COM+ 서버 응용 프로그램에 대한 F5 디버깅 방법
334정성태8/20/200623666디버깅 기술: 7. VS.NET 2003/2005의 다중 프로젝트 디버깅
333정성태8/20/200624090개발 환경 구성: 11. COM+ 서버 활성화 보안 설정
331정성태8/27/200617079개발 환경 구성: 10. 최대 절전 모드와 VPC 네트워크 문제
330정성태8/20/200617364개발 환경 구성: 9. VPC로 구성하는 개인 환경
328정성태8/20/200635095개발 환경 구성: 8. AppVerifier 사용법 [1]
327정성태8/16/200631888개발 환경 구성: 7. ActiveX 서명 과정 자동화 [1]
326정성태8/16/200625641Team Foundation Server: 13. Sysnet 웹 사이트 TFS Migration
322정성태8/15/200620528개발 환경 구성: 6. 4GB 메모리 구성 [1]
316정성태9/20/200639635디버깅 기술: 6. .NET 예외 처리 정리 [6]
309정성태12/27/200640538디버깅 기술: 5. PDB 이야기 [7]
310정성태8/5/200627627    답변글 디버깅 기술: 5.1. PDB 파일에 따른 Debug 정보 - WinForm + Library 유형의 프로젝트파일 다운로드1
311정성태8/10/200627110    답변글 디버깅 기술: 5.2. PDB 파일에 따른 Debug 정보 - .NET 2.0 Web Application Project + Library 유형의 프로젝트
312정성태8/5/200629877    답변글 디버깅 기술: 5.3. PDB 파일에 따른 Debug 정보 - .NET 2.0 Web Site Model 유형의 프로젝트
313정성태8/12/200628999    답변글 디버깅 기술: 5.4. VS.NET 2005 디버그 모드에서의 PDB 파일 사용 차이 (1)
317정성태8/12/200626459    답변글 디버깅 기술: 5.5. VS.NET 2005 디버그 모드에서의 PDB 파일 사용 차이 (2)
318정성태8/12/200632890    답변글 디버깅 기술: 5.6. VS.NET 2005를 이용한 미니덤프 파일 분석 (1)
319정성태8/12/200627910    답변글 디버깅 기술: 5.7. VS.NET 2005를 이용한 미니덤프 파일 분석 (2) [1]
320정성태8/12/200632043    답변글 디버깅 기술: 5.8. WinDBG를 이용한 미니덤프 파일 분석 [1]
321정성태8/13/200636490    답변글 디버깅 기술: 5.9. Microsoft의 PDB 파일 관리
323정성태8/15/200637814    답변글 디버깅 기술: 5.10. Symbol Server 생성 [4]
324정성태8/15/200634667    답변글 디버깅 기술: 5.11. PDB 파일과 소스 코드
325정성태9/8/200627371    답변글 디버깅 기술: 5.12. CCP를 이용한 Windows Source Code 수준의 디버깅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