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5개 있습니다.)

실행된 프로세스(EXE)의 명령행 인자를 확인하고 싶다면 - Sysmon

근래에 나온 sysinternals의 새로운 도구가 바로 Sysmon입니다. ^^

Sysinternals New Tool Sysmon (System Monitor)
; http://www.darkoperator.com/blog/2014/8/8/sysinternals-sysmon

물론, 마이크로소프트로부터 다운로드할 수 있고.

Sysmon v1.0
; https://docs.microsoft.com/en-us/sysinternals/downloads/sysmon

명령행 도움말이 제공되지만,

Usage:

Install:    Sysmon.exe -i [-h [sha1|md5|sha256]] [-n]
Configure:  Sysmon.exe -c [[-h [sha1|md5|sha256]] [-n]|--]
Uninstall:  Sysmon.exe -u

-c Update configuration of an installed Sysmon driver or dump the current configuration if no other argument is provided. 
-h Specify the hash algorithm used for image identification (default is SHA1). 
-i Install service and driver. 
-m Install the event manifest (done on service install as well). 
-n Log network connections. 
-u Uninstall service and driver. 

그냥 간단하게 다음과 같이 실행해서 서비스 설치를 할 수 있습니다.

sysmon -i -accepteula

그럼 NT 서비스로 늘 실행하는 형태로 등록됩니다.

sysmon_test_1.png

이후로 실행되는 모든 EXE 프로세스는 명령행 정보와 함께 이벤트 로그의 "Event Viewer" / "Applications and Services Logs" / "Microsoft" / "Windows" 하위에 있는 "Sysmon" 폴더에 기록됩니다.

가령, 다음은 그 한 예입니다.

Log Name:      Microsoft-Windows-Sysmon/Operational
Source:        Microsoft-Windows-Sysmon
Date:          2014-08-16 오후 4:46:35
Event ID:      1
Task Category: (1)
Level:         Information
Keywords:      
User:          SYSTEM
Computer:      TESTPC2
Description:
Process Create
Event Xml:
<Event xmlns="http://schemas.microsoft.com/win/2004/08/events/event">
  <System>
    <Provider Name="Microsoft-Windows-Sysmon" Guid="{5770385F-C22A-43E0-BF4C-06F5698FFBD9}" />
    <EventID>1</EventID>
    <Version>2</Version>
    <Level>4</Level>
    <Task>1</Task>
    <Opcode>0</Opcode>
    <Keywords>0x8000000000000000</Keywords>
    <TimeCreated SystemTime="2014-08-16T07:46:35.553829500Z" />
    <EventRecordID>21</EventRecordID>
    <Correlation />
    <Execution ProcessID="14896" ThreadID="10820" />
    <Channel>Microsoft-Windows-Sysmon/Operational</Channel>
    <Computer>TESTPC2</Computer>
    <Security UserID="S-1-5-18" />
  </System>
  <EventData>
    <Data Name="UtcTime">2014-08-16 오전 7:46</Data>
    <Data Name="ProcessGuid">{00000000-695B-53EC-0000-0010F8037708}</Data>
    <Data Name="ProcessId">9264</Data>
    <Data Name="Image">C:\Program Files (x86)\Microsoft SDKs\Windows\v7.1A\bin\rc.exe</Data>
    <Data Name="CommandLine">"C:\Program Files (x86)\Microsoft SDKs\Windows\v7.1A\bin\rc.exe" /D _DEBUG /D _WINRES_COMPILE /D _USING_V110_SDK71_ /D _UNICODE /D UNICODE /l0x0409 /IDebug\ /v /foDebug\TestApp.res TestApp.rc</Data>
    <Data Name="User">TESTPC2\TestUser</Data>
    <Data Name="LogonId">0x57389</Data>
    <Data Name="TerminalSessionId">1</Data>
    <Data Name="IntegrityLevel">Medium</Data>
    <Data Name="HashType">SHA1</Data>
    <Data Name="Hash">CA1BE77C3DE643909A8999E3FBFC2EC91EBD07EA</Data>
    <Data Name="ParentProcessGuid">{00000000-695B-53EC-0000-0010C4027708}</Data>
    <Data Name="ParentProcessId">8072</Data>
    <Data Name="ParentImage">C:\Program Files (x86)\MSBuild\12.0\bin\Tracker.exe</Data>
    <Data Name="ParentCommandLine">"C:\Program Files (x86)\MSBuild\12.0\bin\Tracker.exe" @"C:\Users\...\AppData\Local\Temp\tmp05760d77f1134cae8e78bc199ac2e639.tmp" /c "C:\Program Files (x86)\Microsoft SDKs\Windows\v7.1A\bin\rc.exe"  /D _DEBUG /D _WINRES_COMPILE /D _USING_V110_SDK71_ /D _UNICODE /D UNICODE /l"0x0409" /IDebug\ /v /fo"Debug\TestApp.res" TestApp.rc</Data>
  </EventData>
</Event>

보시는 바와 같이, 꽤나 흥미로운 정보가 2가지 있습니다. 바로 해당 프로세스의 명령행과 그것을 실행시킨 부모 프로세스의 명령행 정보입니다.

