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Unity Web Player를 설치해도 여전히 설치하라는 화면이 나오는 경우

테스트를 위해 방문한 '삼국지를 품다' 화면에서 Unity Web Player를 설치해도 여전히 다음과 같은 화면만 나옵니다.

unity_player_install_error_1.png

"
unity web player
install now!
"

혹시나 싶어 unity3d 공식 웹 사이트에서 시도해 봤지만, "Webplayer Settings" 화면에서 여전히 "unity web player - install now!" 이미지가 나오는 걸로 봐서는,

unity_player_install_error_2.png

'삼국지를 품다' 측의 오류는 아닌 것 같습니다.

유니티 공식 웹 사이트에 가면 다음과 같이 설치 관련 도움말이 나오는데요.

Troubleshooting Webplayer
; http://docs.unity3d.com/Manual/TroubleShootingWebplayer.html

  1. 모든 웹 브라우저를 닫고,
  2. 제어판의 프로그램 추가/삭제에서 "Unity Web Player"를 제거하고,
  3. 컴퓨터를 재부팅한 다음,
  4. http://unity3d.com/webplayer/를 방문해 설치 파일을 다운로드 받고,
  5. 현재 떠 있는 모든 웹 브라우저를 종료한 다음,
  6. 방금 전에 다운로드 받았던 설치 파일을 실행

애석하게도 제 경우에는 해결되지 않았습니다.

그러다 혹시나... 싶어서 "Tools" / "Manage add-ons"에 가서 확인한 결과?

unity_player_install_error_3.png

아니나 다를까 "UnityWebPlayer Control" 항목을 "Disabled" 시켜놓았던 것입니다. 그러고 보니, 예전에... 테스트하느라 확장 모듈들을 비활성화 시켰었던 것이 생각나는군요. ^^

아무튼, 위의 화면에서 "Enable" 버튼을 눌러주면 됩니다. 확인을 위해 http://unity3d.com/webplayer/setup 사이트에 방문하면 다음과 같이 정상적으로 활성화됩니다.

unity_player_install_error_4.png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6/27/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15-08-01 01시06분
[sdasdasdas] tools 에서 enable 시킨다고 하셨는데 그 과정좀 알려주세요
[guest]
2017-03-13 12시50분
[게임좋아하는 중학생] 오 감사합니다 저도 저거때문에 평소즐겨하던 게임을 1달동안이나 못했는데 ㅠㅠ 덕분에 다시 할 수 있게됬네요
[guest]
2017-09-11 12시47분
[호감] tools하는곳은 어떻게 들어가나요?
[guest]
2017-09-11 01시52분
Alt 키를 한번 누르면 메뉴가 나옵니다.
정성태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136정성태2/6/202017288Windows: 168. Windows + S(또는 Q)로 뜨는 작업 표시줄의 검색 바가 동작하지 않는 경우
12135정성태2/6/202022545개발 환경 구성: 468. Nuget 패키지의 로컬 보관 폴더를 옮기는 방법 [2]
12134정성태2/5/202020973.NET Framework: 884. eBEST XingAPI의 C# 래퍼 버전 - XingAPINet Nuget 패키지 [5]파일 다운로드1
12133정성태2/5/202018385디버깅 기술: 161. Windbg 환경에서 확인해 본 .NET 메서드 JIT 컴파일 전과 후 - 두 번째 이야기
12132정성태1/28/202021232.NET Framework: 883. C#으로 구현하는 Win32 API 후킹(예: Sleep 호출 가로채기) [1]파일 다운로드1
12131정성태1/27/202020229개발 환경 구성: 467. LocaleEmulator를 이용해 유니코드를 지원하지 않는(한글이 깨지는)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방법 [1]
12130정성태1/26/202017493VS.NET IDE: 142. Visual Studio에서 windbg의 "Open Executable..."처럼 EXE를 직접 열어 디버깅을 시작하는 방법
12129정성태1/26/202023639.NET Framework: 882. C# - 키움 Open API+ 사용 시 Registry 등록 없이 KHOpenAPI.ocx 사용하는 방법 [3]
12128정성태1/26/202017968오류 유형: 591. The code execution cannot proceed because mfc100.dll was not found. Reinstalling the program may fix this problem.
12127정성태1/25/202017131.NET Framework: 881. C# DLL에서 제공하는 Win32 export 함수의 내부 동작 방식(VT Fix up Table)파일 다운로드1
12126정성태1/25/202018537.NET Framework: 880. C# - PE 파일로부터 IMAGE_COR20_HEADER 및 VTableFixups 테이블 분석파일 다운로드1
12125정성태1/24/202016012VS.NET IDE: 141. IDE0019 - Use pattern matching
12124정성태1/23/202017794VS.NET IDE: 140. IDE1006 - Naming rule violation: These words must begin with upper case characters: ...
12123정성태1/23/202019506웹: 39. Google Analytics - gtag 함수를 이용해 페이지 URL 수정 및 별도의 이벤트 생성 방법 [2]
12122정성태1/20/202015644.NET Framework: 879. C/C++의 UNREFERENCED_PARAMETER 매크로를 C#에서 우회하는 방법(IDE0060 - Remove unused parameter '...')파일 다운로드1
12121정성태1/20/202016343VS.NET IDE: 139. Visual Studio - Error List: "Could not find schema information for the ..."파일 다운로드1
12120정성태1/19/202018734.NET Framework: 878. C# DLL에서 Win32 C/C++처럼 dllexport 함수를 제공하는 방법 - 네 번째 이야기(IL 코드로 직접 구현)파일 다운로드1
12119정성태1/17/202018937디버깅 기술: 160. Windbg 확장 DLL 만들기 (3) - C#으로 만드는 방법
12118정성태1/17/202019965개발 환경 구성: 466. C# DLL에서 Win32 C/C++처럼 dllexport 함수를 제공하는 방법 - 세 번째 이야기 [1]
12117정성태1/15/202018790디버깅 기술: 159. C# - 디버깅 중인 프로세스를 강제로 다른 디버거에서 연결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2116정성태1/15/202019461디버깅 기술: 158. Visual Studio로 디버깅 시 sos.dll 확장 명령어를 (비롯한 windbg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방법
12115정성태1/14/202019718디버깅 기술: 157. C# - PEB.ProcessHeap을 이용해 디버깅 중인지 확인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2114정성태1/13/202021525디버깅 기술: 156. C# - PDB 파일로부터 심벌(Symbol) 및 타입(Type) 정보 열거 [1]파일 다운로드3
12113정성태1/12/202021551오류 유형: 590. Visual C++ 빌드 오류 - fatal error LNK1104: cannot open file 'atls.lib' [1]
12112정성태1/12/202016755오류 유형: 589. PowerShell - 원격 Invoke-Command 실행 시 "WinRM cannot complete the operation" 오류 발생
12111정성태1/12/202020553디버깅 기술: 155. C# - KernelMemoryIO 드라이버를 이용해 실행 프로그램을 숨기는 방법(DKOM: Direct Kernel Object Modification) [16]파일 다운로드1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