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NET Framework: 463. PInvoke 호출을 이용한 비동기 파일 작업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25990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3개 있습니다.)

PInvoke 호출을 이용한 비동기 파일 작업

그냥 잠깐 만들어 보았는데 기록을 남기는 차원에서 써봅니다. ^^

닷넷은 비동기 메서드 호출이 잘 되어 있지만, 가끔은 PInvoke로 직접 해야 하는 경우도 있을 듯 싶어 예제 코드 삼아 만들어 보았습니다.

using Microsoft.Win32.SafeHandles;
using System;
using System.Diagnostics;
using System.IO;
using System.Runtime.InteropServices;
using System.Text;
using System.Threading;

class Program
{
    [DllImport("kernel32.dll", SetLastError = true)]
    public static extern SafeFileHandle CreateFile(
       String pipeName,
       uint dwDesiredAccess,
       uint dwShareMode,
       IntPtr lpSecurityAttributes,
       uint dwCreationDisposition,
       uint dwFlagsAndAttributes,
       IntPtr hTemplate);

    [DllImport("kernel32.dll", SetLastError = true)]
    static extern bool WriteFile(SafeFileHandle hFile, byte[] lpBuffer,
       int nNumberOfBytesToWrite, out uint lpNumberOfBytesWritten,
       [In] ref System.Threading.NativeOverlapped lpOverlapped);

    public const int FILE_FLAG_OVERLAPPED = 0x40000000;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EventWaitHandle exitEvent = new EventWaitHandle(false, EventResetMode.ManualReset);
        string txt = new string('t', 1024 * 1024 * 600);
        byte[] buf = Encoding.ASCII.GetBytes(txt);

        while (true)
        {
            File.Delete(@"C:\temp\test.txt");
            using (SafeFileHandle pHandle = CreateFile(@"c:\temp\test.txt",
                  (uint)FileAccess.ReadWrite,
                  0,
                  IntPtr.Zero,
                  (uint)2,
                  FILE_FLAG_OVERLAPPED,
                  IntPtr.Zero))
            {
                uint written;
                NativeOverlapped o = new NativeOverlapped();

                using (ManualResetEvent writeEvent = new ManualResetEvent(false))
                {
                    o.EventHandle = writeEvent.SafeWaitHandle.DangerousGetHandle();

                    Stopwatch st = new Stopwatch();
                    st.Start();
                    if (WriteFile(pHandle, buf, buf.Length, out written, ref o) == false)
                    {
                        int lastError = Marshal.GetLastWin32Error();
                        if (lastError == 997) //  ERROR_IO_PENDING == 997
                        {
                            Console.WriteLine("async");
                        }
                        else
                        {
                            // Write File Error
                            Console.WriteLine("Write File Error");
                            break;
                        }

                        WaitHandle[] waitHandles = new WaitHandle[] { writeEvent, exitEvent };
                        int completeCode = WaitHandle.WaitAny(waitHandles, Timeout.Infinite, false);
                        if (completeCode == 1) // exitEvent signaled
                        {
                            break;
                        }
                    }

                    st.Stop();
                    Console.WriteLine(st.ElapsedMilliseconds);
                }

                Thread.Sleep(1000);
            }
        }
    }
}

아울러, 아래와 같은 자료들이 있으니 읽어보시는 것도 좋겠습니다. ^^

Synchronous and Asynchronous I/O
; https://docs.microsoft.com/en-us/windows/win32/fileio/synchronous-and-asynchronous-i-o

Asynchronous Disk I/O Appears as Synchronous on Windows NT, Windows 2000, and Windows XP
; http://support.microsoft.com/kb/156932

(첨부 파일은 이 글의 예제 코드를 포함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7/17/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58정성태11/14/200519473VS.NET IDE: 31. SQL 2005 - A connection was successfully established with the server
157정성태9/21/200519563기타: 10. SQL2000 설치 시, Invalid Product Key 오류
156정성태9/16/200521463.NET Framework: 43. Wisptis.exe 프로세스
155정성태5/31/200517781.NET Framework: 42. .NET Installer Class에서 Install 메서드 - 설정 사항들 알아내는 코드
154정성태5/13/200516715VS.NET IDE: 30. Windows 2003 for x64에 추가된 레지스트리 Run 노드
152정성태5/5/200520102VC++: 18. VC++ 7.0에서부터 ? : 연산자 처리가 바뀌었습니다.
153정성태5/12/200520431    답변글 VC++: 18.1. VC++ 8.0에서부터 바뀐 CRT 소개
151정성태5/5/200523334VC++: 17. DLL에 export 된 C++ 클래스 멤버 함수 파라미터형 정보 알아내는 방법
150정성태5/5/200524395.NET Framework: 41. 태그 사이의 값을 추출하는 정규식
149정성태5/5/200521004.NET Framework: 40. 데이터그리드에서 콤보박스 쓸 수 있는 방법
148정성태5/5/200521396.NET Framework: 39. DataSet 방식을 RecordSet으로 구현하는 방법.
147정성태5/7/200618868VC++: 16. 클래스 멤버 함수에 대한 포인터를 받는 표현.
146정성태4/29/200518022VS.NET IDE: 29. 네트워크 공유를 다른 사용자 계정으로 다시 로그인을 원하는 경우.
144정성태4/14/200518432VS.NET IDE: 28. Windows 2003 SP1을 설치하고.
143정성태5/5/200519734.NET Framework: 38. DSL (Domain Specific Language)
141정성태4/14/200520496VS.NET IDE: 27. 64bit 컴퓨터 사용 평가 [3]
140정성태4/14/200517605.NET Framework: 37. String.GetHashCode의 리턴값. 그때그때 다릅니다.
138정성태4/12/200518366.NET Framework: 36. 64bit 시스템 구성
142정성태4/14/200519755    답변글 VS.NET IDE: 36.1. 메모리 구성에 대한 추가 내용
137정성태3/31/200524080.NET Framework: 35. XP SP2 팝업 뚫은 소스
135정성태3/31/200522839VS.NET IDE: 26. SQL Server 2000구성이 실패
134정성태3/31/200519913COM 개체 관련: 16. Microsoft.XMLHTTP 개체에서 Microsoft.XMLDOM 개체를 전송할 때 charset 지정 문제? [2]
128정성태3/30/200518506.NET Framework: 34. VC++에서 Managed 타입의 메서드에 BSTR을 넘기는 경우의 오류(!)
129정성태3/30/200520681    답변글 .NET Framework: 34.1. 위의 질문에 대한 답변으로 나온 것입니다.
130정성태3/30/200517728        답변글 .NET Framework: 34.2. 다시... 제가 질문한 내용입니다. ^^
131정성태3/30/200518251            답변글 .NET Framework: 34.3. 다시... 정봉겸님이 하신... 명확한 답변입니다.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