기존의 "Process Explorer"에서는 현재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 대해서만 명령행 정보를 확인할 수 있었는데, sysmon을 이용하면 반짝하고 실행이 금방 종료되는 경우에도 가능해졌다는 차이가 있습니다. ^^




참고로, 위의 예제에서 든 rc.exe 컴파일의 경우 비주얼 스튜디오의 Output 창에서 명령행 정보를 확인하는 방법이 있는데요. "TOOLS" / "Options" 메뉴에서 "Projects and Solutions" / "Build and Run" 범주의 "MSBuild project build output verbosity" 항목을 "Detailed"로 설정해 주고,

sysmon_test_2.png

해당 Visual C++ 프로젝 속성 창에서 역시 "Configuration Properties" / "Resources" / "General" 범주로 이동해 "Show Progress" 옵션을 켜두면,

sysmon_test_2.png

이후의 컴파일에서 rc.exe 실행 및 그것의 명령행 정보까지 모두 Output 창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7/3/2022]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14-10-02 05시37분
[유수석] 오... 좋은 정보네요...
굿굿
[guest]
2014-10-03 05시15분
기존 툴 유지/보수하는 것도 바쁠 텐데, 이렇게 새로운 것도 만들어 내는 거 보면 대단한 것 같습니다. ^^
정성태
2022-07-03 10시12분
sysmon 이벤트 로그를 긁어 부모/자식 프로세스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보여주는 ps1 스크립트입니다. ^^

PSBits/DFIR/GetSysmonTree.ps1
; https://github.com/gtworek/PSBits/blob/master/DFIR/GetSysmonTree.ps1
정성태
2022-08-17 09시02분
정성태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187정성태12/8/20226114개발 환경 구성: 654. openssl - CA로부터 인증받은 새로운 인증서를 생성하는 방법 (2)
13186정성태12/6/20224673오류 유형: 831. The framework 'Microsoft.AspNetCore.App', version '...' was not found.
13185정성태12/6/20225621개발 환경 구성: 653. Windows 환경에서의 Hello World x64 어셈블리 예제 (NASM 버전)
13184정성태12/5/20224847개발 환경 구성: 652. ml64.exe와 link.exe x64 실행 환경 구성
13183정성태12/4/20224741오류 유형: 830. MASM + CRT 함수를 사용하는 경우 발생하는 컴파일 오류 정리
13182정성태12/4/20225503Windows: 217. Windows 환경에서의 Hello World x64 어셈블리 예제 (MASM 버전)
13181정성태12/3/20224855Linux: 54. 리눅스/WSL - hello world 어셈블리 코드 x86/x64 (nasm)
13180정성태12/2/20225053.NET Framework: 2074. C# - 스택 메모리에 대한 여유 공간 확인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3179정성태12/2/20224452Windows: 216. Windows 11 - 22H2 업데이트 이후 Terminal 대신 cmd 창이 뜨는 경우
13178정성태12/1/20224979Windows: 215. Win32 API 금지된 함수 - IsBadXxxPtr 유의 함수들이 안전하지 않은 이유파일 다운로드1
13177정성태11/30/20225698오류 유형: 829. uwsgi 설치 시 fatal error: Python.h: No such file or directory
13176정성태11/29/20224608오류 유형: 828. gunicorn - ModuleNotFoundError: No module named 'flask'
13175정성태11/29/20226283오류 유형: 827. Python - ImportError: cannot import name 'html5lib' from 'pip._vendor'
13174정성태11/28/20224788.NET Framework: 2073. C# - VMMap처럼 스택 메모리의 reserve/guard/commit 상태 출력파일 다운로드1
13173정성태11/27/20225518.NET Framework: 2072. 닷넷 응용 프로그램의 스레드 스택 크기 변경
13172정성태11/25/20225296.NET Framework: 2071. 닷넷에서 ESP/RSP 레지스터 값을 구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3171정성태11/25/20224894Windows: 214. 윈도우 - 스레드 스택의 "red zone"
13170정성태11/24/20225179Windows: 213. 윈도우 - 싱글 스레드는 컨텍스트 스위칭이 없을까요?
13169정성태11/23/20225763Windows: 212. 윈도우의 Protected Process (Light) 보안 [1]파일 다운로드2
13168정성태11/22/20225081제니퍼 .NET: 31. 제니퍼 닷넷 적용 사례 (9) - DB 서비스에 부하가 걸렸다?!
13167정성태11/21/20225141.NET Framework: 2070. .NET 7 - Console.ReadKey와 리눅스의 터미널 타입
13166정성태11/20/20224891개발 환경 구성: 651. Windows 사용자 경험으로 WSL 환경에 dotnet 런타임/SDK 설치 방법
13165정성태11/18/20224790개발 환경 구성: 650. Azure - "scm" 프로세스와 엮인 서비스 모음
13164정성태11/18/20225693개발 환경 구성: 649. Azure - 비주얼 스튜디오를 이용한 AppService 원격 디버그 방법
13163정성태11/17/20225609개발 환경 구성: 648. 비주얼 스튜디오에서 안드로이드 기기 인식하는 방법
13162정성태11/15/20226660.NET Framework: 2069. .NET 7 - AOT(ahead-of-time) 컴파일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