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4개 있습니다.)

Build Events에 robocopy 작업이 있는 경우 "VCEnd exited with code 3" 오류 발생

예를 들어, Visual C++ 프로젝트의 Post-Build Event에 다음과 같은 복사 명령어를 연결한 경우,

robocopy $(OutputPath) \\192.168.10.5\temp

이런 에러가 발생하면서 빌드 실패를 알립니다.

Error   1   error MSB3073: The command "robocopy E:\temp\x64\Debug\ \\192.168.10.5\temp

:VCEnd" exited with code 3. C:\Program Files (x86)\MSBuild\Microsoft.Cpp\v4.0\V120\Microsoft.CppCommon.targets

검색해 보면,

Post-Build Event VS 2010 “Fails”, but really doesn't
; http://stackoverflow.com/questions/11353029/post-build-event-vs-2010-fails-but-really-doesnt

robocopy의 에러 코드 반환값에 문제가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러고 보니 예전에 robocopy의 반환값을 알아봤던 것이 생각나는군요. ^^

Robocopy 오류 및 종료 코드
; https://www.sysnet.pe.kr/2/0/1187

따라서, 간단하게는 다음과 같이 강제 성공으로 알리거나,

robocopy $(OutputPath) \\192.168.10.5\temp
exit 0

조금 더 부드럽게는 상황에 맞게 반환값 처리를 하면 됩니다.

robocopy $(OutputPath) \\192.168.10.5\temp
if %ERRORLEVEL% GEQ 8 goto TaskError
exit 0

:TaskError
exit 1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1/18/2014]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618정성태1/29/201445682Linux: 2. 우분투에서 Active Directory 계정을 이용한 파일 공유
1617정성태1/29/201427149.NET Framework: 418. Thread.Abort 호출의 hang 현상 [1]
1616정성태1/29/201427885디버깅 기술: 63. windbg 디버깅 사례: AppDomain 간의 static 변수 사용으로 인한 crash
1615정성태1/29/201429376.NET Framework: 417. WPF WebBrowser 컨트롤에서 SHDocVw.IWebBrowser2 인터페이스를 구하는 방법 및 순수 WPF 웹 브라우저 컨트롤 소개
1614정성태1/29/201426542.NET Framework: 416. System.Net.Sockets.NetworkStream이 Thread-safe할까?파일 다운로드1
1613정성태1/29/201428438.NET Framework: 415. IIS 작업자 프로세스 재생(recycle)하는 방법 [1]
1612정성태1/29/201424895오류 유형: 219. IIS 500 Internal Server Error - Skydrive에 공유된 경우
1611정성태1/27/201457168.NET Framework: 414. C# - 컴퓨터에서 알아낼 수 있는 고윳값 정리 [3]파일 다운로드1
1610정성태1/26/201440637.NET Framework: 413. C# - chromiumembedded 사용 [11]파일 다운로드1
1609정성태1/26/201423548오류 유형: 218. wsDualHttpBinding + Windows Server 2003인 경우 발생하는 오류
1608정성태1/26/201429159.NET Framework: 412. HttpContext.Current를 통해 이해하는 CallContext와 ExecutionContext [4]
1607정성태1/26/201429062.NET Framework: 411. 유니코드의 "compatibility character"가 뭘까요? [4]파일 다운로드1
1606정성태1/25/201427180오류 유형: 217. 델 베뉴 스타일러스 관련 업데이트 오류 - 5830_Firmware_X267N_WN_1.0.4.1_A01.EXE
1605정성태1/23/201423983개발 환경 구성: 212. Visual Studio Online과 "Monaco" 서비스 연동
1604정성태1/23/201424336오류 유형: 216. 윈도우 서버 백업 - Hyper-V 가상 머신이 백업되지 않는 경우 (2)
1603정성태1/23/201436133개발 환경 구성: 211. Hyper-V - Generation 2 유형의 VM 생성 시 ISO 부팅이 안된다면? [1]
1602정성태1/22/201426233디버깅 기술: 62. windbg - 사용자 모드 원격 디버깅
1601정성태1/22/201430162오류 유형: 215. windbg - Symbol file could not be found. Defaulted to export symbols
1600정성태1/19/201426620.NET Framework: 410. C# - 재귀호출을 스택 자료구조와 반복문을 이용해 대체하는 방법을 Paralle.For와 함께? [1]파일 다운로드1
1599정성태1/18/201434829.NET Framework: 409. C# - 재귀호출을 스택 자료구조와 반복문을 이용해 대체하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598정성태1/17/201428532디버깅 기술: 61. NT 서비스 시작 단계에서 닷넷 메서드에 BP를 걸어 디버깅하는 방법
1597정성태1/17/201427075Phone: 9. Xamarin Android에 구글 AdMob 사용하는 방법 [1]
1596정성태1/17/201425252오류 유형: 214. Local SYSTEM 계정으로 실행된 IE에서 다운로드가 안 되는 문제
1595정성태1/16/201422799오류 유형: 213. attrib - Not resetting system file
1594정성태1/15/201425136오류 유형: 212. 마이크로소프트 라이브 계정 로그인 실패하는 경우
1593정성태1/14/201423371오류 유형: 211. ASP.NET 응용 프로그램을 IIS Express에서 디버깅할 때 "Requested registry access is not allowed" 오류 발생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