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웹 브라우저로 다운로드가 되는 파일을 왜 C# 코드로 하면 안되는 걸까요?

다음과 같은 질문이 있군요.

파일 다운로드 방법 문의
; https://www.sysnet.pe.kr/3/0/1330

현상을 정리해 보면, 웹 브라우저로 "http://www.g2b.go.kr:8081/ep/co/fileDownload.do?fileTask=NOTIFY&fileSeq=20130700222::01::2::1" 경로의 파일을 다운로드 받으면 61KB 짜리 문서가 잘 내려받아지는 반면, 다음과 같이 코딩을 통해 다운로드를 시도해 보면,

using System;
using System.ComponentModel;

class Program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ystem.Net.WebClient webclient;
        webclient = new System.Net.WebClient();
        webclient.DownloadFileCompleted += new AsyncCompletedEventHandler(FileDownLoadCompleted);

        string sUrl = "http://www.g2b.go.kr:8081/ep/co/fileDownload.do?fileTask=NOTIFY&fileSeq=20130700222::01::2::1";
        webclient.DownloadFileAsync(new Uri(sUrl), "1.hwp");

        Console.ReadLine();
    }

    static void FileDownLoadCompleted(object sender, AsyncCompletedEventArgs e)
    {
        Console.WriteLine("Finished");
    }
}

이런 내용을 담은 1KB 짜리 오류 페이지가 다운로드됩니다.

<!DOCTYPE html PUBLIC "-//W3C//DTD XHTML 1.0 Transitional//EN" "http://www.w3.org/TR/xhtml1/DTD/xhtml1-transitional.dtd">
<html xmlns="http://www.w3.org/1999/xhtml" lang="ko" xml:lang="ko">
<head>
    <meta http-equiv="Content-Type" content="text/html; charset=euc-kr" />
            
    <script type="text/javascript" src="/gov/koneps/co/js/crossDomain.js"></script>
            
    <script type="text/javascript">
        //<![CDATA[
        function toClose(){
            try{
                toCloseExc=true;
                alert('시스템 에러 - 관리자에게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history.back(); return;
            }catch(e){
                self.close();
                return;
            }
        }
        //]]>
    </script>
</head>
<body onload="toClose();"></body>
</html>

원인이 뭘까요? ^^

이 문제는 기본적인 HTTP 프로토콜에 대한 특성을 이해하고 있다면 풀기 위한 태도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HTTP 프로토콜은 HTTP 요청과 응답으로 이뤄져 있고, 이것을 서버에서 구분할 수 있는 방법이 없습니다. 즉, IE가 보내는 요청을 프로그램에서도 동일하게 맞춰서 보내준다면 웹 서버는 그것을 IE라고 착각할 수밖에 없을 정도라는 것입니다.

즉, 이런 경우 IE에서 보내는 요청으로부터 특수한 헤더 값이 있는데 C# 코드에서는 그것을 보내주지 않기 때문에 웹 서버는 이에 대한 차별적인 대우를 하는 것으로 미뤄짐작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어떤 차별이 있는 걸까요? 이를 위해 F12 키를 눌러 (개발자 도구를 실행시켜) IE 에서 파일 다운로드를 시도할 때 네트워크 내용을 보면 됩니다.

filedownload_from_web_1.png

Request:    GET /ep/co/fileDownload.do?fileTask=NOTIFY&fileSeq=20130700222::01::2::1 HTTP/1.1
Accept: text/html, application/xhtml+xml, */*
Accept-Language:    ko-KR
User-Agent: Mozilla/5.0 (compatible; MSIE 9.0; Windows NT 6.3; WOW64; Trident/7.0)
Accept-Encoding:    gzip, deflate
Host:   www.g2b.go.kr:8081
Connection: Keep-Alive

역시 이번에도 HTTP 프로토콜을 잘 이해하고 있다면 이 중에서 어떤 헤더가 영향을 끼쳤을지 몇 개의 후보를 빠르게 짚어낼 수 있을 텐데요. 설령 모른다고 해도 하나씩 시도해 보면 알 수 있습니다.

