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ICorProfilerInfo::GetILToNativeMapping 메서드가 0x80131358을 반환하는 경우

아래의 예제 코드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How do you map a native to IL instruction pointer in-process
; http://stackoverflow.com/questions/198754/how-do-you-map-a-native-to-il-instruction-pointer-in-process

제 경우에는 GetILToNativeMapping 메서드를 아무리 호출해도 0x80131358 값만을 반환하는 군요. ^^;

ULONG32 cNeedMap = 1024;
COR_DEBUG_IL_TO_NATIVE_MAP zeroBuf[1024];

cNeedMap = 0;
hr = pInfo->GetILToNativeMapping(funcId, 0, &cNeedMap, NULL);

// hr == 0x80131358

Error Lookup 프로그램에서 0x80131358 값이 뭔지 조회해도 그런 값을 찾을 수 없다고 나옵니다.

그러다가, 혹시 SSCLI에서 이 답을 구할 수 도 있지 않을까 싶었는데요.

shared-source-cli-2.0 / clr / src / vm / proftoeeinterfaceimpl.cpp
; https://github.com/gbarnett/shared-source-cli-2.0/blob/master/clr/src/vm/proftoeeinterfaceimpl.cpp

GetILToNativeMapping 구현 코드에서 오류로 인해 중간에 return 하는 것을 보니 답이 나옵니다. 바로 CORPROF_E_JITMAPS_NOT_ENABLED의 값이었던 것입니다.

2979 /* 
2980  * GetILToNativeMapping returns a map from IL offsets to native 
2981  * offsets for this code. An array of COR_DEBUG_IL_TO_NATIVE_MAP 
2982  * structs will be returned, and some of the ilOffsets in this array 
2983  * may be the values specified in CorDebugIlToNativeMappingTypes. 
2984  */ 
2985 HRESULT ProfToEEInterfaceImpl::GetILToNativeMapping( 
2986             /* [in] */  CodeID codeId, 
2987             /* [in] */  ULONG32 cMap, 
2988             /* [out] */ ULONG32 *pcMap, 
2989             /* [out, size_is(cMap), length_is(*pcMap)] */ 
2990                 COR_DEBUG_IL_TO_NATIVE_MAP map[]) 
2991 { 
2992     CONTRACTL 
2993     { 
2994         SO_NOT_MAINLINE; 
2995         THROWS;                     // MethodDesc::FindOrCreateInstantiationAtObject throws 
2996         GC_TRIGGERS;                // MethodDesc::FindOrCreateInstantiationAtObject triggers 
2997     } CONTRACTL_END; 
2998 
 
2999     LOG((LF_CORPROF, LL_INFO1000, "**PROF: GetILToNativeMapping 0x%p.\n", codeId)); 
3000      
3001     ENSURE_CALLBACK_STATE_FLAGS_SET(COR_PRF_CALLBACKSTATE_INCALLBACK); 
3002      
3003     // If JIT maps are not enabled, then we can't provide it 
3004     if (!CORProfilerJITMapEnabled()) 
3005         return (CORPROF_E_JITMAPS_NOT_ENABLED); 
3006 
 
3007 #ifdef DEBUGGING_SUPPORTED 
3008     // Cast to proper type 
3009     MethodDesc *pMD = CodeIDToMethodDesc(codeId); 
3010 
 
3011     // If the code is generic, then GetCodeInfo is not really supported and may not give 
3012     // accurate results.  This is better than always failing, 
3013     // though we may prejudice profiling by which 
3014     // copy of the code we return, so we just return none. 
3015     if (pMD->HasClassOrMethodInstantiation() && pMD->IsTypicalMethodDefinition()) 
3016         pMD = pMD->FindOrCreateInstantiationAtObject();  // Can we pass allowCreate=FALSE to make this no trigger? 
3017 
 
3018     return (g_pDebugInterface->GetILToNativeMapping(pMD, cMap, pcMap, map)); 
3019 #else 
3020     return E_NOTIMPL; 
3021 #endif 
3022 } 

이 값의 정의는 Visual C++의 CorError.h 헤더 파일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define CORPROF_E_JITMAPS_NOT_ENABLED EMAKEHR(0x1358)

CORPROF_E_JITMAPS_NOT_ENABLED의 원인은 .NET Profiler를 만져본 분들이라면 금방 눈치챌 수 있습니다. .NET Profiler는 callback 이벤트를 받을 유형을 지정할 수가 있는데요. 제 경우에는 해당 옵션을 활성화시키지 않았기 때문이었습니다. 그 옵션의 이름은 COR_PRF_MONITOR::COR_PRF_ENABLE_JIT_MAPS입니다.

COR_PRF_MONITOR Enumeration
; https://docs.microsoft.com/en-us/dotnet/framework/unmanaged-api/profiling/cor-prf-monitor-enumeration

재미있는 것은 문서의 내용입니다. 위의 글에 보면 COR_PRF_ENABLE_JIT_MAPS 옵션에 다음과 같은 내용이 있습니다.

