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COM 프로그래밍에서 HRESULT 타입의 S_FALSE는 실패일까요? 성공일까요?

결론부터 말하면 HRESULT 타입의 S_FALSE 반환값은 성공에 해당합니다. 확인을 위해 다음과 같이 간단하게 코드를 작성할 수 있습니다.

#include "stdafx.h"

int _tmain(int argc, _TCHAR* argv[])
{
    HRESULT hr = S_FALSE;

    printf("SUCCEEDED == %d\n", SUCCEEDED(hr)); // 출력값: 1
    return 0;
}

SUCCEEDED 매크로의 정의를 보면 확실히 알 수 있는데요.

#define SUCCEEDED(hr) (((HRESULT)(hr)) >= 0)

0 이상의 값이면 True라는 의미인데,

#define S_OK 0x0
#define S_FALSE 0x1

과 같은 식으로 값이 할당되어 있기 때문에 S_OK와 S_FALSE는 모두 SUCCEEDED 매크로에 대해 True 값을 반환하게 됩니다. 실제로 이에 대해 마이크로소프트 측의 공식 문서에서도 언급하고 있습니다.

Error Handling in COM
; https://docs.microsoft.com/en-us/windows/win32/learnwin32/error-handling-in-com

그럼 의문을 가질 수 있는 부분이 있는데, 그렇다면 실패한 경우의 일반적인 값으로 S_FALSE 대신 어떤 것을 반환해야 할 것인가? 하는 문제가 남습니다. 그럴 때는 E_FAIL 같은 값을 사용하면 됩니다.

#define E_FAIL 0x80004005

0x8...로 시작하기 때문에 최상위 비트가 1이고 이 때문에 HRESULT 타입에서는 음수값으로 표현됩니다.

처음에는 저도 이런 정책에 대해 이해를 할 수 없었는데 "Error Handling in COM" 문서의 다음 글을 읽고 그나마 수긍하게 되었습니다.

For example, the CoInitializeEx function returns S_FALSE if you call it a second time from the same thread.




사실, 이게 문제가 되는 경우가 있었는데요.

ICorProfilerInfo *ptr = ...;

IUnknown *pOut = nullptr;
HRESULT hr = ptr->GetModuleMetaData(moduleId, ..., &pOut);
if (FAILED(hr) == TRUE)
{
    return;
}

// 이하, GetModuleMetaData 호출이 성공했으므로 pOut 인터페이스 사용하는 코드 작성

저렇게 작성한 코드에서 간혹 가다가 프로세스 비정상 종료 현상이 발생한 것입니다. (현실적으로, 그 많은 코드 중에 잘 실행되지도 않던 저 부분에 문제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되기까지는 제법 시간이 걸렸습니다. ^^;)

알고 보니, 가끔씩 S_FALSE 값이 반환되는 경우가 있었고 그럴 때 pOut은 nullptr 였는데 이 상태에서 사용을 하다 보니 비정상 종료가 발생한 것입니다. 그런데 왜? S_FALSE 값을 반환했느냐가 궁금해졌는데, 문서를 찾아보니 해답이 나왔습니다.

ICorProfilerInfo::GetModuleMetaData Method
; https://docs.microsoft.com/en-us/dotnet/framework/unmanaged-api/profiling/icorprofilerinfo-getmodulemetadata-method

Some modules (such as resource modules) have no metadata. In those cases, GetModuleMetaData will return an HRESULT value of S_FALSE, and a null in *ppOut.


즉, 전달된 .NET 모듈 식별자(moduleId)가 메타데이터를 가지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S_FALSE를 반환한 것입니다. 일면 이해가 됩니다. 닷넷의 경우 사용자가 만든 대부분의 모듈은 메타데이터를 가지고 있지만, 간혹 마이크로소프트가 만든 것은 다중 모듈로 분리된 어셈블리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이런 경우가 발생합니다. (결국 그런 상황이 겹쳐서 프로세스 비정상 종료가 일정한 규칙을 갖지 않고 발생하게 된 원인이 되어 더욱 문제 해결에 애를 먹었습니다.)

