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The application-specific permission settings do not grant Local Activation permission for the COM Server application with CLSID

아래와 같은 이벤트 로그가 있습니다.

Log Name:      System
Source:        Microsoft-Windows-DistributedCOM
Date:          2014-10-12 오후 2:23:48
Event ID:      10016
Task Category: None
Level:         Error
Keywords:      Classic
User:          SYSTEM
Computer:      testdc.testad.com
Description:
The application-specific permission settings do not grant Local Activation permission for the COM Server application with CLSID 
{D63B10C5-BB46-4990-A94F-E40B9D520160}
 and APPID 
{9CA88EE3-ACB7-47C8-AFC4-AB702511C276}
 to the user NT AUTHORITY\SYSTEM SID (S-1-5-18) from address LocalHost (Using LRPC) running in the application container Unavailable SID (Unavailable). This security permission can be modified using the Component Services administrative tool.

"{D63B10C5-BB46-4990-A94F-E40B9D520160}"를 레지스트리의 HKCR\CLSID 경로에서 찾아보면 "RuntimeBroker"임을 알 수 있는데요. 그래서 "Component Services" 관리 콘솔에 가봤는데 다음과 같이 "Launch and Activation Permissions" 설정이 비활성화 상태여서 수정할 수가 없었습니다.

dcom_runtime_broker_disabled_security_1.png

어쩔 수 없습니다. 이 오류를 해결하려면 레지스트리 경로에서 보안 권한을 넣어주어야 합니다. 이에 대해서는 저번에도 한번 설명드렸죠? ^^

Microsoft-Windows-DistributedCOM 10016 이벤트 로그 에러
; https://www.sysnet.pe.kr/2/0/1646

그래서 각각 다음의 키에 대해,

HKEY_CLASSES_ROOT\CLSID\{D63B10C5-BB46-4990-A94F-E40B9D520160}
HKEY_CLASSES_ROOT\AppID\{9CA88EE3-ACB7-47c8-AFC4-AB702511C276}

레지스트리에 편집 권한을 주고 다시 관리 콘솔에 가면 해당 항목들을 편집할 수 있게 됩니다. 단지 이번에는 "Launch and Activation Permissions"에 주어야 하는 사용자가 "NT AUTHORITY\SYSTEM SID (S-1-5-18)"로 나오는데요. SID를 딱 보니 낯이 익습니다. ^^

Windows 운영 체제에서 잘 알려진 보안 식별자
; http://support.microsoft.com/kb/243330/en-us

SID: S-1-5-18
 Name: Local System
 Description: A service account that is used by the operating system.

따라서, Local System 계정에 대해 "RuntimeBroker"의 "Launch and Activation Permissions" 권한을 주어야 합니다.

(아래의 그림에서는 "ALL APPLICATION PACKAGES"가 선택되어 있는데 잘못 캡쳐된 것입니다. SYSTEM이 선택되어야 하고 "Local Launch"와 "Local Activation"에 각각 "Allow" 설정을 해야 합니다.)
dcom_runtime_broker_disabled_security_2.png




그런데, 아쉽게도 위와 같이 에러를 수정했지만 연이어 다음과 같은 오류가 찍히는데요.

Log Name:      System
Source:        Microsoft-Windows-DistributedCOM
Date:          2014-10-12 오후 4:36:26
Event ID:      10010
Task Category: None
Level:         Error
Keywords:      Classic
User:          TESTAD\TestUser
Computer:      testdc.testad.com
Description:
The server {9BA05972-F6A8-11CF-A442-00A0C90A8F39} did not register with DCOM within the required timeout.

