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오류 유형: 239. psexec 실행 오류 - The system cannot find the file specified.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31107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psexec 실행 오류 - The system cannot find the file specified.

psexec.exe를 이용해 "Local SYSTEM" 권한으로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려고 했는데,

SYSTEM 권한으로 UI 프로그램 실행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1/1153

다음과 같이 오류가 발생합니다.

C:\Users\SeongTae\Downloads>psexec -s -i ConsoleApplication1.exe

PsExec v1.98 - Execute processes remotely
Copyright (C) 2001-2010 Mark Russinovich
Sysinternals - www.sysinternals.com


PsExec could not start ConsoleApplication1.exe on THEPC2:
The system cannot find the file specified.

원인은 간단합니다. C:\Users\SeongTae 폴더는 사용자 프로파일 폴더인데, "-s" 옵션으로 실행되는 "Local SYSTEM" 계정은 해당 폴더를 볼 수가 없습니다.

따라서, ConsoleApplication1.exe를 "C:\temp"와 같은 폴더에 복사해서 실행해야 합니다. 그런데, 여전히 오류가 발생하는 군요. ^^

c:\temp>psexec -s -i ConsoleApplication1.exe

PsExec v1.98 - Execute processes remotely
Copyright (C) 2001-2010 Mark Russinovich
Sysinternals - www.sysinternals.com


PsExec could not start ConsoleApplication1.exe on THEPC2:
The system cannot find the file specified.

왜냐하면 Local SYSTEM 계정에서 "ConsoleApplication1.exe"의 위치를 찾을 수 없기 때문입니다. 아니... 그렇다면 "SYSTEM 권한으로 UI 프로그램 실행하는 방법" 글에서 예를 든 regedit.exe는 왜 잘 실행이 된 걸까요?

그 이유는, psexec.exe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은 윈도우 운영체제의 모듈 찾기 규칙에 마찬가지로 영향을 받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PATH 환경 변수에 등록된 경로에 있는 프로그램은 정상적으로 잘 실행이 되지만, c:\temp가 %PATH%에 등록되어 있지 않다면 오류가 발생합니다.

이런 경우, 다음과 같이 전체 경로를 주면 안전하게 실행할 수 있습니다. ^^

c:\temp>psexec -s -i c:\temp\ConsoleApplication1.exe

PsExec v1.98 - Execute processes remotely
Copyright (C) 2001-2010 Mark Russinovich
Sysinternals - www.sysinternals.com


c:\temp\ConsoleApplication1.exe exited on THEPC2 with error code 0.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9/19/2014]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720정성태10/4/201826093개발 환경 구성: 405. Hyper-V 가상 머신에서 직렬 포트(Serial Port, COM Port) 사용
11719정성태10/4/201826743.NET Framework: 796. C# - 인증서를 윈도우에 설치하는 방법
11718정성태10/4/201821715개발 환경 구성: 404. (opkg가 설치된) Synology NAS(DS216+II)에 cmake 설치
11717정성태10/3/201823895사물인터넷: 48. 넷두이노의 C# 네트워크 프로그램 [1]
11716정성태10/3/201825050사물인터넷: 47. Raspberry PI Zero (W)에 FTDI 장치 연결 후 C/C++로 DTR 제어파일 다운로드1
11715정성태10/3/201822887사물인터넷: 46. Raspberry PI Zero (W)에 docker 설치
11714정성태10/2/201822994사물인터넷: 45. Raspberry PI에 ping을 hostname으로 하는 방법
11713정성태10/2/201824039개발 환경 구성: 403. Synology NAS(DS216+II)에 docker 설치 후 .NET Core 2.1 응용 프로그램 실행하는 방법
11712정성태10/2/201829630.NET Framework: 795. C# - 폰트 목록을 한글이 아닌 영문으로 구하는 방법 [3]
11711정성태10/2/201824840오류 유형: 490. 윈도우 라이선스 키 입력 오류 0xc004f050, 0xc004e028
11710정성태10/2/201824117.NET Framework: 794. C# - 같은 모양, 다른 값의 한글 자음을 비교하는 호환 분해 [5]
11709정성태9/30/201822869개발 환경 구성: 402. .NET Core 콘솔 응용 프로그램을 docker로 실행/디버깅하는 방법 [1]
11708정성태9/30/201825987개발 환경 구성: 401. .NET Core 콘솔 응용 프로그램을 배포(publish) 시 docker image 자동 생성 [2]파일 다운로드1
11707정성태9/30/201827325오류 유형: 489. ASP.NET Core를 docker에서 실행 시 "Failed with a critical error." 오류 발생 [1]
11706정성태9/29/201822135개발 환경 구성: 400. Synology NAS(DS216+II)에서 실행한 gcc의 Segmentation fault [2]
11705정성태9/29/201822746개발 환경 구성: 399. Synology NAS(DS216+II)에 gcc 컴파일러 설치
11704정성태9/29/201828169기타: 73. Synology NAS 신호음(beep) 끄기 [1]파일 다운로드1
11703정성태9/27/201821205개발 환경 구성: 398. Blazor 환경 구성 후 빌드 속도가 너무 느리다면? [2]
11702정성태9/26/201819081사물인터넷: 44. 넷두이노(Netduino)의 네트워크 설정 방법
11701정성태9/26/201824955개발 환경 구성: 397. 공유기를 일반 허브로 활용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700정성태9/21/201824176Graphics: 25. Unity - shader의 직교 투영(Orthographic projection) 행렬(UNITY_MATRIX_P)을 수작업으로 구성
11699정성태9/21/201822239오류 유형: 488. Add-AzureAccount 실행 시 "No subscriptions are associated with the logged in account in Azure Service Management (RDFE)." 오류
11698정성태9/21/201823690오류 유형: 487. 윈도우 성능 데이터를 원격 SQL에 저장하는 경우 "Call to SQLAllocConnect failed with %1." 오류 발생
11697정성태9/20/201820873Graphics: 24. Unity - unity_CameraWorldClipPlanes 내장 변수 의미
11696정성태9/19/201823211.NET Framework: 793. C# - REST API를 이용해 NuGet 저장소 제어파일 다운로드1
11695정성태9/19/201828479Graphics: 23. Unity - shader의 원근 투영(Perspective projection) 행렬(UNITY_MATRIX_P)을 수작업으로 구성
...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