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기타: 48. NVidia 제품의 과다한 디스크 사용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27418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NVidia 제품의 과다한 디스크 사용

NVidia GeForce 제품을 사용하고 있는데, 디바이스 드라이버 설치 관련해서 꽤나 용량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C:\NVIDIA\DisplayDriver 
C:\ProgramData\NVIDIA Corporation\NetService
C:\Program Files\NVIDIA Corporation\Installer2
%LOCALAPPDATA%\Temp\NVIDIA

위의 4개 폴더 용량을 합치면 거의 4GB 육박합니다. 저는 위의 4개 폴더 자체는 삭제하지 않고 그 하위의 내용을 모두 삭제해서 4GB 용량을 확보했습니다.

혹시... 이거 지워도 괜찮은가??? 하시는 분들은 다음의 문서를 보시면 도움이 될 것입니다.

Disk Space Used When Installing NVIDIA Drivers
; http://nvidia.custhelp.com/app/answers/detail/a_id/3333/~/disk-space-used-when-installing-nvidia-drivers

위의 공식 문서에서는 Installer2 폴더의 경우 "Custom Installation"에서 "Perform Clean Install" 옵션으로 새로운 드라이버를 설치하면 기존 Installer2의 내용이 삭제된다고 하는데, 직접 해봤지만 그다지 깨끗하게 삭제되지는 않았습니다.

좀 더 검색해 보니 다음의 글이 나오는데요.

Cleaning up old NVIDIA driver files to save disk space
; http://www.gameplayinside.com/optimize/cleaning-up-old-nvidia-driver-files-to-save-disk-space/

(위의 덧글을 보면 5~6GB까지 확보했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그냥 삭제해도 되는 식으로 이야기를 쓰고 있습니다. 어쨌든, 공식 문서가 아니므로 불안하지만... 제 경우에는 삭제하는 것으로 결정하고 모험을 시도해봤습니다. ^^ (일단, 지운 상태로는 아무런 이상이 없습니다. 나중에 세월 지나서 문제가 발생할지는 모르지만. ^^)


다음은 이를 자동으로 삭제해 주는 Powershell 스크립트입니다.
cls

$basePath = "C:\\NVIDIA\\DisplayDriver", "C:\\ProgramData\\NVIDIA Corporation\\NetService", "C:\\Program Files\\NVIDIA Corporation\\Installer2", "%USERPROFILE%\\AppData\\Local\\Temp\\NVIDIA"


ForEach ($dir in $basePath)
{
    $expandedDir = [System.Environment]::ExpandEnvironmentVariables($dir)

    If ([System.IO.Directory]::Exists($expandedDir) -eq $false)
    {
        Continue
    }

    $files = Get-ChildItem -Name -Path $expandedDir | sort Name


    ForEach ($file in $files)
    {
        If ($file -eq "NvNetService.log")
        {
            Continue
        }

        $fullPath = [System.IO.Path]::Combine($expandedDir, $file)
        Remove-Item $fullPath -Force -Recurse
    }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7/10/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14-09-23 04시23분
[에메] 네, 지워도 관계없습니다. 몇몇 임시 파일의 경우 드라이버 복구 (Repair) 기능을 이용할 때 사용되는데, 이 기능을 이용하지 않고 드라이버를 다시 받아서 설치하는 방법이 있기 때문에 큰 문제는 아닙니다. 최신 버전의 드라이버 패키지들은 임시 파일을 최대한 빨리 삭제할 수 있도록 수정되었고 남은 부분도 추가적으로 수정될 예정입니다.
[guest]
2014-09-24 12시23분
에매님 확인 감사드립니다. ^^
정성태

...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
NoWriterDateCnt.TitleFile(s)
893정성태7/25/201027422오류 유형: 99. .NET 4.0 설치된 윈도우 7에서 SQL Server 2008 R2 설치 오류
892정성태7/9/201029107오류 유형: 98. 영문 윈도우에 한글 SQL Server 2008 R2 설치할 때 오류 [4]
891정성태7/8/201025034오류 유형: 97. MsiGetProductInfo failed to retrieve ProductVersion for package with Product Code = '{...}'. Error code: 1605. [2]
889정성태7/5/201026725.NET Framework: 179. Dictionary.Get(A) 대신 Dictionary.Get(A.GetHashCode())를 사용해서는 안 되는 이유 [1]
888정성태6/30/201024544오류 유형: 96. Hyper-V 연결 오류 - A connection will not be made because credentials may not be sent to the remote computer
887정성태6/23/201034339개발 환경 구성: 79. Hyper-V의 가상 머신에서 소리 재생 방법 [2]
886정성태6/23/201022544제니퍼 .NET: 14. ASMX, WCF 호출 모니터링 및 누수 확인
885정성태6/20/201024127개발 환경 구성: 78. COM+ 서버에서 COM+ 서버를 호출하는 방법
884정성태6/20/201027088제니퍼 .NET: 13. COM+ 서버 모니터링 [2]
883정성태6/18/201029008개발 환경 구성: 77. Appinit_Dlls로 구현한 환경 변수 설정 DLL [5]파일 다운로드1
882정성태6/17/201031761개발 환경 구성: 76. JKS(Java Key Store)에 저장된 인증서를 ActiveX 코드 서명에 사용하는 방법 [1]
881정성태6/14/201021166제니퍼 .NET: 12. COM+ 호출 모니터링 및 누수 확인
879정성태6/10/201023823제니퍼 .NET: 11. 소켓 모니터링 기능으로 본 ASP.NET의 소켓 풀링 기능 [1]
878정성태6/6/201023635제니퍼 .NET: 10. 소켓 모니터링 기능으로 본 WCF의 WSDualHttpBinding 성능 부하
877정성태5/31/201020345제니퍼 .NET: 9. 성능 관리 퀴즈 세 번째 문제 (닷넷 개발자 컨퍼런스)
876정성태5/31/201019814제니퍼 .NET: 8. 성능 관리 퀴즈 두 번째 문제 (닷넷 개발자 컨퍼런스) [2]
875정성태5/30/201021571제니퍼 .NET: 7. 성능 관리 퀴즈 첫 번째 문제 (닷넷 개발자 컨퍼런스)
873정성태5/19/201028384제니퍼 .NET: 6. 제니퍼를 위한 방화벽 설정
872정성태5/15/201027718제니퍼 .NET: 5. 제니퍼 서버 - NT 서비스로 구동시키는 방법
871정성태5/13/201034292VC++: 40. MSBuild를 이용한 VC++ 프로젝트 빌드파일 다운로드1
870정성태5/12/201025324제니퍼 .NET: 4. 닷넷 APM 솔루션 - 제니퍼 닷넷의 기능 요약 [2]
869정성태11/8/201926800오류 유형 : 95. WCF 인증서 설정 관련 오류 정리 [4]
865정성태5/5/201029065개발 환경 구성: 75. 인증서의 개인키를 담은 물리 파일 위치 알아내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864정성태5/4/201032871.NET Framework: 178. WCF - 사용자 정의 인증 구현 예제 [4]파일 다운로드1
863정성태5/4/201058821개발 환경 구성: 74. 인증서 관련(CER, PVK, SPC, PFX) 파일 만드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862정성태5/3/201020708제니퍼 .NET: 3. 제2회 닷넷 개발자 컨퍼런스에서 뵙겠습니다. ^^
...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