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VC++: 80. 내 컴퓨터에서 C++ AMP 코드가 실행이 될까요?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24566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내 컴퓨터에서 C++ AMP 코드가 실행이 될까요?

공식 홈페이지를 보면,

C++ AMP Overview
; https://docs.microsoft.com/en-us/cpp/parallel/amp/cpp-amp-overview

시스템 요구 사항이 다음과 같이 나옵니다.

  • Windows 7, Windows 8, Windows Server 2008 R2, or Windows Server 2012
  • DirectX 11 Feature Level 11.0 or later hardware
  • For debugging on the software emulator, Windows 8 or Windows Server 2012 is required. For debugging on the hardware, you must install the drivers for your graphics card.

이런 거 보고 바로 알 수 있으면 좋겠지만 역시나 그냥 프로그램 돌려서 되냐 안되냐를 알 수 있는 것이 속편합니다. ^^ 이에 대해서는 다음의 글에 나오는 "VerifyAmpDevices" 유틸리티를 쓰시면 됩니다.

Can I Run C++ AMP on My Device?
; http://blogs.msdn.com/b/nativeconcurrency/archive/2011/09/22/can-i-run-c-amp-on-my-device.aspx

VerifyAmpDevices 유틸리티는 아래의 글에 포함된 list_all_accelerators() 함수를 이용해 쉽게 만들 수 있습니다.

Using accelerator and accelerator_view Objects
; https://docs.microsoft.com/en-us/cpp/parallel/amp/using-accelerator-and-accelerator-view-objects

뭐 대충 이런 식입니다.

#include "stdafx.h"

#include <amp.h>
#include <vector>
#include <amprt.h>

#include <iostream>

using namespace Concurrency;

// https://docs.microsoft.com/en-us/cpp/parallel/amp/using-accelerator-and-accelerator-view-objects
void list_all_accelerators();

int _tmain(int argc, _TCHAR* argv[])
{
    list_all_accelerators();

    return 0;
}

void list_all_accelerators()
{
    std::vector<accelerator> accs = accelerator::get_all();

    for (int i = 0; i < accs.size(); i++) {
        std::wcout << accs[i].device_path << ", desc = ";
        std::wcout << accs[i].description << ", has_display = ";
        std::wcout << accs[i].get_has_display() << ", is_emulated = ";
        std::wcout << accs[i].is_emulated << "\n";

        //std::wcout << accs[i].dedicated_memory << "\n";
        //std::wcout << (accs[i].supports_cpu_shared_memory ?
        //  "CPU shared memory: true" : "CPU shared memory: false") << "\n";
        //std::wcout << (accs[i].supports_double_precision ?
        //  "double precision: true" : "double precision: false") << "\n";
        //std::wcout << (accs[i].supports_limited_double_precision ?
        //  "limited double precision: true" : "limited double precision: false") << "\n\n";
    }
}

제 컴퓨터에서 위의 코드를 실행하면 다음과 같은 출력 결과가 나옵니다.

PCI\...[장치경로]..., desc = NVIDIA GeForce GTX 660  , has_display = 1, is_emulated = 0
direct3d\warp, desc = Microsoft Basic Render Driver, has_display = 0, is_emulated = 1
direct3d\ref, desc = Software Adapter, has_display = 1, is_emulated = 1
cpu, desc = CPU accelerator, has_display = 0, is_emulated = 1

당연히 is_emulated = 0인 값의 장치가 가장 성능이 우수할 것입니다. 또한 has_display는 현재 모니터 장치와 연결된 것을 의미한다고 하는데, direct3d\ref가 has_display = 1을 갖는 의미가 뭔지는 해석이 안되는군요. ^^

참고로, 중간의 warp와 ref에 대해서는 다음의 글에 약간의 설명이 나옵니다.

concurrency::accelerator 
; http://www.danielmoth.com/Blog/concurrencyaccelerator.aspx

  • accelerator::direct3d_ref represents the reference rasterizer emulator that simulates a direct3d device on the CPU (in a very slow manner). This emulator is available on systems with Visual Studio installed and is useful for debugging. More on debugging in general in future posts. Example: accelerator acc(accelerator::direct3d_ref);
  • accelerator::direct3d_warp represents WARP which is the current CPU fallback. Example: accelerator acc(accelerator::direct3d_warp);

ref는 Visual Studio가 설치된 경우에 있으며 디버깅이 쉽다는 장점이 있다고 하니, 그렇다면 일반적인 컴퓨터라면 GPU 하나와 direct3d\ref, cpu 정도만 AMP 장치로 검색될 것입니다.

