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4개 있습니다.)
.NET Framework: 199. .NET 코드 - Named Pipe 닷넷 서버와 VC++ 클라이언트 제작
; https://www.sysnet.pe.kr/2/0/971

.NET Framework: 464. 프로세스 간 통신 시 소켓 필요 없이 간단하게 Pipe를 열어 통신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751

.NET Framework: 477. SeCreateGlobalPrivilege 특권과 WCF NamedPipe
; https://www.sysnet.pe.kr/2/0/1806

Linux: 20. C# - Linux에서의 Named Pipe를 이용한 통신
; https://www.sysnet.pe.kr/2/0/11964




프로세스 간 통신 시 소켓 필요 없이 간단하게 Pipe를 열어 통신하는 방법

Named Pipe가 .NET 3.5부터 NamedPipeServerStream / NamedPipeClientStream 객체를 통해 제공됩니다. 여건이 된다면 이것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좋고 관련해서 예제도 MSDN에 잘 공개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범용 라이브러리 제작사의 경우에는 .NET 2.0을 포함시켜야 하는 상황이 종종 발생하므로 P/Invoke를 이용해 Win32 API를 직접 호출해서 파이프 통신을 구현할 수 있습니다.

왜 파이프 통신을 사용하는 걸까요? 사실, 프로세스 간에 간단하게 통신이 필요한 경우 소켓을 이용하자니 포트의 관리가 귀찮습니다. 고정 포트를 둬도 되겠지만 역시나 라이브러리 제작사에서는 포트를 위한 별도의 관리 지점을 만들어야 합니다. 바로 이럴 때! 그냥 Named Pipe를 쓰면 고민거리가 사라져버립니다.

찾아보면, CreateFile, CreateNamedPipe, ConnectNamedPipe, DisconnectNamedPipe API를 직접 이용해서 구현한 C# 예제가 있습니다.

Interprocess Communication using Named Pipes in C#
; http://tech.pro/tutorial/633/interprocess-communication-using-named-pipes-in-csharp

기반은 위의 소스코드를 가져다 썼고, 그래도 개인적으로 개선해보았습니다.

우선, 클라이언트로부터의 연결 대기를 동기에서 비동기로 바꿨습니다. 이를 위해 ConnectNamedPipe에 Win32 Overlapped 구조체를 전달했습니다. (Overlapped 사용 방법 예제 참조)

NativeOverlapped overlapped = new NativeOverlapped();

using (EventWaitHandle ewh = new EventWaitHandle(false, EventResetMode.ManualReset, ...))
{
    overlapped.EventHandle = ewh.SafeWaitHandle.DangerousGetHandle();

    ConnectNamedPipe(clientPipe._pipeHandle, ref overlapped);
    int lastError = Marshal.GetLastWin32Error();

    //...[생략]...
}

그런데, 재미있는 것은 지금부터입니다. 비동기로 했으므로 ConnectNamedPipe는 곧바로 제어를 반환하게 되고 이후 lastError == ERROR_IO_PENDING 값이면 대기를 할 수 있는 동작을 하게 됩니다.

if (lastError == 997) // #define ERROR_IO_PENDING 997L 
{
    int completeCode = 0;
                    
    WaitHandle[] waitHandles = new WaitHandle[] { ewh, _exitEvent };
    completeCode = WaitHandle.WaitAny(waitHandles, Timeout.Infinite, false);

    if (completeCode == 0) // connect completely
    {
    }
    else if (completeCode == 1) // Server.Dispose
    {
        Trace.WriteLine("(Dispose) End of PipeService");
        clientPipe.Dispose();
        return null;
    }
}
else if (lastError != 535) // #define ERROR_PIPE_CONNECTED 535L
{
    Trace.WriteLine("Pipe Connect Error: " + lastError);
    clientPipe.Dispose();
    return null;
}
else
{
    // ERROR_PIPE_CONNECTED
    Debug.WriteLine("Connected");
}

그런데, 유독 "x64/.NET 2.0" 조합으로 빌드하는 경우 클라이언트가 연결되어 WaitHandle.WaitAny의 대기가 풀리게 되는 내부 코드에서 비정상 종료가 발생합니다. (x86/.NET 2.0에서는 OK!) 이때 이벤트 로그는 다음과 같은 기록이 남습니다.

