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2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12개 있습니다.)
Windows: 63. 윈도우 서버 2012 - Hyper-V의 새로운 기능 Live Migration
; https://www.sysnet.pe.kr/2/0/1356

개발 환경 구성: 211. Hyper-V - Generation 2 유형의 VM 생성 시 ISO 부팅이 안된다면?
; https://www.sysnet.pe.kr/2/0/1603

개발 환경 구성: 236. Hyper-V에 설치한 리눅스 VM의 VHD 크기 늘리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742

개발 환경 구성: 317. Hyper-V 내의 VM에서 다시 Hyper-V를 설치: Nested Virtualization
; https://www.sysnet.pe.kr/2/0/11218

개발 환경 구성: 405. Hyper-V 가상 머신에서 직렬 포트(Serial Port, COM Port) 사용
; https://www.sysnet.pe.kr/2/0/11720

.NET Framework: 798. C# - Hyper-V 가상 머신의 직렬 포트와 연결된 Named Pipe 간의 통신
; https://www.sysnet.pe.kr/2/0/11722

디버깅 기술: 169. Hyper-V의 VM에 대한 메모리 덤프를 뜨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284

개발 환경 구성: 608. Hyper-V 가상 머신에 Console 모드로 로그인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859

개발 환경 구성: 664. Hyper-V에 설치한 리눅스 VM의 VHD 크기 늘리는 방법 - 두 번째 이야기
; https://www.sysnet.pe.kr/2/0/13246

Windows: 259. Hyper-V Generation 1 유형의 VM을 Generation 2 유형으로 바꾸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564

개발 환경 구성: 718. Hyper-V - 리눅스 VM에 새로운 디스크 추가
; https://www.sysnet.pe.kr/2/0/13706

Windows: 280. Hyper-V의 3가지 Thread Scheduler (Classic, Core, Root)
; https://www.sysnet.pe.kr/2/0/13901




Hyper-V에 설치한 리눅스 VM의 VHD 크기 늘리는 방법

(2023-02-06 업데이트) 이제는 다음의 글을 참고하시면 됩니다.

Hyper-V에 설치한 리눅스 VM의 VHD 크기 늘리는 방법 - 두 번째 이야기
; https://www.sysnet.pe.kr/2/0/13246




윈도우 운영체제가 설치된 VM의 VHD 파일 크기를 늘리는 방법은 예전에 한번 소개해 드렸죠. ^^

Hyper-V VHD 파일 크기 확장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711

이번엔 리눅스 VM을 위한 방법입니다. 일단, df 명령어를 이용해 콘솔에서 리눅스 VM의 디스크 용량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root@ubuntux64:~# df
Filesystem                 1K-blocks     Used Available Use% Mounted on
/dev/mapper/ubuntux64-root  15399960 15171380         0 100% /
udev                         2012356        4   2012352   1% /dev
tmpfs                         808588      508    808080   1% /run
none                            5120        0      5120   0% /run/lock
none                         2021464        0   2021464   0% /run/shm
overflow                        1024     1024         0 100% /tmp
/dev/sda1                     233191    48119    172631  22% /boot

/dev/mapper/ubuntux64-root 영역이 100% 사용중이군요. ^^;

우선, 윈도우와 마찬가지로 "Hyper-V VHD 파일 크기 확장하는 방법" 글에서 설명한대로 VHD 파일 자체의 용량을 먼저 늘려야 합니다. 그런 다음 VM 내부의 운영체제에 늘어난 용량을 인식시켜야 하는데요. 다음의 글을 참조하면 됩니다.

Expanding the Size of Disk Volume on a Hyper-V Linux Guest.
; http://oneit.hubpages.com/hub/Expanding-the-Disk-Volume-on-a-Hyper-V-Linux-Guest

위의 글에서는 cfdisk 도구를 이용하고 있는데 설치되어 있지 않으면 apt-get(또는 yum)으로 다운로드 받아야 합니다. (그런데, 디스크 공간이 부족해서 apt-get 설치가 실패하는데 어떻게 설치하라는 건가요?)

다행히 제 우분투에는 cfdisk가 기본 설치되어 있어서 실행시키면,

root@ubuntux64:~# cfdisk

다음과 같은 화면으로 전환합니다.

extend_linux_vm_vhd_1.png

"Free Space"라고 보이는 것들이 방금 Hyper-V에서 vhd를 확장했기 때문에 나오는 것이라고 합니다. 그림에서 마지막 항목을 보면 "Pri/Log Free Space 8590.99"가 나오는데요. 제가 늘린 8GB 정도의 용량입니다. 이를 선택하고 "New" 메뉴를 실행하면 하단 메뉴가 "[Primary] [Logical] [Cancel]"로 바뀌는데 "[Logical]" 메뉴를 선택한 다음 이어지는 용량 선택에서 전체 용량을 설정합니다.