그리곤 결국에는 User-Agent를 맞춰주었을 때 www.g2b.go.kr 웹 서버 측에서 제대로 반응해 준다는 것을 알게 될 것입니다.

System.Net.WebClient webclient;
webclient = new System.Net.WebClient();

webclient.Headers.Add("User-Agent", "Mozilla/5.0 (compatible; MSIE 9.0; Windows NT 6.3; WOW64; Trident/7.0)");

webclient.DownloadFileCompleted += new AsyncCompletedEventHandler(FileDownLoadCompleted);

string sUrl = "...[생략]...";

webclient.DownloadFileAsync(...[생략]...);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6/27/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16-10-13 08시02분
[김상구] 감사합니다
[guest]

...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
NoWriterDateCnt.TitleFile(s)
483정성태3/17/200740854오류 유형: 30. x64 환경: .NET + COM 프로젝트 실행 시 오류 - 80040154 [2]
482정성태3/17/200730330Team Foundation Server: 17. 팀 프로젝트 접속 및 사용
481정성태3/17/200724260Team Foundation Server: 16. 팀 프로젝트 읽기 전용 사용자 등록
480정성태3/14/200722353.NET Framework: 86. GC(Garbage Collector)의 변화
479정성태3/14/200726367개발 환경 구성: 25. D820 - ReadyBoost 구동
478정성태3/14/200725707개발 환경 구성: 24. D820 고주파음 문제
477정성태3/14/200735014개발 환경 구성: 23. 비스타 x64 버전에서 서명되지 않은 드라이버 사용 [4]
476정성태3/9/200730389개발 환경 구성: 22. D820 노트북 - 설치 및 BitLocker 구성 [1]
475정성태3/6/200724799.NET Framework: 85. 공용 프로퍼티 자동 생성
474정성태3/5/200722981.NET Framework: 84. Lambda 표현식 응용 사례 [1]
473정성태3/4/200730115디버깅 기술: 14. TFS 오류 추적(TF53010, TF14105)
472정성태3/3/200729219디버깅 기술: 13. 예외 발생 시 Minidump 생성 - WinDBG [3]파일 다운로드1
471정성태3/1/200718393디버깅 기술: 12. Managed Method에 Break Point 걸기
469정성태2/28/200729943디버깅 기술: 11. (Managed) Main Method에 Break Point 걸기 [3]파일 다운로드1
470정성태3/1/200721315    답변글 디버깅 기술: 11.1. (Managed) Main Method에 Break Point 걸기 - 내용 보강
468정성태2/25/200731183COM 개체 관련: 20. 탭 브라우저의 윈도우 핸들 구하기 [3]
466정성태2/22/200722878Windows: 23. 롱혼 서버 코어 버전 [2]
465정성태2/21/200721853오류 유형: 29. TFS 관련 스케줄 작업 실패
464정성태2/25/200723040오류 유형: 28. TF10217, TF53010, TF14105 오류
463정성태2/21/200716070Team Foundation Server: 15. 포탈 사이트의 보고서 주소를 도메인 명으로 적용
462정성태2/13/200743370.NET Framework: 83. 라이브러리에 다국어 리소스 추가 방법 [4]파일 다운로드1
461정성태2/13/200721080오류 유형: 27. DLinq 예제 오류 : error: 26 - Error Locating Server/Instance Specified
460정성태2/13/200721286.NET Framework: 82. Orcas 1월 CTP에서 Linq 소스 컴파일 방법
459정성태2/17/200725299오류 유형: 26. "Automatic Updates" 서비스 CPU 100% 점유 현상 - 두 번째 이야기 [3]
458정성태2/12/200721752.NET Framework: 81. LINQ 개발 환경 설정 [1]
457정성태2/8/200726229.NET Framework: 80. LINQ 관련 용어 정리 및 리소스 소개 [2]
...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