Deprecated.
Allows the profiler to obtain IL-to-native maps by using GetILToNativeMapping. Starting with the .NET Framework 2.0, the runtime always tracks IL-to-native maps; therefore, this flag is always considered to be set.


하지만, 문서의 내용과는 달리 .NET 2.0 이후에도 여전히 해당 옵션을 명시적으로 설정해줘야 하는 것입니다. 결국, 다음과 같이 ICorProfilerInfo2의 SetEventMask를 설정해 주는 것으로 문제 해결!

m_dwEventMask = ...;
m_dwEventMask |= COR_PRF_ENABLE_JIT_MAPS;

m_pICorProfilerInfo2->SetEventMask(m_dwEventMask);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7/17/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0797정성태5/23/201521501VC++: 91. 자식 스레드에 자동 상속되는 TEB의 SubProcessTag 필드파일 다운로드1
10796정성태5/23/201532347오류 유형: 293. SQL Server Management Studio 실행 시 "Cannot find one or more components" 오류
10795정성태5/23/201530438오류 유형: 292. InstallUtil로 .NET 서비스 등록 시 오류 - Operation is not supported. (Exception from HRESULT: 0x80131515). [3]
10794정성태5/22/201525394개발 환경 구성: 267. (무료) 마이크로소프트 온라인 강좌 소개 - 네트워킹 기초 [1]
2925정성태5/14/201525003디버깅 기술: 73. PDB 기호 파일의 경로 구성 방식파일 다운로드1
2924정성태5/14/201528317VS.NET IDE: 100. 비주얼 스튜디오 원격 디버깅 시 'Unknown function' 콜스택이 나온다면?
2923정성태5/12/201587729기타: 52. 도서: 시작하세요! C# 6.0 프로그래밍: 기본 문법부터 실전 예제까지 [17]
2922정성태5/12/201524586오류 유형: 291. ssindex.cmd 실행 시 '...[tfs_collection_url]...' not found in srcsrv.ini 오류 발생
2921정성태5/9/201530935개발 환경 구성: 266. 인텔에서 구현한 최대 절전 모드 기능 - Intel® Rapid Start Technology
2920정성태5/9/201521992오류 유형: 290. 디스크 관리자의 파티션 축소 시, There is not enough space available on the disk(s) to complete this operation.
2919정성태5/9/201521887오류 유형: 289. Error: this template attempted to load component assembly 'NuGet.VisualStudio.Interop, ...'
2918정성태5/9/201540421Windows: 111. 복구(Recovery) 파티션 삭제하는 방법 [3]
2917정성태5/9/201530830오류 유형: 288. .NET Framework 4.6이 설치된 경우 "Intel® Rapid Storage Technology (Intel® RST) RAID Driver"가 설치 안 되는 문제 [5]
2916정성태5/9/201531928오류 유형: 287. 레지스트리 권한 오류 - Cannot edit [Registry key name]: Error writing the value's new contents.
2915정성태5/9/201531065개발 환경 구성: 265. TrustedInstaller 권한으로 프로그램 실행시키는 방법 [11]
2914정성태5/9/201528397DDK: 7. 정식 인증서가 있는 경우 Device Driver 서명하는 방법 [2]
2913정성태4/30/201526126.NET Framework: 511. Build 2015 행사에서 소개된 (맥/리눅스/윈도우 용 무료) Visual Studio Code 개발 도구 [8]
2912정성태4/29/201521883오류 유형: 286. VirtualBox에 Windows 8/2012 설치 시 "Error Code: 0x000000C4" 오류 발생
2911정성태4/29/201520478오류 유형: 285. Visual Studio 2015를 제거한 경우 Microsoft.VisualStudio.Web.PageInspector.Loader 어셈블리를 못 찾는 문제 [2]
2910정성태4/29/201524422오류 유형: 284. System.TypeLoadException: Could not load type 'System.Reflection.AssemblySignatureKeyAttribute' from assembly [1]
2909정성태4/29/201520559오류 유형: 283. WCF 연결 오류 - Expected record type 'PreambleAck'
2908정성태4/29/201528878오류 유형: 282. 원격에서 SQL 서버는 연결되지만, SQL Express는 연결되지 않는 경우
2907정성태4/29/201518870.NET Framework: 510. 제네릭(Generic) 인자에 대한 메타데이터 등록 확인
2906정성태4/28/201521469오류 유형: 281. DebugView로 인한 System.Diagnostics.Trace.WriteLine 멈춤(Hang) 현상
2905정성태4/27/201521890오류 유형: 280. HttpResponse.Headers.Add에서 "System.PlatformNotSupportedException: This operation requires IIS integrated pipeline mode." 예외 발생
2904정성태4/27/201527062DDK: 6. ZwTerminateProcess로 프로세스를 종료하는 Device Driver 프로그램 [2]파일 다운로드1
...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