그럼, 화면에는 방금 확장한 Logical 디스크가 보입니다.

extend_linux_vm_vhd_2.png

현재 생성된 Logical 디스크의 File System 타입이 "Linux"라고 나오는데, 하단의 메뉴에서 "[Type]"을 선택하면 변경할 수 있는 타입 목록이 쭉 나오고,

extend_linux_vm_vhd_3.png

이 중에서 "8E"에 해당하는 "Linux LVM" File System 타입으로 변경해 줍니다. 역시 완료후에는 다음과 같은 화면을 볼 수 있습니다.

extend_linux_vm_vhd_4.png

여기까지의 설정 사항을 하단의 "[Write]" 메뉴를 이용해 저장해 주고, cfdisk를 종료합니다.




아직 끝난 것이 아닙니다. 우리가 필요한 것은 sda5의 용량이 늘어나는 것인데, 엉뚱하게 sda6으로 새롭게 파티션이 추가된 것이므로 원래 의도했던 대로 sda5로 확장해 주어야 합니다.

"Expanding the Size of Disk Volume on a Hyper-V Linux Guest." 글에서는 방금 생성한 sda6에 대해 pvcreate를 이용해 Physical Volume을 만들라고 하는데 제 경우에는 그런 볼륨이 없다고 오류(Device /dev/sda6 not found.)가 발생했습니다.

혹시나 싶어 재부팅을 한 다음에 실행하니, 이번에는 성공했습니다. ^^

root@ubuntux64:~# pvcreate /dev/sda6
  Physical volume "/dev/sda6" successfully created

이렇게 하고 확인을 위해 cfdisk를 실행해 보면 다음과 같이 "FS Type"이 sda5와 동일하게 바뀌었습니다. (잘 되고 있는 것 같습니다. ^^)

extend_linux_vm_vhd_5.png

이제 2개의 볼륨을 합쳐야 하는데요. 이를 위해 볼륨 그룹 이름(VG Name)을 알아야 하는 것 같습니다. 방법은 "lvdisplay" 명령을 실행하면 되는데, 제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출력되었습니다.

root@ubuntux64:~# lvdisplay
  --- Logical volume ---
  LV Name                /dev/ubuntux64/root
  VG Name                ubuntux64
  LV UUID                655R4k-eavo-qDdW-J74F-DFFt-wJDS-Q5oydZ
  LV Write Access        read/write
  LV Status              available
  # open                 1
  LV Size                14.74 GiB
  Current LE             3773
  Segments               1
  Allocation             inherit
  Read ahead sectors     auto
  - currently set to     256
  Block device           252:0

  --- Logical volume ---
  LV Name                /dev/ubuntux64/swap_1
  VG Name                ubuntux64
  LV UUID                Z6RGml-tc3I-ZE3Z-LV6C-kA6d-Ezsy-Zc3M03
  LV Write Access        read/write
  LV Status              available
  # open                 2
  LV Size                1020.00 MiB
  Current LE             255
  Segments               1
  Allocation             inherit
  Read ahead sectors     auto
  - currently set to     256
  Block device           252:1

즉, 저는 VG Name이 "ubuntux64" 입니다. 따라서 sda6 파티션을 ubuntux64 그룹에 참여하도록 다음과 같이 명령을 실행합니다.

root@ubuntux64:~# vgextend ubuntux64 /dev/sda6
  Volume group "ubuntux64" successfully extended

볼륨 그룹에 참여했으니, 이제 그룹 내의 특정 파티션을 확장할 수 있는데 이때 기존 파티션 명은 lvdisplay 출력 결과에서 "LV Name"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제 경우에는 "/dev/ubuntux64/root"이므로 다음과 같이 파티션 확장을 했습니다.

root@ubuntux64:~# lvresize -l +100%FREE /dev/ubuntux64/root
  Extending logical volume root to 22.76 GiB
  Logical volume root successfully resized

마지막으로 resize2fs 명령을 내리면 끝!

root@ubuntux64:~# resize2fs /dev/ubuntux64/root
resize2fs 1.42 (29-Nov-2011)
Filesystem at /dev/ubuntux64/root is mounted on /; on-line resizing required
old_desc_blocks = 1, new_desc_blocks = 2
Performing an on-line resize of /dev/ubuntux64/root to 5966848 (4k) blocks.

정말 크기가 증가했는지 df 명령으로 확인해 봅니다. ^^

root@ubuntux64:~# df -H
Filesystem                  Size  Used Avail Use% Mounted on
/dev/mapper/ubuntux64-root   24G   16G  6.9G  70% /
udev                        2.1G  4.1k  2.1G   1% /dev
tmpfs                       828M  525k  828M   1% /run
none                        5.3M     0  5.3M   0% /run/lock
none                        2.1G     0  2.1G   0% /run/shm
/dev/sda1                   239M   50M  177M  22% /boot
overflow                    1.1M   37k  1.1M   4% /tmp

그나저나... 이런거 보면 역시나 윈도우가 쉽긴 합니다.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2/7/2023]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14-09-16 01시28분
정성태
2019-12-06 02시41분
[ubuntu 18의 경우]
cfdisk에서 "Resize" 메뉴로 확장을 한 후 "resize2fs /dev/sda1"와 같은 식의 명령어만 실행.