아래의 글도 읽어보면 좋을 듯 싶군요. ^^

Server environments and C++ AMP
; http://blogs.msdn.com/b/nativeconcurrency/archive/2012/06/21/server-environments-and-c-amp.aspx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7/17/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22-05-04 04시52분
VS2022부터 C++ AMP 공식 지원중단
; https://blog.naver.com/drvoss/222653027219
정성태

...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761정성태10/25/201821440Graphics: 26. 임의 축을 기반으로 3D 벡터 회전파일 다운로드1
11760정성태10/24/201816866개발 환경 구성: 418. Azure - Runbook 내에서 또 다른 Runbook 스크립트를 실행
11759정성태10/24/201818454개발 환경 구성: 417. Azure - Runbook에서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메서드를 위한 부가 Module 추가
11758정성태10/23/201820712.NET Framework: 800. C# - Azure REST API 사용을 위한 인증 획득 [3]파일 다운로드1
11757정성태10/19/201817204개발 환경 구성: 416. Visual Studio 2017을 이용한 아두이노 프로그램 개발(및 디버깅)
11756정성태10/19/201820446오류 유형: 500. Visual Studio Code의 아두이노 프로그램 개발 시 인텔리센스가 안 된다면?
11755정성태10/19/201821547오류 유형: 499. Visual Studio Code extension for Arduino - #include errors detected. [1]
11754정성태10/19/201818384개발 환경 구성: 415. Visual Studio Code를 이용한 아두이노 프로그램 개발 - 새 프로젝트
11753정성태10/19/201825782개발 환경 구성: 414. Visual Studio Code를 이용한 아두이노 프로그램 개발
11752정성태10/18/201818401오류 유형: 498. SQL 서버 - Database source is not a supported version of SQL Server
11751정성태10/18/201818631오류 유형: 497. Visual Studio 실행 시 그래픽이 투명해진다거나, 깨진다면?
11750정성태10/18/201816906오류 유형: 496. 비주얼 스튜디오 - One or more projects in the solution were not loaded correctly.
11749정성태10/18/201819097개발 환경 구성: 413. 비주얼 스튜디오에서 작성한 프로그램을 빌드하는 가장 쉬운 방법
11748정성태10/18/201819305개발 환경 구성: 412. Arduino IDE를 Store App으로 설치한 경우 컴파일만 되고 배포가 안 되는 문제
11747정성태10/17/201820044.NET Framework: 799. C# - DLL에도 EXE처럼 Main 메서드를 넣어 실행할 수 있도록 만드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746정성태10/15/201819620개발 환경 구성: 411. Bitvise SSH Client의 인증서 모드에서 자동 로그인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745정성태10/15/201817425오류 유형: 495. TFS 파일/폴더 삭제 - The item [...] could not be found in your workspace, or you do not have permission to access it.
11744정성태10/15/201818283개발 환경 구성: 410. msbuild로 .pubxml 설정에 따른 배포 파일을 만드는 방법
11743정성태10/15/201819448웹: 37. Bootstrap의 dl/dt/dd 조합에서 문자열이 잘리지 않도록 CSS 설정
11742정성태10/15/201825257스크립트: 13. 윈도우 배치(Batch) 스크립트에서 날짜/시간 문자열을 구하는 방법
11741정성태10/15/201819054Phone: 13. Android - LinearLayout 간략 설명
11740정성태10/15/201821003사물인터넷: 51. Synology NAS(DS216+II)를 이용한 원격 컴퓨터의 전원 스위치 제어
11739정성태10/15/201822688Windows: 151. 윈도우 10의 전원 관리가 "균형 조정(Balanced)"으로 바뀌는 문제
11738정성태10/15/201820975오류 유형: 494. docker - 윈도우에서 실행 시 "unknown shorthand flag" 오류 [1]
11737정성태10/13/201816851오류 유형: 493. Azure Kudu - There are ... items in this directory, but maxViewItems is set to 299
11736정성태10/12/201818507오류 유형: 492. Visual Studio 로딩 시 오류 - The 'Scc Display Information' package did not load correctly.
...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