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VC++: 80. 내 컴퓨터에서 C++ AMP 코드가 실행이 될까요?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28296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내 컴퓨터에서 C++ AMP 코드가 실행이 될까요?

공식 홈페이지를 보면,

C++ AMP Overview
; https://docs.microsoft.com/en-us/cpp/parallel/amp/cpp-amp-overview

시스템 요구 사항이 다음과 같이 나옵니다.

  • Windows 7, Windows 8, Windows Server 2008 R2, or Windows Server 2012
  • DirectX 11 Feature Level 11.0 or later hardware
  • For debugging on the software emulator, Windows 8 or Windows Server 2012 is required. For debugging on the hardware, you must install the drivers for your graphics card.

이런 거 보고 바로 알 수 있으면 좋겠지만 역시나 그냥 프로그램 돌려서 되냐 안되냐를 알 수 있는 것이 속편합니다. ^^ 이에 대해서는 다음의 글에 나오는 "VerifyAmpDevices" 유틸리티를 쓰시면 됩니다.

Can I Run C++ AMP on My Device?
; http://blogs.msdn.com/b/nativeconcurrency/archive/2011/09/22/can-i-run-c-amp-on-my-device.aspx

VerifyAmpDevices 유틸리티는 아래의 글에 포함된 list_all_accelerators() 함수를 이용해 쉽게 만들 수 있습니다.

Using accelerator and accelerator_view Objects
; https://docs.microsoft.com/en-us/cpp/parallel/amp/using-accelerator-and-accelerator-view-objects

뭐 대충 이런 식입니다.

#include "stdafx.h"

#include <amp.h>
#include <vector>
#include <amprt.h>

#include <iostream>

using namespace Concurrency;

// https://docs.microsoft.com/en-us/cpp/parallel/amp/using-accelerator-and-accelerator-view-objects
void list_all_accelerators();

int _tmain(int argc, _TCHAR* argv[])
{
    list_all_accelerators();

    return 0;
}

void list_all_accelerators()
{
    std::vector<accelerator> accs = accelerator::get_all();

    for (int i = 0; i < accs.size(); i++) {
        std::wcout << accs[i].device_path << ", desc = ";
        std::wcout << accs[i].description << ", has_display = ";
        std::wcout << accs[i].get_has_display() << ", is_emulated = ";
        std::wcout << accs[i].is_emulated << "\n";

        //std::wcout << accs[i].dedicated_memory << "\n";
        //std::wcout << (accs[i].supports_cpu_shared_memory ?
        //  "CPU shared memory: true" : "CPU shared memory: false") << "\n";
        //std::wcout << (accs[i].supports_double_precision ?
        //  "double precision: true" : "double precision: false") << "\n";
        //std::wcout << (accs[i].supports_limited_double_precision ?
        //  "limited double precision: true" : "limited double precision: false") << "\n\n";
    }
}

제 컴퓨터에서 위의 코드를 실행하면 다음과 같은 출력 결과가 나옵니다.

PCI\...[장치경로]..., desc = NVIDIA GeForce GTX 660  , has_display = 1, is_emulated = 0
direct3d\warp, desc = Microsoft Basic Render Driver, has_display = 0, is_emulated = 1
direct3d\ref, desc = Software Adapter, has_display = 1, is_emulated = 1
cpu, desc = CPU accelerator, has_display = 0, is_emulated = 1

당연히 is_emulated = 0인 값의 장치가 가장 성능이 우수할 것입니다. 또한 has_display는 현재 모니터 장치와 연결된 것을 의미한다고 하는데, direct3d\ref가 has_display = 1을 갖는 의미가 뭔지는 해석이 안되는군요. ^^

참고로, 중간의 warp와 ref에 대해서는 다음의 글에 약간의 설명이 나옵니다.

concurrency::accelerator 
; http://www.danielmoth.com/Blog/concurrencyaccelerator.aspx

  • accelerator::direct3d_ref represents the reference rasterizer emulator that simulates a direct3d device on the CPU (in a very slow manner). This emulator is available on systems with Visual Studio installed and is useful for debugging. More on debugging in general in future posts. Example: accelerator acc(accelerator::direct3d_ref);
  • accelerator::direct3d_warp represents WARP which is the current CPU fallback. Example: accelerator acc(accelerator::direct3d_warp);

ref는 Visual Studio가 설치된 경우에 있으며 디버깅이 쉽다는 장점이 있다고 하니, 그렇다면 일반적인 컴퓨터라면 GPU 하나와 direct3d\ref, cpu 정도만 AMP 장치로 검색될 것입니다.

