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Microsoft Office 365 Enterprise E3" 서비스에 대한 간략 소개

마이크로소프트 MVP 혜택으로 오피스 365 E3 서비스가 추가되었다는 반가운 소식이 있습니다. ^^ 그래서 저도 한번 사용해보았는데요.

Microsoft Office 365 Enterprise E3 benefit offering
; https://portal.office.com/

"Enterprise E3" 서비스는 개인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 아닌, 중소기업용 서비스이므로 서비스 가입을 윈도우 라이브 계정으로 하지 못하고, "onmicrosoft.com" 도메인의 앞단에 회사를 위한 접두사를 추가해서 새롭게 계정을 만들게 됩니다.

가령, 제가 다니는 회사가 jennifersoft이기 때문에 "jennifersoft.onmicrosoft.com"으로 도메인 영역을 결정하고 아이디를 추가하면 됩니다. 아쉽게도 제가 회사를 대표할 수는 없기 때문에 별도로 techon이라는 접두사로 "kevin13@techon.onmicrosoft.com"라는 E3 서비스 용 계정을 만들었습니다.

E3 서비스는 Office 365의 Business 용 서비스 중에서 가장 가격이 비싼 월 $20입니다.

Compare Office 365 for business plans
; http://office.microsoft.com/en-001/business/compare-all-office-365-for-business-plans-FX104051403.aspx

서비스 종류는 대충 다음과 같습니다.

  • 최대 5대의 PC(또는 Mac)에 설치 가능한 Word, Excel, PowerPoint, Outlook, Publisher, OneNote, Access 응용 프로그램 라이선스
  • 온라인 Word, Excel, PowerPoint 문서 편집 및 뷰어
  • 1TB 용량의 OneDrive
  • (받은 편지함) 50GB 용량의 전자메일, 일정, 연락처 서비스
  • Lync 2013 응용 프로그램을 통한 무제한 HD급 화상 서비스

설명이 복잡한데, 그냥 로그인 하면 다음과 같은 메인 화면이 뜹니다.

office365_1.png

보시는 바와 같이, 오피스 365 E3 서비스를 가입하면 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 제품(워드, 엑셀, 파워포인트, 아웃룩, 원노트)이 기본적으로 따라옵니다. 또한, 위의 화면 하단에 나열된 "Office Online(으)로 공동 작업"을 이용해 웹 브라우저 기반의 기본적인 오피스 문서 서비스를 받을 수 있습니다.

한마디로, "Office 365 E3 = (On/Off-Line) * (Office + Exchange Server + Lync Server + SharePoint)"라고 보시면 됩니다.


사실, 이 중에서 역시 가장 중요한 것은 PC에 설치 가능한 오피스 제품의 라이선스일텐데요. "Office 365 Business" 제품의 경우 월 $8.25로 저렴하니 물리적인 서버 비용 및 호스팅 비용, 그에 따른 관리 인원 유지 비용을 고려한다면 중소기업에서 쓰기로는 나쁘지 않은 선택입니다.

아직 그리 오래 써 본 것은 아니지만, 통합 서비스가 가진 매력이 있는 것 같습니다. 뭔가, 조직적인 통합이 이뤄져서 사용자 경험이 모아진다는 느낌이 듭니다. 그동안 "오피스 365"가 도대체 어떤 서비스인지 나름 궁금하긴 했는데... 역시 이렇게 한번 사용해 보니, 한방에 정리가 되는군요. ^^




자사의 도메인 명이 있다면 "onmicrosoft.com" 대신 설정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제 경우에 "sysnet.pe.kr" 도메인을 쓰고 싶은데요. 그럴려면 "https://portal.office.com" 사이트에 로그인 한 후 "관리자" / "Office 365" 메뉴를 선택, 좌측의 "Office 365 관리 센터" 메뉴에서 "도메인"을 선택해 자신이 소유한 도메인을 추가로 입력해서 구성하면 됩니다.

이럴려면 도메인 서비스를 받고 있는 업체의 홈페이지에 몇 가지 설정해야 하는 것이 있습니다. 저는 "www.gabia.com"에서 "sysnet.pe.kr" 도메인을 관리하고 있는데 그곳에 몇 가지 MX 레코드와 CNAME, SPF 레코드를 등록하는 것으로 "onmicrosoft.com"를 "sysnet.pe.kr"로 바꿨습니다.

MX 레코드
    ms90385586.msv1.invalid.outlook.com.
    sysnet-pe-kr.mail.protection.outlook.com.

CNAME 레코드
    autodiscover  ==    autodiscover.outlook.com.
    lyncdiscover  ==    webdir.online.lync.com.
    msoid         ==    clientconfig.microsoftonline-p.net.
    sip           ==    sipdir.online.lync.com.

SPF 레코드
    v=spf1 include:spf.protection.outlook.com -all
    v=spf1 include:sysnet.pe.kr ~all

아쉬운 점이 있다면, "Lync 서비스"의 경우 "SRV 레코드"에 대한 추가도 해야 하는데,

SRV 레코드

서비스: _sip 
프로토콜: _tls
포트: 443
가중치: 1
우선 순위: 100
TTL: 1시간


서비스: _sipfederationtls 
프로토콜: _tcp
포트: 5061
가중치: 1
우선 순위: 100
TTL: 1시간

가비아 측에서 SRV 유형의 레코드를 등록하는 기능을 제공하지 않고 있습니다. 대신 "DNSEver"와 같은 서비스에서는 SRV 레코드 등록도 지원하므로 "Lync 서비스"에 대한 도메인 명도 변경하고 싶다면 네임서버 변경을 감수해야 합니다.