휴~~~ 암튼, 이래서 문서를 꼭 봐야 한다는!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7/17/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15-01-27 01시42분
[hhyyaa] hr == S_OK 가 아니라... SUCCEEDED(hr)를 써야할 이유가 있었군요. ㅡㅡ; S_FALSE도 성공이었다니...
[guest]
2016-04-23 07시23분
[테엘] Error Handling in COM 문서에서 Community Additions(kittoinc)이 더 황당함. 위에서 그렇게 resource에 관한 rule들을 언급했는데도 저런 딴지를 걸다니... 저런 식으로 return하면 동일한 resource 해제문이 점점 늘어난다는 생각은 안하나봐요!
[guest]

...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023정성태4/20/201130084.NET Framework: 210. Windbg 환경에서 확인해 본 .NET 메서드 JIT 컴파일 전과 후 [1]
1022정성태4/19/201125637디버깅 기술: 38. .NET Disassembly 창에서의 F11(Step-into) 키 동작파일 다운로드1
1021정성태4/18/201127964디버깅 기술: 37. .NET 4.0 응용 프로그램의 Main 함수에 BreakPoint 걸기
1020정성태4/18/201128602오류 유형: 117. Failed to find runtime DLL (mscorwks.dll), 0x80004005
1019정성태4/17/201129250디버깅 기술: 36. Visual Studio의 .NET Disassembly 창의 call 호출에 사용되는 주소의 의미는? [1]파일 다운로드1
1018정성태4/16/201132898오류 유형: 116. 윈도우 업데이트 오류 - 0x8020000E
1017정성태4/14/201127685개발 환경 구성: 115. MSBuild - x86/x64, .NET 2/4, debug/release 빌드에 대한 배치 처리파일 다운로드1
1016정성태4/13/201143715개발 환경 구성: 114. Windows Thin PC 설치 [2]
1015정성태4/9/201129082.NET Framework: 209. AutoReset, ManualReset, Monitor.Wait의 차이파일 다운로드1
1014정성태4/7/2011106492오류 유형: 115. ORA-12516: TNS:listener could not find available handler with matching protocol stack [2]
1013정성태4/7/201124287Team Foundation Server: 45. SharePoint 2010 + TFS 2010 환경에서 ProcessGuidance.html 파일 다운로드 문제
1012정성태4/6/201133025.NET Framework: 208. WCF - 접속된 클라이언트의 IP 주소 알아내는 방법 [1]
1011정성태3/31/201135434오류 유형: 114. 인증서 갱신 오류 - The request contains no certificate template information.
1010정성태3/30/201126186개발 환경 구성: 113. 응용 프로그램 디자인 스케치 도구 - SketchFlow [4]
1009정성태3/29/201138543개발 환경 구성: 112. Visual Studio 2010 - .NET Framework 소스 코드 디버깅 [4]
1008정성태3/27/201130910.NET Framework: 207. C# - Right operand가 음수인 Shift 연산 결과 [2]
1007정성태3/16/201131723개발 환경 구성: 111. Excel - XML 파일 연동 [5]파일 다운로드1
1006정성태3/15/201125518.NET Framework: 206. XML/XSD - 외래키처럼 참조 제한 거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005정성태3/11/201135324개발 환경 구성: 110. 엑셀 매크로 함수 관련 오류 [2]
1004정성태3/3/201124498개발 환경 구성: 109. SharePoint Health Analyzer 디스크 부족 경고 제어
1003정성태3/3/201125515오류 유형: 113. SQL Server - DB Attach 시 Parameter name: nColIndex 오류 발생
1002정성태3/2/201123900Team Foundation Server: 44. TFS 설치 후, Team Portal의 Dashboard를 빠르게 확인하는 방법
1001정성태3/2/201127951Team Foundation Server: 43. TFS 2010 + SharePoint 2010 설치
1000정성태3/1/201132920오류 유형: 112. Remote FX RDP 연결 시 오류 유형 2가지 [5]
999정성태2/28/201146470개발 환경 구성: 108. RemoteFX - Windows 7 가상 머신에서 DirectX 9c 환경을 제공 [5]
998정성태2/27/201120175Team Foundation Server: 42. TFS Application-Tier만 재설치
...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