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7개 있습니다.)

실행된 프로세스(EXE)의 명령행 인자를 확인하고 싶다면 - Sysmon

근래에 나온 sysinternals의 새로운 도구가 바로 Sysmon입니다. ^^

Sysinternals New Tool Sysmon (System Monitor)
; http://www.darkoperator.com/blog/2014/8/8/sysinternals-sysmon

물론, 마이크로소프트로부터 다운로드할 수 있고.

Sysmon v1.0
; https://learn.microsoft.com/en-us/sysinternals/downloads/sysmon

명령행 도움말이 제공되지만,

Usage:

Install:    Sysmon.exe -i [-h [sha1|md5|sha256]] [-n]
Configure:  Sysmon.exe -c [[-h [sha1|md5|sha256]] [-n]|--]
Uninstall:  Sysmon.exe -u

-c Update configuration of an installed Sysmon driver or dump the current configuration if no other argument is provided. 
-h Specify the hash algorithm used for image identification (default is SHA1). 
-i Install service and driver. 
-m Install the event manifest (done on service install as well). 
-n Log network connections. 
-u Uninstall service and driver. 

그냥 간단하게 다음과 같이 실행해서 서비스 설치를 할 수 있습니다.

sysmon -i -accepteula

그럼 NT 서비스로 늘 실행하는 형태로 등록됩니다.

sysmon_test_1.png

이후로 실행되는 모든 EXE 프로세스는 명령행 정보와 함께 이벤트 로그의 "Event Viewer" / "Applications and Services Logs" / "Microsoft" / "Windows" 하위에 있는 "Sysmon" 폴더에 기록됩니다.

가령, 다음은 그 한 예입니다.

Log Name:      Microsoft-Windows-Sysmon/Operational
Source:        Microsoft-Windows-Sysmon
Date:          2014-08-16 오후 4:46:35
Event ID:      1
Task Category: (1)
Level:         Information
Keywords:      
User:          SYSTEM
Computer:      TESTPC2
Description:
Process Create
Event Xml:
<Event xmlns="http://schemas.microsoft.com/win/2004/08/events/event">
  <System>
    <Provider Name="Microsoft-Windows-Sysmon" Guid="{5770385F-C22A-43E0-BF4C-06F5698FFBD9}" />
    <EventID>1</EventID>
    <Version>2</Version>
    <Level>4</Level>
    <Task>1</Task>
    <Opcode>0</Opcode>
    <Keywords>0x8000000000000000</Keywords>
    <TimeCreated SystemTime="2014-08-16T07:46:35.553829500Z" />
    <EventRecordID>21</EventRecordID>
    <Correlation />
    <Execution ProcessID="14896" ThreadID="10820" />
    <Channel>Microsoft-Windows-Sysmon/Operational</Channel>
    <Computer>TESTPC2</Computer>
    <Security UserID="S-1-5-18" />
  </System>
  <EventData>
    <Data Name="UtcTime">2014-08-16 오전 7:46</Data>
    <Data Name="ProcessGuid">{00000000-695B-53EC-0000-0010F8037708}</Data>
    <Data Name="ProcessId">9264</Data>
    <Data Name="Image">C:\Program Files (x86)\Microsoft SDKs\Windows\v7.1A\bin\rc.exe</Data>
    <Data Name="CommandLine">"C:\Program Files (x86)\Microsoft SDKs\Windows\v7.1A\bin\rc.exe" /D _DEBUG /D _WINRES_COMPILE /D _USING_V110_SDK71_ /D _UNICODE /D UNICODE /l0x0409 /IDebug\ /v /foDebug\TestApp.res TestApp.rc</Data>
    <Data Name="User">TESTPC2\TestUser</Data>
    <Data Name="LogonId">0x57389</Data>
    <Data Name="TerminalSessionId">1</Data>
    <Data Name="IntegrityLevel">Medium</Data>
    <Data Name="HashType">SHA1</Data>
    <Data Name="Hash">CA1BE77C3DE643909A8999E3FBFC2EC91EBD07EA</Data>
    <Data Name="ParentProcessGuid">{00000000-695B-53EC-0000-0010C4027708}</Data>
    <Data Name="ParentProcessId">8072</Data>
    <Data Name="ParentImage">C:\Program Files (x86)\MSBuild\12.0\bin\Tracker.exe</Data>
    <Data Name="ParentCommandLine">"C:\Program Files (x86)\MSBuild\12.0\bin\Tracker.exe" @"C:\Users\...\AppData\Local\Temp\tmp05760d77f1134cae8e78bc199ac2e639.tmp" /c "C:\Program Files (x86)\Microsoft SDKs\Windows\v7.1A\bin\rc.exe"  /D _DEBUG /D _WINRES_COMPILE /D _USING_V110_SDK71_ /D _UNICODE /D UNICODE /l"0x0409" /IDebug\ /v /fo"Debug\TestApp.res" TestApp.rc</Data>
  </EventData>
</Event>

보시는 바와 같이, 꽤나 흥미로운 정보가 2가지 있습니다. 바로 해당 프로세스의 명령행과 그것을 실행시킨 부모 프로세스의 명령행 정보입니다.