어쨌든, (Lync 서비스는 넘어가고) 이런 식으로 도메인 명을 바꿔주면 사용자가 https://portal.office.com/ 포탈 사이트에 로그인하는 계정까지도 변경된 도메인을 따를 수 있습니다.




요즘 같은 시대에 ^^ 모바일 지원은 필수인데요. 안드로이드의 경우, 다음의 앱들을 통해 오피스 365 서비스에 연결할 수 있습니다.

  • Office Mobile - OneDrive, SharePoint 사이트 및 오피스 웹 문서 접근
  • OneNote - 원노트 문서 접근
  • OWA for Android - 그외, 메일, 일정, 연락처 접근
  • Lync 2013 - 화상 회의, 음성/비디오 통신, 메신저

그냥 "Mobile for Office 365"라고 통합 앱을 하나 제공해 주면 좋겠는데... 저 많은 기능을 단일 앱에 넣는 것도 어찌 보면 인터페이스가 복잡해져서 불편하겠다는 생각이 들어 한편 이해가 됩니다. ^^




참고로, 최근에 OneDrive에서 1TB 용량의 공간을 주겠다고 해서 이슈가 되었었죠.

Microsoft Office 365 Now Offers Unlimited Cloud Storage
; http://mashable.com/2014/10/27/office-365-cloud-storage/?utm_campaign=Mash-Prod-RSS-Feedburner-All-Partial&utm_cid=Mash-Prod-RSS-Feedburner-All-Partial&utm_medium=feed&utm_source=feedly&utm_reader=feedly

이 혜택에 해당하는 것은 "Office 365" 서비스의 Home, Personal, University 버전입니다. 즉 Enterprise 버전은 제외입니다. 하지만... 괜찮습니다. ^^ 이미 Enterprise 버전에서는 1TB를 기본적으로 제공하기 때문입니다.

마지막으로 오피스 365의 Home, Personal, University 버전에 대한 가격은 다음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Office 365 
; http://office.microsoft.com/ko-kr/store/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7/10/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917정성태4/30/202558VS.NET IDE: 199. Directory.Build.props에 정의한 속성에 대해 Condition 제약으로 값을 변경하는 방법
13916정성태4/23/2025454디버깅 기술: 221. WinDbg 분석 사례 - ASP.NET HttpCookieCollection을 다중 스레드에서 사용할 경우 무한 루프 현상 - 두 번째 이야기
13915정성태4/13/20251672닷넷: 2331. C# - 실행 시에 메서드 가로채기 (.NET 9)파일 다운로드1
13914정성태4/11/20251987디버깅 기술: 220. windbg 분석 사례 - x86 ASP.NET 웹 응용 프로그램의 CPU 100% 현상 (4)
13913정성태4/10/20251211오류 유형: 950. Process Explorer - 64비트 윈도우에서 32비트 프로세스의 덤프를 뜰 때 "Error writing dump file: Access is denied." 오류
13912정성태4/9/2025870닷넷: 2330. C# - 실행 시에 메서드 가로채기 (.NET 5 ~ .NET 8)파일 다운로드1
13911정성태4/8/20251105오류 유형: 949. WinDbg - .NET Core/5+ 응용 프로그램 디버깅 시 sos 확장을 자동으로 로드하지 못하는 문제
13910정성태4/8/20251264디버깅 기술: 219. WinDbg - 명령어 내에서 환경 변수 사용법
13909정성태4/7/20251757닷넷: 2329. C# - 실행 시에 메서드 가로채기 (.NET Framework 4.8)파일 다운로드1
13908정성태4/2/20252171닷넷: 2328. C# - MailKit: SMTP, POP3, IMAP 지원 라이브러리
13907정성태3/29/20251981VS.NET IDE: 198. (OneDrive, Dropbox 등의 공유 디렉터리에 있는) C# 프로젝트의 출력 경로 변경하기
13906정성태3/27/20252246닷넷: 2327. C# - 초기화되지 않은 메모리에 접근하는 버그?파일 다운로드1
13905정성태3/26/20252279Windows: 281. C++ - Windows / Critical Section의 안정화를 위해 도입된 "Keyed Event"파일 다운로드1
13904정성태3/25/20251912디버깅 기술: 218. Windbg로 살펴보는 Win32 Critical Section파일 다운로드1
13903정성태3/24/20251535VS.NET IDE: 197. (OneDrive, Dropbox 등의 공유 디렉터리에 있는) C++ 프로젝트의 출력 경로 변경하기
13902정성태3/24/20251742개발 환경 구성: 742. Oracle - 테스트용 hr 계정 및 데이터 생성파일 다운로드1
13901정성태3/9/20252127Windows: 280. Hyper-V의 3가지 Thread Scheduler (Classic, Core, Root)
13900정성태3/8/20252357스크립트: 72. 파이썬 - SQLAlchemy + oracledb 연동
13899정성태3/7/20251821스크립트: 71. 파이썬 - asyncio의 ContextVar 전달
13898정성태3/5/20252154오류 유형: 948. Visual Studio - Proxy Authentication Required: dotnetfeed.blob.core.windows.net
13897정성태3/5/20252379닷넷: 2326. C# - PowerShell과 연동하는 방법 (두 번째 이야기)파일 다운로드1
13896정성태3/5/20252203Windows: 279. Hyper-V Manager - VM 목록의 CPU Usage 항목이 항상 0%로 나오는 문제
13895정성태3/4/20252234Linux: 117. eBPF / bpf2go - Map에 추가된 요소의 개수를 확인하는 방법
13894정성태2/28/20252283Linux: 116. eBPF / bpf2go - BTF Style Maps 정의 구문과 데이터 정렬 문제
13893정성태2/27/20252225Linux: 115. eBPF (bpf2go) - ARRAY / HASH map 기본 사용법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