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VS.NET IDE: 96. Visual Studio에서 /* ~ */ 주석을 위한 단축키(매크로)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35888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Visual Studio에서 /* ~ */ 주석을 위한 단축키(매크로)

다음과 같은 질문이 있습니다.

C#에서 범위로 주석을 다는 /* ~ */종류의 주석은 따로 단축키가 유무 문의 드립니다? 보이지가 않습니다.
; https://social.msdn.microsoft.com/Forums/ko-KR/18d2922d-e452-4376-822a-dc4df3c6b12e/c-?forum=dotnetko

예전에도 한번 이와 유사한 질문을 받았던 기억이 나는데... 그래서 이참에 아예 글로 정리해 봅니다.

일단, 현재 Visual Studio의 공식 단축키는 없습니다. 대신 매크로를 이용하시면 됩니다. Visual Studio 2012 이상의 환경에서 매크로 사용법은 다음의 글에 정리해 두었으니 참고하시고,

Visual Studio 2012/2013에서의 매크로 구현 - Visual Commander
; https://www.sysnet.pe.kr/2/0/1767

Macros for Visual Studio 2013
; https://www.sysnet.pe.kr/2/0/1817

여기서는 간단하게 Visual Studio 2013에서 "Macros for Visual Studio 2013" 도구로 구현하는 방법을 살펴보겠습니다.

가장 중요한 매크로 구현 코드는 다음과 같습니다.

if (dte.ActiveDocument == null) {
}
else {
    var selection = dte.ActiveDocument.Selection;
    selection.Mode = 0;

    var startPoint = selection.BottomPoint.CreateEditPoint();
    var endPoint = selection.TopPoint.CreateEditPoint();

    var firstPos = endPoint.AbsoluteCharOffset;

    var text = selection.Text;
    var startPos = text.indexOf("/*");

    dte.UndoContext.Open("SetCommentArea");
    try {
        if (startPos != -1) {
            text = text.replace(/\/\*/g, "");
            text = text.replace(/\*\//g, "");
            endPoint.ReplaceText(startPoint, text, 1);
        }
        else {
            endPoint.ReplaceText(startPoint, "/*" + text + "*/", 1);
            var lastPos = selection.BottomPoint.AbsoluteCharOffset;
            selection.MoveToAbsoluteOffset(firstPos, false);
            selection.MoveToAbsoluteOffset(lastPos, true);
        }
    }
    finally
    {
        dte.UndoContext.Close();
    }
}

제 경우에 이 매크로의 이름을 "ToggleComment"라고 했으며, "Macros for Visual Studio 2013" 도구에서는 단축키를 Ctrl + M, 1 부터 Ctrl + M, 9까지 할당할 수 있으니 원하는 것을 쓰시면 됩니다. (참고로, 좀 더 자유로운 단축키를 원하신다면 "Visual Commander" 도구를 사용해야 합니다.)

이 정도면... 그런대로~~~!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7/10/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280정성태8/2/202020998오류 유형: 634. 오라클 (평생) 무료 클라우드 VM 생성 후 SSH 접속 시 키 오류 발생 [2]
12279정성태7/29/202024444개발 환경 구성: 499. 닷넷에서 접근해보는 InterSystems의 Cache 데이터베이스파일 다운로드1
12278정성태7/23/202020017VS.NET IDE: 149. ("Binary was not built with debug information" 상태로) 소스 코드 디버깅이 안되는 경우
12277정성태7/23/202022529개발 환경 구성: 498. DEVPATH 환경 변수의 사용 예 - .NET Reflector의 (PDB 연결이 없는) DLL의 소스 코드 디버깅
12276정성태7/23/202022749.NET Framework: 930. 개발자를 위한 닷넷 어셈블리 바인딩 - DEVPATH 환경 변수
12275정성태7/22/202023964개발 환경 구성: 497. 닷넷에서 접근해보는 InterSystems의 IRIS Data Platform 데이터베이스파일 다운로드1
12274정성태7/21/202022276개발 환경 구성: 496. Azure - Blob Storage Account의 Location 이전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2273정성태7/18/202026334개발 환경 구성: 495. Azure - Location이 다른 웹/DB 서버의 경우 발생하는 성능 하락
12272정성태7/16/202017975.NET Framework: 929. (StrongName의 버전 구분이 필요 없는) .NET Core 어셈블리 바인딩 규칙 [2]파일 다운로드1
12271정성태7/16/202022313.NET Framework: 928. .NET Framework의 Strong-named 어셈블리 바인딩 (2) - 런타임에 바인딩 리디렉션파일 다운로드1
12270정성태7/16/202023089오류 유형: 633. SSL_CTX_use_certificate_file - error:140AB18F:SSL routines:SSL_CTX_use_certificate:ee key too small
12269정성태7/16/202020644오류 유형: 632. .NET Core 웹 응용 프로그램 - The process was terminated due to an unhandled exception.
12268정성태7/15/202023705오류 유형: 631. .NET Core 웹 응용 프로그램 오류 - HTTP Error 500.35 - ANCM Multiple In-Process Applications in same Process
12267정성태7/15/202026047.NET Framework: 927. C# - 윈도우 프로그램에서 Credential Manager를 이용한 보안 정보 저장파일 다운로드1
12266정성태7/14/202022077오류 유형: 630. 사용자 계정을 지정해 CreateService API로 서비스를 등록한 경우 "Error 1069: The service did not start due to a logon failure." 오류발생
12265정성태7/10/202021106오류 유형: 629. Visual Studio - 웹 애플리케이션 실행 시 "Unable to connect to web server 'IIS Express'." 오류 발생
12264정성태7/9/202033227오류 유형: 628. docker: Error response from daemon: Conflict. The container name "..." is already in use by container "...".
12261정성태7/9/202023659VS.NET IDE: 148. 윈도우 10에서 .NET Core 응용 프로그램을 리눅스 환경에서 실행하는 2가지 방법 - docker, WSL 2 [5]
12260정성태7/8/202021466.NET Framework: 926. C# - ETW를 이용한 ThreadPool 스레드 감시파일 다운로드1
12259정성태7/8/202019942오류 유형: 627. nvlddmkm.sys의 BAD_POOL_HEADER BSOD 문제 [1]
12258정성태7/8/202023735기타: 77. DataDog APM 간략 소개
12257정성태7/7/202019929.NET Framework: 925. C# - ETW를 이용한 Monitor Enter/Exit 감시파일 다운로드1
12256정성태7/7/202022442.NET Framework: 924. C# - Reflection으로 변경할 수 없는 readonly 정적 필드 [4]
12255정성태7/6/202023292.NET Framework: 923. C# - ETW(Event Tracing for Windows)를 이용한 Finalizer 실행 감시파일 다운로드1
12254정성태7/2/202020083오류 유형: 626. git - REMOTE HOST IDENTIFICATION HAS CHANGED!
12253정성태7/2/202023945.NET Framework: 922. C# - .NET ThreadPool의 Local/Global Queue파일 다운로드1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