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오류 유형: 260. 이벤트 로그 - Windows Error Reporting / AEAPPINVW8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26284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이벤트 로그 - Windows Error Reporting / AEAPPINVW8

이벤트 로그에 다음과 같은 항목이 남고 있습니다.

Log Name:      Application
Source:        Windows Error Reporting
Date:          2014-11-03 오후 4:37:18
Event ID:      1001
Task Category: None
Level:         Information
Keywords:      Classic
User:          N/A
Computer:      win2012rp.testad.com
Description:
Fault bucket -687131382, type 5
Event Name: AEAPPINVW8
Response: Not available
Cab Id: 0

Problem signature:
P1: 8
P2: 2
P3: 6.3.0.0
P4: 1042
P5: 9
P6: 
P7: 
P8: 
P9: 
P10: 

Attached files:

These files may be available here:


Analysis symbol: 
Rechecking for solution: 0
Report Id: 3c5355ef-632c-11e4-bc5a-00155d805a04
Report Status: 0
Hashed bucket: 40c9026954fc4bed3500e8f09e3c34df

프로세스 명이 없기 때문에 WER에서 제거하는 방법으로는 이 항목이 안 뜨도록 만들수 없습니다.

검색해 보니, 다음의 글이 나오는데요.

Strange Fault Bucket in Windows Event Viewer 
; http://www.eightforums.com/general-support/39650-strange-fault-bucket-windows-event-viewer.html

해당 이벤트 로그와 관련된 것이 제어판 / "관리 도구" / "Task Scheduler"의 "Microsoft" / "Windows" / "Application Experience" 범주의 "StartupAppTask"라고 합니다.

따라서, 그 작업을 "Disabled"로 두면 이 문제는 해결될 거라고 하는데요. 그런데, 현재 그 항목은 "Running"으로 뜨고 있습니다. 좀 더 검색해 보니,

Maintenance in windows 8 gets always delayed 
; http://answers.microsoft.com/en-us/windows/forum/windows_8-performance/maintenance-in-windows-8-gets-always-delayed/2f1fde0f-3057-496f-a8ed-44b145d719b1

StartupAppTask가 Running 중이므로 시스템의 "Maintenance" 역시 진행 중으로 표시된다고 합니다.

maintenance_1.png

실제로, 제가 거의 12시간 넘게 기다려봤는데 "StartupAppTask"는 여전히 Running이었고 "Maintenance" 작업도 진행중(in progress)이었습니다.

혹시나 싶어, 작업 관리자에서 "StartupAppTask"에 해당하는 rundll32.exe를 강제 종료해봤는데 그 순간 "Maintenance" 작업도 끝이 났습니다. 당연히 StartupAppTask의 "Last Run Result" 항목은 오류 코드가 담겨 있는데, 수동으로 다시 "Run"을 시키니 정상적으로 "0x0" 코드를 반환하며 종료했습니다.

아하~~~ 그렇다면 "Maintenance in windows 8 gets always delayed" 글에서 제시한 해답을 써도 될 듯 합니다. StartupAppTask를 비활성화시키지는 말고, 1분 이상 실행 중이면 종료되도록 설정해 두는 것으로 마무리 지었습니다.

maintenance_2.png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7/10/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557정성태3/10/202119990Windows: 191. 탐색기의 보안 탭에 있는 "Object name" 경로에 LEFT-TO-RIGHT EMBEDDING 제어 문자가 포함되는 문제
12556정성태3/9/202116839오류 유형: 703. PowerShell ISE의 Debug / Toggle Breakpoint 메뉴가 비활성 상태인 경우
12555정성태3/8/202121601Windows: 190. C# - 레지스트리에 등록된 DigitalProductId로부터 라이선스 키(Product Key)를 알아내는 방법파일 다운로드2
12554정성태3/8/202120784.NET Framework: 1027. 닷넷 응용 프로그램을 위한 PDB 옵션 - full, pdbonly, portable, embedded
12553정성태3/5/202119128개발 환경 구성: 548. 기존 .NET Framework 프로젝트를 .NET Core/5+ 용으로 변환해 주는 upgrade-assistant, try-convert 도구 소개 [4]
12552정성태3/5/202119468개발 환경 구성: 547. github workflow/actions에서 Visual Studio Marketplace 패키지 등록하는 방법
12551정성태3/5/202118457오류 유형: 702. 비주얼 스튜디오 - The 'CascadePackage' package did not load correctly. (2)
12550정성태3/5/202118247오류 유형: 701. Live Share 1.0.3713.0 버전을 1.0.3884.0으로 업데이트 이후 ContactServiceModelPackage 오류 발생하는 문제
12549정성태3/4/202119973오류 유형: 700. VsixPublisher를 이용한 등록 시 다양한 오류 유형 해결책
12548정성태3/4/202121189개발 환경 구성: 546. github workflow/actions에서 nuget 패키지 등록하는 방법
12547정성태3/3/202121661오류 유형: 699. 비주얼 스튜디오 - The 'CascadePackage' package did not load correctly.
12546정성태3/3/202122102개발 환경 구성: 545. github workflow/actions에서 빌드시 snk 파일 다루는 방법 - Encrypted secrets
12545정성태3/2/202124577.NET Framework: 1026. 닷넷 5에 추가된 POH (Pinned Object Heap) [10]
12544정성태2/26/202125194.NET Framework: 1025. C# - Control의 Invalidate, Update, Refresh 차이점 [2]
12543정성태2/26/202122067VS.NET IDE: 158. C# - 디자인 타임(design-time)과 런타임(runtime)의 코드 실행 구분
12542정성태2/20/202123787개발 환경 구성: 544. github repo의 Release 활성화 및 Actions를 이용한 자동화 방법 [1]
12541정성태2/18/202121778개발 환경 구성: 543. 애저듣보잡 - Github Workflow/Actions 소개
12540정성태2/17/202123494.NET Framework: 1024. C# - Win32 API에 대한 P/Invoke를 대신하는 Microsoft.Windows.CsWin32 패키지
12539정성태2/16/202123052Windows: 189. WM_TIMER의 동작 방식 개요파일 다운로드1
12538정성태2/15/202123882.NET Framework: 1023. C# - GC 힙이 아닌 Native 힙에 인스턴스 생성 - 0SuperComicLib.LowLevel 라이브러리 소개 [2]
12537정성태2/11/202122521.NET Framework: 1022. UI 요소의 접근은 반드시 그 UI를 만든 스레드에서! - 두 번째 이야기 [2]
12536정성태2/9/202121670개발 환경 구성: 542. BDP(Bandwidth-delay product)와 TCP Receive Window
12535정성태2/9/202121198개발 환경 구성: 541. Wireshark로 확인하는 LSO(Large Send Offload), RSC(Receive Segment Coalescing) 옵션
12534정성태2/8/202122212개발 환경 구성: 540. Wireshark + C/C++로 확인하는 TCP 연결에서의 closesocket 동작 [1]파일 다운로드1
12533정성태2/8/202119709개발 환경 구성: 539. Wireshark + C/C++로 확인하는 TCP 연결에서의 shutdown 동작파일 다운로드1
12532정성태2/6/202122339개발 환경 구성: 538. Wireshark + C#으로 확인하는 ReceiveBufferSize(SO_RCVBUF), SendBufferSize(SO_SNDBUF) [3]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