아래의 글도 읽어보면 좋을 듯 싶군요. ^^

Server environments and C++ AMP
; http://blogs.msdn.com/b/nativeconcurrency/archive/2012/06/21/server-environments-and-c-amp.aspx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7/17/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22-05-04 04시52분
VS2022부터 C++ AMP 공식 지원중단
; https://blog.naver.com/drvoss/222653027219
정성태

... 196  [197]  198  199  200 
NoWriterDateCnt.TitleFile(s)
101정성태2/15/200520991.NET Framework: 24. WMI Win32_NTLogEvent 관리 이벤트를 Windows 2000 에서는 "Access Denied" 가 발생하는 문제파일 다운로드1
100정성태2/15/200527290VS.NET IDE: 22. 방화벽 환경에서의 WMI 연결을 위한 포트 설정 [2]
99정성태2/15/200525243COM 개체 관련: 13. 비동기 Drag & Drop 구현 : IAsyncOperation
103정성태2/23/200521340    답변글 COM 개체 관련: 13.1. [관련 자료] 그외 Drag & Drop 링크파일 다운로드1
97정성태2/14/200523954VS.NET IDE: 21. 설치된 Platform SDK 버전확인 방법
96정성태2/14/200525970기타: 9. http://www.google.com/webhp?complete=1&hl=en 검색에 관해서.
95정성태2/14/200535459VS.NET IDE: 20. Win32 특권 정리 [1]
94정성태1/29/200526609VC++: 13. VS.NET 2005 VC++ 컴파일러 에러 : cannot instantiate abstract class
93정성태1/29/200522442VS.NET IDE: 19. 혹시 VS.NET 2005 Beta2(2004/12 CTP Team System 버전)이 다운이 자주 되나요? [2]
92정성태1/29/200520961.NET Framework: 23. Unmanaged 환경에서 Managed DLL에 정의된 메서드 호출 시 오류 확인하는 방법
91정성태11/14/200521579VC++: 12. VS.NET 2005 VC++ Debug: Expression: ( (state != ST_INVALID ) )
90정성태1/27/200522763.NET Framework: 22. Debug: The underlying connection was closed: Unable to connect to the remote server.
89정성태1/26/200527191VC++: 11. Delay Loaded DLL
87정성태1/23/200520779VS.NET IDE: 18. VS.NET 2005 Beta 1 - VC++ 프로젝트에서 Connection Point 구현시 버그
88정성태1/23/200520206    답변글 VS.NET IDE: 18.1. VS.NET 2003 : VC++ 프로젝트에서 Connection Point 추가시에도 버그
86정성태1/23/200526263.NET Framework: 21. Code Snippet - Enum과 관련된 다양한 형변환 [1]
85정성태1/23/200524469스크립트: 4. Windows 2003에서 BHO(Browser Helper Objects) 동작 안하는 현상 [1]
83정성태1/18/200529767.NET Framework: 20. System.AccessViolationException 예외가 발생한 한 예.
82정성태1/3/200523209VS.NET IDE: 17. Windows 운영 - 특정 사용자 또는 그룹에 대해서 파일 공유 접근 금지
79정성태1/20/200530818기타: 8. DELL Latitude D800 노트북 컴퓨터의 PC Beep 소음(!) 문제.
78정성태12/27/200423237VS.NET IDE: 16. MS 제품 관련 사용되는 TCP/IP 포트 열거파일 다운로드1
77정성태12/27/200423582VS.NET IDE: 15. Virtual CD-ROM Control Panel - ISO 이미지를 CD-ROM 드라이브처럼 접근하게 해주는 EXE 프로그램 [1]파일 다운로드1
76정성태12/27/200424477VS.NET IDE: 14. VPN 접속시 IP를 고정적으로 할당받는 방법 [1]
75정성태12/27/200420562VS.NET IDE: 13. VS.NET 2005 Beta 1 - Portfolio Explorer 에 등록된 Team Server 항목 삭제 방법
84정성태1/19/200521786    답변글 VS.NET IDE: 13.1. VS.NET 2005 Beta 1 : Team Server 에 등록된 포트폴리오 프로젝트 삭제 방법
74정성태12/26/200421978VS.NET IDE: 12. [시나리오] VS.NET 2005 Team Foundation Server을 Virtual Server에 설치 [1]
... 196  [197]  198  199  2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