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7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5개 있습니다.)
.NET Framework: 431. .NET EXE 파일을 닷넷 프레임워크 버전에 상관없이 실행할 수 있을까요?
; https://www.sysnet.pe.kr/2/0/1659

.NET Framework: 461. .NET EXE 파일을 닷넷 프레임워크 버전에 상관없이 실행할 수 있을까요? - 두 번째 이야기
; https://www.sysnet.pe.kr/2/0/1746

VC++: 129. EXE를 LoadLibrary로 로딩해 PE 헤더에 있는 EntryPoint를 직접 호출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858

디버깅 기술: 126. windbg - .NET x86 CLR2/CLR4 EXE의 EntryPoint
; https://www.sysnet.pe.kr/2/0/11861

디버깅 기술: 127. windbg - .NET x64 EXE의 EntryPoint
; https://www.sysnet.pe.kr/2/0/11863




.NET EXE 파일을 닷넷 프레임워크 버전에 상관없이 실행할 수 있을까요? - 두 번째 이야기

전에 쓴 글에서,

.NET EXE 파일을 닷넷 프레임워크 버전에 상관없이 실행할 수 있을까요?
; https://www.sysnet.pe.kr/2/0/1659

"대신... 이런 방법은 어떨까요? Visual C++로 exe를 만들고 그 안에 닷넷 EXE + app.config을 리소스로 포함하는 것입니다" 라고 잠깐 언급을 했었는데요. 생각해 보니 app.config을 포함할 필요는 없습니다. 즉, app.config없이 다음과 같은 supportedRuntime이 설정된 것처럼 동작시킬 수 있습니다.

<?xml version="1.0"?>
<configuration>
    <startup>
        <supportedRuntime version="v4.0.30319"/>
        <supportedRuntime version="v2.0.50727"/>
    </startup>
</configuration>

왜냐하면 이를 위한 2가지 조건이 이미 갖춰져 있기 때문입니다.

  • C++에서는 원하는 CLR을 로드할 수 있다.
  • CLR 4 환경에서도 .NET 2.0 대상의 어셈블리를 로드할 수 있다.

자.. 그럼 실제로 한번 해볼까요? ^^

호스팅 코드에 대해서는 이미 다음과 같이 CLR 2/4에 대해 각각 마이크로소프트에서 친절하게 예제 코드로 배포하고 있으니 이를 참조하겠습니다.

C++ app hosts CLR and invokes .NET assembly (CppHostCLR)
; http://code.msdn.microsoft.com/windowsdesktop/CppHostCLR-4da36165

C++ app hosts CLR 4 and invokes .NET assembly (CppHostCLR)
; http://code.msdn.microsoft.com/windowsdesktop/CppHostCLR-e6581ee0

우선, CLR 4 환경을 로드하는 시도를 해보겠습니다.

HRESULT hr;
ICLRMetaHost *pMetaHost = nullptr;
hr = CLRCreateInstance(CLSID_CLRMetaHost, IID_PPV_ARGS(&pMetaHost));

ICLRMetaHost 인터페이스는 .NET 4.0부터 지원하고 있기 때문에 .NET 2.0만 설치된 컴퓨터에서는 인스턴스 생성에 실패하게 됩니다. 오호~~~ 그렇다면 이것에 실패했을 때는 재차 CLR 2 환경을 초기화하려는 시도를 해보면 된다는 이야기입니다.

ICorRuntimeHost *pCorRuntimeHost = nullptr;
if (FAILED(hr))
{
    wprintf(L"CLRCreateInstance failed: 0x%x (.NET 4 not installed)\n", hr);

    // 실패한다면 CLR 2 로드를 시도
    PCWSTR pszFlavor = L"wks";
    PCWSTR pszVersion = L"v2.0.50727";

    hr = CorBindToRuntimeEx(
        pszVersion,                     // Runtime version 
        pszFlavor,                      // Flavor of the runtime to request 
        0,                              // Runtime startup flags 
        CLSID_CorRuntimeHost,           // CLSID of ICorRuntimeHost 
        IID_PPV_ARGS(&pCorRuntimeHost)  // Return ICorRuntimeHost 
        );

    if (FAILED(hr))
    {
        wprintf(L".NET 2.0 load failed\n");
        break;
    }
    else
    {
        wprintf(L".NET 2.0 loaded\n");
    }
}

위의 코드에서 ICorRuntimeHost 인터페이스를 구해오는데요. .NET 4.0 로드에서 성공했다면 ICLRMetaHost로부터 다음과 같은 절차를 거쳐서 동일한 ICorRuntimeHost 인터페이스를 구할 수 있습니다.

hr = pMetaHost->GetRuntime(L"v4.0.30319", IID_PPV_ARGS(&pRuntimeInfo));
if (FAILED(hr))
{
    wprintf(L".NET 4.0 load failed\n");
    break;
}
else
{
    wprintf(L".NET 4.0 loaded\n");
}

hr = pRuntimeInfo->GetInterface(CLSID_CorRuntimeHost, IID_PPV_ARGS(&pCorRuntimeHost));
if (FAILED(hr))
{
    wprintf(L"GetInterface(CLSID_CorRuntimeHost) failed\n");
    break;
}