기존의 "Process Explorer"에서는 현재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 대해서만 명령행 정보를 확인할 수 있었는데, sysmon을 이용하면 반짝하고 실행이 금방 종료되는 경우에도 가능해졌다는 차이가 있습니다. ^^




참고로, 위의 예제에서 든 rc.exe 컴파일의 경우 비주얼 스튜디오의 Output 창에서 명령행 정보를 확인하는 방법이 있는데요. "TOOLS" / "Options" 메뉴에서 "Projects and Solutions" / "Build and Run" 범주의 "MSBuild project build output verbosity" 항목을 "Detailed"로 설정해 주고,

sysmon_test_2.png

해당 Visual C++ 프로젝 속성 창에서 역시 "Configuration Properties" / "Resources" / "General" 범주로 이동해 "Show Progress" 옵션을 켜두면,

sysmon_test_2.png

이후의 컴파일에서 rc.exe 실행 및 그것의 명령행 정보까지 모두 Output 창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7/3/2024]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14-10-02 05시37분
[유수석] 오... 좋은 정보네요...
굿굿
[guest]
2014-10-03 05시15분
기존 툴 유지/보수하는 것도 바쁠 텐데, 이렇게 새로운 것도 만들어 내는 거 보면 대단한 것 같습니다. ^^
정성태
2022-07-03 10시12분
sysmon 이벤트 로그를 긁어 부모/자식 프로세스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보여주는 ps1 스크립트입니다. ^^

PSBits/DFIR/GetSysmonTree.ps1
; https://github.com/gtworek/PSBits/blob/master/DFIR/GetSysmonTree.ps1
정성태
2022-08-17 09시02분
정성태

...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704정성태7/2/201421627.NET Framework: 447. w3wp.exe AppPool 재생(recycle)하는 방법 정리
1703정성태7/2/201422465.NET Framework: 446. Assembly.Load를 이용해 GAC에 등록된 어셈블리를 로드하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702정성태6/23/201422175Phone: 11. Xamarin.Forms - 2. XAML을 이용한 페이지 개발파일 다운로드1
1701정성태6/23/201434353개발 환경 구성: 229. .NET Reflector + Reflexil 도구를 이용해 DLL 코드 변경 [4]
1700정성태6/23/201421191VS.NET IDE: 89. Visual Studio에서 기본 제공되는 성능 프로파일 [2]
1699정성태6/22/201423984Phone: 10. Xamarin.Forms - 1. Forms 시작하기 [2]파일 다운로드1
1698정성태6/22/201425968.NET Framework: 445. [부연 설명] 쉬운 C# 코드를 어럽게 이해하기 [2]
1697정성태6/22/201421236VS.NET IDE: 88. Visual Studio에서 직접 컴파일하는 IL 언어 확장 도구 - IL Support
1696정성태6/22/201421054.NET Framework: 444. clojure와 C#을 통해 이해하는 Sequence와 Vector 형식의 차이점 [1]
1695정성태6/21/201420053개발 환경 구성: 228. PowerShell ISE에서 (입력 기능이 있는) 콘솔 응용 프로그램을 시작하는 방법
1694정성태6/21/201421200개발 환경 구성: 227. 닷넷 용 ClojureCLR 개발환경 설정
1693정성태6/20/201421528개발 환경 구성: 226. Clojure 언어의 윈도우 개발환경 설정
1692정성태6/19/201432134오류 유형: 231. Visual Studio 2013 한글 버전 설치 오류 - The form specified for the subject is not one supported or known by the specified trust provider
1691정성태6/18/201427382개발 환경 구성: 225. 유닉스 계열의 tail 명령어가 제공되는 PowerShell [1]
1690정성태6/18/201430156개발 환경 구성: 224. DirectShow 예제 구하는 방법 [3]
1689정성태6/18/201426950오류 유형: 230. C++ 가변 인자 사용시 va_start 파라미터 전달 방법 [2]
1688정성태6/15/201420565오류 유형: 229. 갤럭시 노트 3 환경에서 Xamarin 앱 배포 충돌
1687정성태6/15/201426576개발 환경 구성: 223. PowerShell로 Visual Studio 빌드 스크립트 작성파일 다운로드1
1686정성태6/12/201424286Windows: 96. 윈도우 8 - 그림 암호를 이용해 로그인 시 지연 현상을 해결하는 방법 [1]
1685정성태6/10/201431021.NET Framework: 443. 자바 8과 C#의 람다(Lambda) 지원에 대한 비교 [12]
1684정성태6/9/201441164.NET Framework: 442. C# - 시스템의 CPU 사용량 및 프로세스(EXE)의 CPU 사용량 알아내는 방법 [5]파일 다운로드1
1683정성태6/2/201420704오류 유형: 228. CLR4 보안 - yield 구문 내에서 SecurityCritical 메서드 사용 불가 [2]파일 다운로드1
1682정성태6/1/201425948.NET Framework: 441. .NET CLR4 보안 모델 - 3. CLR4 보안 모델에서의 APTCA 역할파일 다운로드2
1681정성태6/1/201421816.NET Framework: 440. .NET CLR4 보안 모델 - 2. 샌드박스(Sandbox)을 이용한 보안 [2]파일 다운로드1
1680정성태6/1/201421325.NET Framework: 439. .NET CLR4 보안 모델 - 1. "Security Level 2"란?파일 다운로드1
1679정성태5/31/201420434.NET Framework: 438. .NET CLR2 보안 모델에서의 APTCA 역할파일 다운로드1
...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