추가 disk의 경우 mount 시킨 경우에는 "resize2fs ..."를 바로 실행해 확장
정성태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061정성태11/20/201919332Windows: 167. CoTaskMemAlloc/CoTaskMemFree과 윈도우 Heap의 관계
12060정성태11/20/201920937디버깅 기술: 132. windbg/Visual Studio - HeapFree x64의 동작 분석
12059정성태11/20/201920129디버깅 기술: 131. windbg/Visual Studio - HeapFree x86의 동작 분석
12058정성태11/19/201920760디버깅 기술: 130. windbg - CoTaskMemFree/FreeCoTaskMem에서 발생한 덤프 분석 사례
12057정성태11/18/201916632오류 유형: 579. Visual Studio - Memory 창에서 유효한 주소 영역임에도 "Unable to evaluate the expression." 오류 출력
12056정성태11/18/201922302개발 환경 구성: 464. "Microsoft Visual Studio Installer Projects" 프로젝트로 EXE 서명 및 MSI 파일 서명 방법파일 다운로드1
12055정성태11/17/201916453개발 환경 구성: 463. Visual Studio의 Ctrl + Alt + M, 1 (Memory 1) 등의 단축키가 동작하지 않는 경우
12054정성태11/15/201918022.NET Framework: 869. C# - 일부러 GC Heap을 깨뜨려 GC 수행 시 비정상 종료시키는 예제
12053정성태11/15/201919779Windows: 166. 윈도우 10 - 명령행 창(cmd.exe) 속성에 (DotumChe, GulimChe, GungsuhChe 등의) 한글 폰트가 없는 경우
12052정성태11/15/201918584오류 유형: 578. Azure - 일정(schedule)에 등록한 runbook이 1년 후 실행이 안 되는 문제(Reason - The key used is expired.)
12051정성태11/14/201922016개발 환경 구성: 462. 시작하자마자 비정상 종료하는 프로세스의 메모리 덤프 - procdump [1]
12050정성태11/14/201919623Windows: 165. AcLayers의 API 후킹과 FaultTolerantHeap
12049정성태11/13/201920087.NET Framework: 868. (닷넷 프로세스를 대상으로) 디버거 방식이 아닌 CLR Profiler를 이용해 procdump.exe 기능 구현
12048정성태11/12/201920239Windows: 164. GUID 이름의 볼륨에 해당하는 파티션을 찾는 방법
12047정성태11/12/201922518Windows: 163. 안전하게 eject시킨 USB 장치를 물리적인 재연결 없이 다시 인식시키는 방법
12046정성태10/29/201917073오류 유형: 577. windbg - The call to LoadLibrary(...\sos.dll) failed, Win32 error 0n193
12045정성태10/27/201917024오류 유형: 576. mstest.exe 실행 시 "Visual Studio Enterprise is required to execute the test." 오류 - 두 번째 이야기
12044정성태10/27/201916617오류 유형: 575. mstest.exe - System.Resources.MissingSatelliteAssemblyException: The satellite assembly named "Microsoft.VisualStudio.ProductKeyDialog.resources.dll, ..."
12043정성태10/27/201918174오류 유형: 574. Windows 10 설치 시 오류 - 0xC1900101 - 0x4001E
12042정성태10/26/201917894오류 유형: 573. OneDrive 하위에 위치한 Documents, Desktop 폴더에 대한 권한 변경 시 "Unable to display current owner"
12041정성태10/23/201918854오류 유형: 572. mstest.exe - The load test results database could not be opened.
12040정성태10/23/201919238오류 유형: 571. Unhandled Exception: System.Net.Mail.SmtpException: Transaction failed. The server response was: 5.2.0 STOREDRV.Submission.Exception:SendAsDeniedException.MapiExceptionSendAsDenied
12039정성태10/22/201916661스크립트: 16. cmd.exe의 for 문에서는 ERRORLEVEL이 설정되지 않는 문제
12038정성태10/17/201916749오류 유형: 570. SQL Server 2019 RC1 - SQL Client Connectivity SDK 설치 오류
12037정성태10/15/201924223.NET Framework: 867. C# - Encoding.Default 값을 바꿀 수 있을까요?파일 다운로드1
12036정성태10/14/201925297.NET Framework: 866. C# - 고성능이 필요한 환경에서 GC가 발생하지 않는 네이티브 힙 사용파일 다운로드1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