여기까지 되었으면 게임 끝입니다. 컴퓨터에 설치된 CLR을 로드했으므로 Default AppDomain을 구하고,

hr = pCorRuntimeHost->Start(); // CLR 구동
if (FAILED(hr))
{
    wprintf(L"CLR failed to start\n");
    break;
}

{
    IUnknownPtr spAppDomainThunk = nullptr;
    _AssemblyPtr spAssembly = nullptr;

    hr = pCorRuntimeHost->GetDefaultDomain(&spAppDomainThunk);
    if (FAILED(hr))
    {
        wprintf(L"GetDefaultDomain failed\n");
        break;
    }

    _AppDomainPtr spDefaultAppDomain = spAppDomainThunk;
    if (spDefaultAppDomain == nullptr)
    {
        wprintf(L"Failed to get default _AppDomainPtr\n");
        break;
    }

    // AppDomain을 구했으므로 어셈블리를 로드하고, 실행하는 코드를 추가
    // ... [생략: 아래에서 설명]...
}

pCorRuntimeHost->Stop();

그 중간에 우리가 실행할 .NET EXE를 로드하고 실행하는 코드를 추가하면 됩니다. 우리가 의도하는 것은 .NET 2.0/4.0에 상관없이 실행할 수 있는 단일 EXE 파일만 배포하는 것이므로 .NET 2.0 대상으로 다음의 코드를 포함하는 C# 프로젝트를 하나 만들고,

using System;

class Program
{
    static void Main()
    {
        Console.WriteLine("Sample .NET App - running...");
    }
}

컴파일된 EXE 파일을 C++ 프로젝트에 리소스로 포함시킵니다. 포함된 리소스 바이너리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고,

HMODULE hModule = ::GetModuleHandle(NULL);
HRSRC hResource = FindResource(hModule, MAKEINTRESOURCE(IDR_EXEFILE1), L"EXEFILE");
HGLOBAL hMemory = LoadResource(hModule, hResource);
DWORD dwSize = SizeofResource(hModule, hResource);
LPVOID lpAddress = LockResource(hMemory);

이를 SafeArray에 담아 Main 메서드를 찾아 실행하면 됩니다.

SAFEARRAYBOUND rgsabound[] = { dwSize, 0 };
SAFEARRAY *pSafeArray = SafeArrayCreate(VT_UI1, 1, rgsabound);
pSafeArray->pvData = lpAddress;

hr = spDefaultAppDomain->Load_3(pSafeArray, &spAssembly);
/*
Critical error detected c0000374
ConsoleApplication1.exe has triggered a breakpoint.
*/
// SafeArrayDestroy(pSafeArray);

if (FAILED(hr))
{
    wprintf(L"Failed to load the assembly\n");
    break;
}

_MethodInfoPtr mainMethod;
hr = spAssembly->get_EntryPoint(&mainMethod);

if (FAILED(hr))
{
    wprintf(L"No Entry method\n");
    break;
}

VARIANT vtEmpty;
VariantInit(&vtEmpty);

BindingFlags flags = (BindingFlags)(BindingFlags::BindingFlags_InvokeMethod | BindingFlags::BindingFlags_Static);
hr = mainMethod->Invoke_2(vtEmpty, flags,
    nullptr, nullptr, nullptr, nullptr);

생각보다 어렵지 않지요? ^^

이제 C++ 프로젝트를 빌드한 단일 EXE 파일을 .NET 2.0만 설치된 컴퓨터에 복사해서 실행하면 다음과 같은 출력 결과를 얻을 수 있고,

D:\temp>ConsoleApplication1.exe
CLRCreateInstance failed: 0x80004001 (.NET 4 not installed)
.NET 2.0 loaded
Sample .NET App - running...

.NET 4.0만 설치된 컴퓨터에서도 마찬가지로 잘 실행이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D:\temp>ConsoleApplication1.exe
.NET 4.0 loaded
Sample .NET App - running...

오~~~ 멋집니다. ^^

게다가 .NET Framework이 아예 설치되어 있지 않다면 이후의 원하는 동작도 자유롭게 제어할 수 있는 권한도 얻게 된 것입니다.

(첨부 파일은 이 글의 예제 코드를 포함합니다.)
(github에 예제 코드를 올려 두었습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1/24/2020]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14-09-18 11시50분
[ryujh] 안녕하세요.
본문에서는 .net 4.0 부터 찾아서 실행해보고 다음에 .net 2.0 찾게 되어있는데, 즉 상위버전부터 찾는 것 같
.net 2.0 등 하위버전 부터 찾는 것도 가능한가요? 아마 로직을 바꾸면 가능할 것 같은데 단
.net 4.0 과 .net 2.0 이 공존할때 .net 2.0 으로 실행하는 것이 의미가 없는 것일까요?