Log Name:      Application
Source:        Windows Error Reporting
Date:          2014-09-20 오후 3:05:39
Event ID:      1001
Task Category: None
Level:         Information
Keywords:      Classic
User:          N/A
Computer:      TESTPC2
Description:
Fault bucket 81722438277, type 5
Event Name: BEX64
Response: Not available
Cab Id: 0

Problem signature:
P1: PipeServer.exe
P2: 1.0.0.0
P3: 541d113f
P4: mscorwks.dll
P5: 2.0.50727.8009
P6: 53a1205c
P7: 00000000006b0bbb
P8: c0000409
P9: 0000000000000000
P10: 

Attached files:
c:\...\AppData\Local\Temp\WERB77B.tmp.WERInternalMetadata.xml
c:\...\AppData\Local\Temp\WERBBF1.tmp.appcompat.txt

These files may be available here:
c:\...\AppData\Local\Microsoft\Windows\WER\ReportArchive\AppCrash_PipeServer.exe_6c8b5291e79e5faa45279476aec0c352b46de1b_f845d3a1_04a8bc00

Analysis symbol: 
Rechecking for solution: 0
Report Id: 23c94c7c-408c-11e4-82e5-b81809256582
Report Status: 1
Hashed bucket: d459af57af1f50a06f32b72cb4a2ea59

mscorwks.dll 파일은 native DLL이기 때문에 더 파고 들 수가 없군요. ^^; 여기서 더욱 재미있는 점은, WaitAny가 아닌 단일 이벤트 대기를 하는 경우에는 비정상 종료가 안되었습니다.

// 오류 발생하지 않음.
ewh.WaitOne();

// 하지만, WaitAny를 통하면 이벤트가 하나여도 오류 발생
WaitHandle[] waitHandles = new WaitHandle[] { ewh };
completeCode = WaitHandle.WaitAny(waitHandles, Timeout.Infinite, false);

혹시나 싶어, Win32 P/Invoke로 직접 대기를 했더니 이번에는 예외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DllImport("kernel32.dll")]
static extern int WaitForMultipleObjects(int nCount, IntPtr[] lpHandles, bool bWaitAll, int dwMilliseconds);

// ... 

IntPtr[] waitHandles2 = new IntPtr[] { ewh.Handle, _exitEvent.Handle };
completeCode = WaitForMultipleObjects(waitHandles.Length, waitHandles, false, -1);

일단 이걸로 넘어가겠습니다. ^^ (.NET 2.0 지원만 아니면 그냥 NamedPipeServerStream / NamedPipeClientStream으로 넘어가시는 것이 깔끔합니다.)

그런데, 저렇게 어차피 대기할 거면 뭐하러 비동기로 하는지 궁금하신 분들이 계실텐데요. 비동기의 장점은 꼭,,, 다른 작업을 가능하게 하는 것뿐만 아니라 부가적으로 '대기'를 원하는 시간에 언제든지 풀어버릴 수 있는 것도 가능하다는 점입니다.

예를 들어, 위의 비동기 작업을 그냥 동기로 처리해 버리면 ConnectNamedPipe에서 해당 스레드는 무한정 대기하게 되고, 나중에 이 작업이 필요없어졌을 때 취할 수 있는 방법이라고는 그 스레드를 강제 종료(Thread.Abort)하는 수 밖에는 없습니다. 즉, 곧바로 이어서 대기하는 비동기 작업의 경우 '우아한 종료' 작업을 가능케 하는 이점이 있습니다.

클라이언트 연결 대기를 비동기로 처리했으니, 이제 Read/Write 작업도 비동기로 해보겠습니다. 역시 이번에도 곧바로 대기 상태로 들어갈텐데요. 그래도 이렇게 함으로써 Read/Write 작업에 대한 time-out 설정을 할 수 있어서 좋습니다.

public string ReadString()
{
    return ReadString(Timeout.Infinite);
}

public string ReadString(int maxWaitMillisecond)
{
    if (CanRead == false || _pipeStream == null)
    {
        return "";
    }

    MemoryStream ms = new MemoryStream();
    UnicodeEncoding encoder = new UnicodeEncoding();

    byte[] buffer = new byte[BUFFER_SIZE];

    int bytesRead = 0;
    try
    {
        using (ManualResetEvent completed = new ManualResetEvent(false))
        {
            FileStream fsStream = _pipeStream;

            _pipeStream.BeginRead(buffer, 0, buffer.Length, (ar) =>
            {
                try
                {
                    bytesRead = fsStream.EndRead(ar);
                }
                catch { }

                if (completed.SafeWaitHandle.IsClosed == false)
                {
                    completed.Set();
                }
            }, null);

            int result = WaitHandle.WaitAny(new WaitHandle[] { completed, _exitEvent }, maxWaitMillisecond, false);

            try
            {
                if (result == 0) // read completely
                {
                }
                else if (result == 1) // by exit event
                {
                }
                else // timed-out
                {
                }
            }
            catch { }
        }
    }
    catch { }

    if (bytesRead == 0)
    {
        return "";
    }

    return encoder.GetString(buffer, 0, bytesRead);
}

public void WriteString(string message)
{
    WriteString(message, Timeout.Infinite);
}

public void WriteString(string message, int maxWaitMillisecond)
{
    if (CanWrite == false)
    {
        return;
    }

