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기타: 48. NVidia 제품의 과다한 디스크 사용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27348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NVidia 제품의 과다한 디스크 사용

NVidia GeForce 제품을 사용하고 있는데, 디바이스 드라이버 설치 관련해서 꽤나 용량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C:\NVIDIA\DisplayDriver 
C:\ProgramData\NVIDIA Corporation\NetService
C:\Program Files\NVIDIA Corporation\Installer2
%LOCALAPPDATA%\Temp\NVIDIA

위의 4개 폴더 용량을 합치면 거의 4GB 육박합니다. 저는 위의 4개 폴더 자체는 삭제하지 않고 그 하위의 내용을 모두 삭제해서 4GB 용량을 확보했습니다.

혹시... 이거 지워도 괜찮은가??? 하시는 분들은 다음의 문서를 보시면 도움이 될 것입니다.

Disk Space Used When Installing NVIDIA Drivers
; http://nvidia.custhelp.com/app/answers/detail/a_id/3333/~/disk-space-used-when-installing-nvidia-drivers

위의 공식 문서에서는 Installer2 폴더의 경우 "Custom Installation"에서 "Perform Clean Install" 옵션으로 새로운 드라이버를 설치하면 기존 Installer2의 내용이 삭제된다고 하는데, 직접 해봤지만 그다지 깨끗하게 삭제되지는 않았습니다.

좀 더 검색해 보니 다음의 글이 나오는데요.

Cleaning up old NVIDIA driver files to save disk space
; http://www.gameplayinside.com/optimize/cleaning-up-old-nvidia-driver-files-to-save-disk-space/

(위의 덧글을 보면 5~6GB까지 확보했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그냥 삭제해도 되는 식으로 이야기를 쓰고 있습니다. 어쨌든, 공식 문서가 아니므로 불안하지만... 제 경우에는 삭제하는 것으로 결정하고 모험을 시도해봤습니다. ^^ (일단, 지운 상태로는 아무런 이상이 없습니다. 나중에 세월 지나서 문제가 발생할지는 모르지만. ^^)


다음은 이를 자동으로 삭제해 주는 Powershell 스크립트입니다.
cls

$basePath = "C:\\NVIDIA\\DisplayDriver", "C:\\ProgramData\\NVIDIA Corporation\\NetService", "C:\\Program Files\\NVIDIA Corporation\\Installer2", "%USERPROFILE%\\AppData\\Local\\Temp\\NVIDIA"


ForEach ($dir in $basePath)
{
    $expandedDir = [System.Environment]::ExpandEnvironmentVariables($dir)

    If ([System.IO.Directory]::Exists($expandedDir) -eq $false)
    {
        Continue
    }

    $files = Get-ChildItem -Name -Path $expandedDir | sort Name


    ForEach ($file in $files)
    {
        If ($file -eq "NvNetService.log")
        {
            Continue
        }

        $fullPath = [System.IO.Path]::Combine($expandedDir, $file)
        Remove-Item $fullPath -Force -Recurse
    }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7/10/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14-09-23 04시23분
[에메] 네, 지워도 관계없습니다. 몇몇 임시 파일의 경우 드라이버 복구 (Repair) 기능을 이용할 때 사용되는데, 이 기능을 이용하지 않고 드라이버를 다시 받아서 설치하는 방법이 있기 때문에 큰 문제는 아닙니다. 최신 버전의 드라이버 패키지들은 임시 파일을 최대한 빨리 삭제할 수 있도록 수정되었고 남은 부분도 추가적으로 수정될 예정입니다.
[guest]
2014-09-24 12시23분
에매님 확인 감사드립니다. ^^
정성태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465정성태12/29/202020265.NET Framework: 987. .NET Profiler - FunctionID와 연관된 ClassID를 구할 수 없는 문제
12464정성태12/29/202018581.NET Framework: 986. pptfont.exe - PPT 파일에 숨겨진 폰트 설정을 일괄 삭제
12463정성태12/29/202017494개발 환경 구성: 520. RDP(mstsc.exe)의 다중 모니터 옵션 /multimon, /span
12462정성태12/27/202019469디버깅 기술: 177. windbg - (ASP.NET 환경에서 유용한) netext 확장
12461정성태12/21/202019868.NET Framework: 985. .NET 코드 리뷰 팁 [3]
12460정성태12/18/202017885기타: 78. 도서 소개 - C#으로 배우는 암호학
12459정성태12/16/202019152Linux: 35. C# - 리눅스 환경에서 클라이언트 소켓의 ephemeral port 재사용파일 다운로드1
12458정성태12/16/202016761오류 유형: 694. C# - Task.Start 메서드 호출 시 "System.InvalidOperationException: 'Start may not be called on a task that has completed.'" 예외 발생 [1]
12457정성태12/15/202017036Windows: 185. C# - Windows 10/2019부터 추가된 SIO_TCP_INFO파일 다운로드1
12456정성태12/15/202017918VS.NET IDE: 156. Visual Studio - "Migrate packages.config to PackageReference"
12455정성태12/15/202017313오류 유형: 693. DLL 로딩 시 0x800704ec - This Program is Blocked by Group Policy [1]
12454정성태12/15/202017888Windows: 184. Windows - AppLocker의 "DLL Rules"를 이용해 임의 경로에 설치한 DLL의 로딩을 막는 방법 [1]
12453정성태12/14/202018811.NET Framework: 984. C# - bool / BOOL / VARIANT_BOOL에 대한 Interop [1]파일 다운로드1
12452정성태12/14/202019192Windows: 183. 설정은 가능하지만 구할 수는 없는 TcpTimedWaitDelay 값
12451정성태12/14/202017204Windows: 182. WMI Namespace를 열거하고, 그 안에 정의된 클래스를 열거하는 방법 [5]
12450정성태12/13/202018353.NET Framework: 983. C# - TIME_WAIT과 ephemeral port 재사용파일 다운로드1
12449정성태12/11/202019336.NET Framework: 982. C# - HttpClient에서의 ephemeral port 재사용 [2]파일 다운로드1
12448정성태12/11/202020730.NET Framework: 981. C# - HttpWebRequest, WebClient와 ephemeral port 재사용파일 다운로드1
12447정성태12/10/202018843.NET Framework: 980. C# - CopyFileEx API 사용 예제 코드파일 다운로드1
12446정성태12/10/202019927.NET Framework: 979. C# - CoCreateInstanceEx 사용 예제 코드파일 다운로드1
12445정성태12/8/202015723오류 유형: 692. C# Marshal.PtrToStructure - The structure must not be a value class.파일 다운로드1
12444정성태12/8/202017155.NET Framework: 978. C# - GUID 타입 전용의 UnmanagedType.LPStruct [1]파일 다운로드1
12443정성태12/8/202016560.NET Framework: 977. C# PInvoke - C++의 매개변수에 대한 마샬링을 tlbexp.exe를 이용해 확인하는 방법
12442정성태12/4/202015496오류 유형: 691. Visual Studio - Build Events에 robocopy를 사용할때 "Invalid Parameter #1" 오류가 발행하는 경우
12441정성태12/4/202014915오류 유형: 690. robocopy - ERROR : No Destination Directory Specified.
12440정성태12/4/202016481오류 유형: 689. SignTool Error: Invalid option: /as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