감사합니다.
[guest]
2014-09-19 12시57분
ryujh님, 당연히 코드 순서를 바꾸면 .NET 2.0 이후 4.0을 찾게 됩니다. 단지, 최근 CLR이 더 나은 성능을 보이기 때문에 먼저 찾도록 한 것 뿐입니다.
정성태
2014-09-22 07시11분
[spowner] 헐.. 대박. 감사합니다!
[guest]
2015-02-04 12시07분
[초보] 안녕하세요. CLR 버전에 고민하던중 이 글이 정말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다만 제가 C++에 무지한 탓에 몇가지 문제가 생겼는데 혼자 해결하기 어렵네요.
먼저 닷넷 Main 메서드에 인자 값을 받으면 작동이 안된다는 점과
WPF에서는 시작 개체를 변경하여 Main매서드에 인자값을 받지 않게 해도
Failed to call main method가 뜨는데요.
몇일 고민을 해봐도 도무지 모르겠습니다..
혹시 해결방법을 아신다면 답변부탁드려도 될까요?
감사합니다. :)
[guest]
2015-02-04 12시19분
그럼, Main 함수를 바로 부르지 말고 차라리 별도로 자신만의 .NET Assembly를 하나 만들어서 그걸 부르게 한 다음, 그 안에서 다시 원하는 닷넷 Main 메서드를 인자를 가지고 부르게 바꿔보세요. 차라리 그게 더 구현하기 쉬울 것입니다.
정성태
2023-07-17 09시41분
How small is the smallest .NET Hello World binary?
; https://blog.washi.dev/posts/tinysharp/
정성태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
NoWriterDateCnt.TitleFile(s)
339정성태9/14/200619282오류 유형: 11. ProtocolsSection?
338정성태2/4/200727523개발 환경 구성: 12. BUG: 웹 서비스에서 DataTable 사용하기 [2]파일 다운로드1
350정성태10/2/200620704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12.1. ASMX 2.0 and SchemaImporterExtensions파일 다운로드1
335정성태8/20/200628468디버깅 기술: 8. COM+ 서버 응용 프로그램에 대한 F5 디버깅 방법
334정성태8/20/200623684디버깅 기술: 7. VS.NET 2003/2005의 다중 프로젝트 디버깅
333정성태8/20/200624092개발 환경 구성: 11. COM+ 서버 활성화 보안 설정
331정성태8/27/200617102개발 환경 구성: 10. 최대 절전 모드와 VPC 네트워크 문제
330정성태8/20/200617389개발 환경 구성: 9. VPC로 구성하는 개인 환경
328정성태8/20/200635125개발 환경 구성: 8. AppVerifier 사용법 [1]
327정성태8/16/200631895개발 환경 구성: 7. ActiveX 서명 과정 자동화 [1]
326정성태8/16/200625666Team Foundation Server: 13. Sysnet 웹 사이트 TFS Migration
322정성태8/15/200620546개발 환경 구성: 6. 4GB 메모리 구성 [1]
316정성태9/20/200639660디버깅 기술: 6. .NET 예외 처리 정리 [6]
309정성태12/27/200640556디버깅 기술: 5. PDB 이야기 [7]
310정성태8/5/200627653    답변글 디버깅 기술: 5.1. PDB 파일에 따른 Debug 정보 - WinForm + Library 유형의 프로젝트파일 다운로드1
311정성태8/10/200627137    답변글 디버깅 기술: 5.2. PDB 파일에 따른 Debug 정보 - .NET 2.0 Web Application Project + Library 유형의 프로젝트
312정성태8/5/200629915    답변글 디버깅 기술: 5.3. PDB 파일에 따른 Debug 정보 - .NET 2.0 Web Site Model 유형의 프로젝트
313정성태8/12/200629032    답변글 디버깅 기술: 5.4. VS.NET 2005 디버그 모드에서의 PDB 파일 사용 차이 (1)
317정성태8/12/200626484    답변글 디버깅 기술: 5.5. VS.NET 2005 디버그 모드에서의 PDB 파일 사용 차이 (2)
318정성태8/12/200632926    답변글 디버깅 기술: 5.6. VS.NET 2005를 이용한 미니덤프 파일 분석 (1)
319정성태8/12/200627955    답변글 디버깅 기술: 5.7. VS.NET 2005를 이용한 미니덤프 파일 분석 (2) [1]
320정성태8/12/200632071    답변글 디버깅 기술: 5.8. WinDBG를 이용한 미니덤프 파일 분석 [1]
321정성태8/13/200636519    답변글 디버깅 기술: 5.9. Microsoft의 PDB 파일 관리
323정성태8/15/200637833    답변글 디버깅 기술: 5.10. Symbol Server 생성 [4]
324정성태8/15/200634694    답변글 디버깅 기술: 5.11. PDB 파일과 소스 코드
325정성태9/8/200627410    답변글 디버깅 기술: 5.12. CCP를 이용한 Windows Source Code 수준의 디버깅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