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오류 유형: 238. 설치 오류 - Failed to get size of pseudo bundle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24521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설치 오류 - Failed to get size of pseudo bundle

Visual Studio 2013 Update 3을 설치하려고 미리 다운로드 받은 vs2013.3.iso 파일을 마운트 시키고 vs2013.3.exe 파일을 실행시키니 다음과 같은 오류 창이 나옵니다.

vs_update3_1.png

Update 3 does not apply, or is blocked by another condition on your computer.

제시된 "log file" 링크를 누르면 메모장으로 로그 파일이 뜨는데, 다음과 같은 에러 내용이 눈에 들어옵니다.

[2208:1824][2014-09-12T09:25:51]i000: Setting string variable 'CurrentSqmOption' to value '0'
[2208:1824][2014-09-12T09:25:51]e000: Error 0x80070003: Failed to get size of pseudo bundle: C:\ProgramData\Package Cache\{3c348532-c3bd-4bae-a928-7b555f8c808f}\VS2013.2.exe
[2208:1824][2014-09-12T09:25:51]e000: Error 0x80070003: Failed to initialize package from related bundle id: {3c348532-c3bd-4bae-a928-7b555f8c808f}
[2208:1824][2014-09-12T09:25:51]e000: Error 0x80070003: Failed to get size of pseudo bundle: C:\ProgramData\Package Cache\{8b2217f8-79ad-4765-bf57-14ce568feb53}\vssdk_full.exe
[2208:1824][2014-09-12T09:25:51]e000: Error 0x80070003: Failed to initialize package from related bundle id: {8b2217f8-79ad-4765-bf57-14ce568feb53}
[2208:1824][2014-09-12T09:25:51]e000: Error 0x80070003: Failed to get size of pseudo bundle: C:\ProgramData\Package Cache\{cd09eea6-d0b3-4246-bb80-e047ceadf61f}\vs_ultimate.exe
[2208:1824][2014-09-12T09:25:51]e000: Error 0x80070003: Failed to initialize package from related bundle id: {cd09eea6-d0b3-4246-bb80-e047ceadf61f}

업데이트 3를 설치하는데 이상하게도 이전 업데이트 2에서 사용된 vs2013.2.exe 파일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이래서, "Package Cache" 폴더는 삭제하지 말라고 하나 봅니다.)

재미있는 것은 "Package Cache" 폴더인데 예전에 jucntion/mklink 프로그램을 이용해 다른 경로로 링크해 놓은 폴더였습니다.

윈도우 시스템 디스크 용량 확보를 위한 "Package Cache" 폴더 이동
; https://www.sysnet.pe.kr/2/0/1713

문제는? 링크가 풀려버린 것입니다. 그래서 "C:\ProgramData\Package Cache" 폴더가 이전에 우회 경로로 설정한 "e:\mklinkDir\Package Cache" 폴더를 가리키고 있지 않은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vs2013.2.exe 파일을 찾을 수 없었고 그 이후의 프로그램 설치 시 오류가 발생한 것입니다.

어쨌든, 다시 mklink로 풀려버린 링크를 재설정하는 것으로 문제 해결! (mklink가 풀리다늬! 불안하군요.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9/16/2014]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053정성태11/15/201922446Windows: 166. 윈도우 10 - 명령행 창(cmd.exe) 속성에 (DotumChe, GulimChe, GungsuhChe 등의) 한글 폰트가 없는 경우
12052정성태11/15/201921306오류 유형: 578. Azure - 일정(schedule)에 등록한 runbook이 1년 후 실행이 안 되는 문제(Reason - The key used is expired.)
12051정성태11/14/201927203개발 환경 구성: 462. 시작하자마자 비정상 종료하는 프로세스의 메모리 덤프 - procdump [1]
12050정성태11/14/201924645Windows: 165. AcLayers의 API 후킹과 FaultTolerantHeap
12049정성태11/13/201925163.NET Framework: 868. (닷넷 프로세스를 대상으로) 디버거 방식이 아닌 CLR Profiler를 이용해 procdump.exe 기능 구현
12048정성태11/12/201924270Windows: 164. GUID 이름의 볼륨에 해당하는 파티션을 찾는 방법
12047정성태11/12/201926668Windows: 163. 안전하게 eject시킨 USB 장치를 물리적인 재연결 없이 다시 인식시키는 방법
12046정성태10/29/201920508오류 유형: 577. windbg - The call to LoadLibrary(...\sos.dll) failed, Win32 error 0n193
12045정성태10/27/201921902오류 유형: 576. mstest.exe 실행 시 "Visual Studio Enterprise is required to execute the test." 오류 - 두 번째 이야기
12044정성태10/27/201920201오류 유형: 575. mstest.exe - System.Resources.MissingSatelliteAssemblyException: The satellite assembly named "Microsoft.VisualStudio.ProductKeyDialog.resources.dll, ..."
12043정성태10/27/201922784오류 유형: 574. Windows 10 설치 시 오류 - 0xC1900101 - 0x4001E
12042정성태10/26/201920793오류 유형: 573. OneDrive 하위에 위치한 Documents, Desktop 폴더에 대한 권한 변경 시 "Unable to display current owner"
12041정성태10/23/201923338오류 유형: 572. mstest.exe - The load test results database could not be opened.
12040정성태10/23/201924195오류 유형: 571. Unhandled Exception: System.Net.Mail.SmtpException: Transaction failed. The server response was: 5.2.0 STOREDRV.Submission.Exception:SendAsDeniedException.MapiExceptionSendAsDenied
12039정성태10/22/201919889스크립트: 16. cmd.exe의 for 문에서는 ERRORLEVEL이 설정되지 않는 문제
12038정성태10/17/201921497오류 유형: 570. SQL Server 2019 RC1 - SQL Client Connectivity SDK 설치 오류
12037정성태10/15/201929036.NET Framework: 867. C# - Encoding.Default 값을 바꿀 수 있을까요?파일 다운로드1
12036정성태10/14/201930999.NET Framework: 866. C# - 고성능이 필요한 환경에서 GC가 발생하지 않는 네이티브 힙 사용파일 다운로드1
12035정성태10/13/201922769개발 환경 구성: 461. C# 8.0의 #nulable 관련 특성을 .NET Framework 프로젝트에서 사용하는 방법 [2]파일 다운로드1
12034정성태10/12/201921885개발 환경 구성: 460. .NET Core 환경에서 (프로젝트가 아닌) C# 코드 파일을 입력으로 컴파일하는 방법 [1]
12033정성태10/11/201926875개발 환경 구성: 459. .NET Framework 프로젝트에서 C# 8.0/9.0 컴파일러를 사용하는 방법
12032정성태10/8/201922029.NET Framework: 865. .NET Core 2.2/3.0 웹 프로젝트를 IIS에서 호스팅(Inproc, out-of-proc)하는 방법 - AspNetCoreModuleV2 소개
12031정성태10/7/201921155오류 유형: 569. Azure Site Extension 업그레이드 시 "System.IO.IOException: There is not enough space on the disk" 예외 발생
12030정성태10/5/201928091.NET Framework: 864. .NET Conf 2019 Korea - "닷넷 17년의 변화 정리 및 닷넷 코어 3.0" 발표 자료 [1]파일 다운로드1
12029정성태9/27/201927489제니퍼 .NET: 29. Jennifersoft provides a trial promotion on its APM solution such as JENNIFER, PHP, and .NET in 2019 and shares the examples of their application.
12028정성태9/26/201924359.NET Framework: 863. C# - Thread.Suspend 호출 시 응용 프로그램 hang 현상을 해결하기 위한 시도파일 다운로드1
...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