    UnicodeEncoding encoder = new UnicodeEncoding();
    byte[] sendBuffer = encoder.GetBytes(message);

    if (sendBuffer.Length > BUFFER_SIZE)
    {
        throw new ArgumentException("too large message");
    }

    try
    {
        using (ManualResetEvent completed = new ManualResetEvent(false))
        {
            FileStream fsStream = _pipeStream;
            _pipeStream.BeginWrite(sendBuffer, 0, sendBuffer.Length, (ar) =>
            {
                try
                {
                    fsStream.EndWrite(ar);
                }
                catch { }

                if (completed.SafeWaitHandle.IsClosed == false)
                {
                    completed.Set();
                }

            }, null);

            WaitHandle.WaitAny(new WaitHandle[] { completed, _exitEvent }, maxWaitMillisecond, false);
        }
    }
    catch { }
}

뭐... 이 정도면 대충 쓸만한 Pipe 통신이 되겠습니다. ^^

(첨부 파일은 위의 코드를 이용해 간단한 파이프 서버/클라이언트 통신을 포함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8/28/2024]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24-03-08 08시49분
cyberark/PipeViewer
 - A tool that shows detailed information about named pipes in Windows
; https://github.com/cyberark/PipeViewer
정성태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629정성태2/5/201432517개발 환경 구성: 215. DOS batch - 하나의 .bat 파일에서 다중 .bat 파일을 (비동기로) 실행하는 방법 [1]
1628정성태2/4/201433886Windows: 87. 윈도우 8.1에서 .NET 3.5 설치가 안된다면? [2]
1627정성태2/4/201428962개발 환경 구성: 214. SQL Server Reporting Services를 이용해 간단한 리포트 제작하는 방법
1626정성태2/4/201420946Windows: 86. 윈도우 8.1의 Skydrive 내용이 동기화가 안된다면?
1625정성태2/2/201428168.NET Framework: 422. C++과 C#의 Event 공유파일 다운로드1
1624정성태2/2/201423755.NET Framework: 421. ASP.NET에서 Server.CreateObject와 COM Interop 클래스 생성의 차이점
1623정성태2/1/201428468개발 환경 구성: 213. x86/x64별로 나뉘어진 어셈블리를 한 프로젝트에서 참조하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622정성태1/31/201428939VC++: 74. 어떤 것을 쓰면 좋을까요? wvnsprintf, _vsnwprintf_s, StringCbVPrintfW [4]
1621정성태1/31/201420749.NET Framework: 420. 베트남의 11학년(한국의 고2)이 45분만에 푼다는 알고리즘 문제파일 다운로드1
1620정성태1/30/201430578.NET Framework: 419. C# - BigDecimal파일 다운로드1
1619정성태1/30/201427317VS.NET IDE: 85. T4를 이용한 INotifyPropertyChanged 코드 자동 생성파일 다운로드1
1618정성태1/29/201443031Linux: 2. 우분투에서 Active Directory 계정을 이용한 파일 공유
1617정성태1/29/201424165.NET Framework: 418. Thread.Abort 호출의 hang 현상 [1]
1616정성태1/29/201424823디버깅 기술: 63. windbg 디버깅 사례: AppDomain 간의 static 변수 사용으로 인한 crash
1615정성태1/29/201426798.NET Framework: 417. WPF WebBrowser 컨트롤에서 SHDocVw.IWebBrowser2 인터페이스를 구하는 방법 및 순수 WPF 웹 브라우저 컨트롤 소개
1614정성태1/29/201423755.NET Framework: 416. System.Net.Sockets.NetworkStream이 Thread-safe할까?파일 다운로드1
1613정성태1/29/201425757.NET Framework: 415. IIS 작업자 프로세스 재생(recycle)하는 방법 [1]
1612정성태1/29/201422541오류 유형: 219. IIS 500 Internal Server Error - Skydrive에 공유된 경우
1611정성태1/27/201453941.NET Framework: 414. C# - 컴퓨터에서 알아낼 수 있는 고윳값 정리 [3]파일 다운로드1
1610정성태1/26/201437871.NET Framework: 413. C# - chromiumembedded 사용 [11]파일 다운로드1
1609정성태1/26/201420886오류 유형: 218. wsDualHttpBinding + Windows Server 2003인 경우 발생하는 오류
1608정성태1/26/201426176.NET Framework: 412. HttpContext.Current를 통해 이해하는 CallContext와 ExecutionContext [4]
1607정성태1/26/201426106.NET Framework: 411. 유니코드의 "compatibility character"가 뭘까요? [4]파일 다운로드1
1606정성태1/25/201424220오류 유형: 217. 델 베뉴 스타일러스 관련 업데이트 오류 - 5830_Firmware_X267N_WN_1.0.4.1_A01.EXE
1605정성태1/23/201421090개발 환경 구성: 212. Visual Studio Online과 "Monaco" 서비스 연동
1604정성태1/23/201421418오류 유형: 216. 윈도우 서버 백업 - Hyper-V 가상 머신이 백업되지 않는 경우 (2)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