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파일 삭제가 안 되는 경우 - The action can't be comleted because the file is open in System

아래의 메시지 창에서 보는 것처럼, 탐색기에서 해당 파일이 지워지지 않고 있습니다.

file_locked_delete_1.png

재미있는 것은, 잡고 있는 프로세스가 바로 "System"입니다. 더욱 재미있는 것은 아래의 화면입니다.

file_locked_delete_2.png

작업 관리자를 보면 ConsoleApplication1.exe가 실행되어 있지는 않는데, Process Explorer를 통해서 보면 해당 인스턴스가 여전히 남아 있습니다. 즉, System에 의해 잠긴 것은 아니고 해당 EXE들이 실행되어 있는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또 하나 재미있는 것은... ^^ 하단의 모듈 목록입니다. "ConsoleApplication2.exe"와 "ntdll.dll" 2개만 달랑 있습니다. 즉, 정상적인 프로세스 상태가 아닌 것입니다.

사실, 이는 아주 특별한 경우에 나타날 수 있는 현상인데요. 아래의 글에 설명한,

닷넷에서 EIP/RIP 레지스터 값을 구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762

심지어 해당 닷넷 프로젝트의 "Debug" / "Enable native code debugging"을 켜고 작업하게 되면 exe 프로세스가 살아 있는 희한한 현상마저 겪게 됩니다.


바로 그 '현상'입니다.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7/2/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96  197  [198]  199  200  201 
NoWriterDateCnt.TitleFile(s)
78정성태12/27/200423864VS.NET IDE: 16. MS 제품 관련 사용되는 TCP/IP 포트 열거파일 다운로드1
77정성태12/27/200424177VS.NET IDE: 15. Virtual CD-ROM Control Panel - ISO 이미지를 CD-ROM 드라이브처럼 접근하게 해주는 EXE 프로그램 [1]파일 다운로드1
76정성태12/27/200425068VS.NET IDE: 14. VPN 접속시 IP를 고정적으로 할당받는 방법 [1]
75정성태12/27/200421135VS.NET IDE: 13. VS.NET 2005 Beta 1 - Portfolio Explorer 에 등록된 Team Server 항목 삭제 방법
84정성태1/19/200522323    답변글 VS.NET IDE: 13.1. VS.NET 2005 Beta 1 : Team Server 에 등록된 포트폴리오 프로젝트 삭제 방법
74정성태12/26/200422538VS.NET IDE: 12. [시나리오] VS.NET 2005 Team Foundation Server을 Virtual Server에 설치 [1]
80정성태12/31/200422309    답변글 VS.NET IDE: 12.1. Client Tier, 즉 VS.NET 2005가 설치된 컴퓨터도 ActiveDirectory에 참여를 해야 합니다.
81정성태12/31/200424399    답변글 VS.NET IDE: 12.2. Tier 컴퓨터를 모두 영문으로 재구성
109정성태3/4/200518979    답변글 VS.NET IDE: 12.3. [보완] MS 공식 아티클 - Installing the December CTP Release of Visual Studio Team System
73정성태11/14/200521031.NET Framework: 19. VS.NET 2005 Team Foundation Server 설치오류 - 26204 예외
72정성태12/26/200422563.NET Framework: 18. .NET Framework 2.0 Beta 설치 후에 Windows SharePoint Service 오류 [1]
136정성태3/31/200523016    답변글 .NET Framework: 18.1. Windows Sharepoint Services 를 설치한 이후 ASP.NET 오류 문제
71정성태12/26/200420601VS.NET IDE: 11. SQL Server 2005 Beta 2 를 네트워크 드라이브로부터 설치시 오류
70정성태12/26/200423627VS.NET IDE: 10. WSS 설치 후 localhost 접근 보안 오류
69정성태12/5/200420795VS.NET IDE: 9. 다른 컴퓨터(방화벽 설치)에 설치된 SQL Server에 통합 인증을 할 때 필요한 포트
68정성태10/31/200425635.NET Framework: 17. Win32_NTLogEvent를 c#에서 wmi 쿼리할 때..에러..
67정성태10/22/200422787COM 개체 관련: 12. Microsoft.XMLHTTP 개체에서 Microsoft.XMLDOM 개체를 전송할 때 charset 지정 문제?
66정성태10/16/200424189.NET Framework: 16. [닷넷 리모팅] 프록시가 죽은 것을 원격 개체가 알 수 있는 방법은?
65정성태10/16/200423047VS.NET IDE: 8. Windows 가상 메모리 사용 해제
64정성태10/3/200426913.NET Framework: 15. ASP.NET에서 .NET COM+ 개체 등록 시 "Local System"이어야 하는 이유.
63정성태10/3/200426876.NET Framework: 14. Response.Cookies.Clear는 기존 설정된 Cookie 헤더를 삭제하는 것이 아닙니다.
62정성태10/3/200426179기타: 7. DB 트랜잭션에서 Lock이 걸릴 수 있는 전형적인 예.
61정성태10/3/200425418.NET Framework: 13. Main 메서드에 붙은 STAThread 의미
60정성태10/3/200424303.NET Framework: 12. IDispatch::GetIDsOfNames 역변환 메서드 작성 힌트 ( DISPID 로 메서드 이름 알아내는 것 )
58정성태10/3/200427393.NET Framework: 11. HttpContext의 간략이해
56정성태10/3/200423699.NET Framework: 10. [.NET 리모팅] 원격개체를 호출한 클라이언트의 연결이 유효한지 판단하는 방법.
... 196  197  [198]  199  200  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