{9BA05972-F6A8-11CF-A442-00A0C90A8F39} 값은 "ShellWindows"에 해당하는데... 음... 뭘 어떻게 고쳐줘야 하는지 모르겠군요. 혹시 이에 대해 아시는 분은 덧글 부탁드립니다. ^^ 오늘은 여기까지만!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0/16/2014]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374정성태11/27/201728365사물인터넷: 14. 라즈베리 파이 - (윈도우의 NT 서비스처럼) 부팅 시 시작하는 프로그램 설정 [1]
11373정성태11/27/201727597오류 유형: 433. Raspberry Pi/Windows 다중 플랫폼 지원 컴파일 관련 오류 기록
11372정성태11/25/201729574사물인터넷: 13. 윈도우즈 사용자를 위한 라즈베리 파이 제로 W 모델을 설정하는 방법 [4]
11371정성태11/25/201723305오류 유형: 432. Hyper-V 가상 스위치 생성 시 Failed to connect Ethernet switch port 0x80070002 오류 발생
11370정성태11/25/201723993오류 유형: 431. Hyper-V의 Virtual Switch 생성 시 "External network" 목록에 특정 네트워크 어댑터 항목이 없는 경우
11369정성태11/25/201725326사물인터넷: 12. Raspberry Pi Zero(OTG)를 다른 컴퓨터에 연결해 가상 키보드 및 마우스로 쓰는 방법 (절대 좌표, 상대 좌표, 휠) [1]
11368정성태11/25/201730106.NET Framework: 699. UDP 브로드캐스트 주소 255.255.255.255와 192.168.0.255의 차이점과 이를 고려한 C# UDP 서버/클라이언트 예제 [2]파일 다운로드1
11367정성태11/25/201731161개발 환경 구성: 337. 윈도우 운영체제의 route 명령어 사용법
11366정성태11/25/201723343오류 유형: 430. 이벤트 로그 - Cryptographic Services failed while processing the OnIdentity() call in the System Writer Object.
11365정성태11/25/201723738오류 유형: 429. 이벤트 로그 - User Policy could not be updated successfully
11364정성태11/24/201727765사물인터넷: 11. Raspberry Pi Zero(OTG)를 다른 컴퓨터에 연결해 가상 마우스로 쓰는 방법 (절대 좌표) [2]
11363정성태11/23/201727957사물인터넷: 10. Raspberry Pi Zero(OTG)를 다른 컴퓨터에 연결해 가상 마우스 + 키보드로 쓰는 방법 (두 번째 이야기)
11362정성태11/22/201722492오류 유형: 428. 윈도우 업데이트 KB4048953 - 0x800705b4 [2]
11361정성태11/22/201725494오류 유형: 427. 이벤트 로그 - Filter Manager failed to attach to volume '\Device\HarddiskVolume??' 0xC03A001C
11360정성태11/22/201726757오류 유형: 426. 이벤트 로그 - The kernel power manager has initiated a shutdown transition.
11359정성태11/16/201725505오류 유형: 425. 윈도우 10 Version 1709 (OS Build 16299.64) 업그레이드 시 발생한 문제 2가지
11358정성태11/15/201731332사물인터넷: 9. Visual Studio 2017에서 Raspberry Pi C++ 응용 프로그램 제작 [1]
11357정성태11/15/201731672개발 환경 구성: 336. 윈도우 10 Bash 쉘에서 C++ 컴파일하는 방법
11356정성태11/15/201733438사물인터넷: 8. Raspberry Pi Zero(OTG)를 다른 컴퓨터에 연결해 가상 마우스 + 키보드로 쓰는 방법 [4]
11355정성태11/15/201727326사물인터넷: 7. Raspberry Pi Zero(OTG)를 다른 컴퓨터에 연결해 가상 마우스로 쓰는 방법 [2]파일 다운로드2
11354정성태11/14/201733188사물인터넷: 6. Raspberry Pi Zero(OTG)를 다른 컴퓨터에 연결해 가상 키보드로 쓰는 방법 [8]
11353정성태11/14/201729698사물인터넷: 5. Raspberry Pi Zero(OTG)를 다른 컴퓨터에 연결해 가상 이더넷 카드로 쓰는 방법 [1]
11352정성태11/14/201726606사물인터넷: 4. Samba를 이용해 윈도우와 Raspberry Pi간의 파일 교환 [1]
11351정성태11/7/201728702.NET Framework: 698. C# 컴파일러 대신 직접 구현하는 비동기(async/await) 코드 [6]파일 다운로드1
11350정성태11/1/201725173디버깅 기술: 108. windbg 분석 사례 - Redis 서버로의 호출을 기다리면서 hang 현상 발생
11349정성태10/31/201725977디버깅 기술: 107. windbg - x64 SOS 확장의 !clrstack 명령어가 출력하는 Child SP 값의 의미 [1]파일 다운로드1
...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