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시리즈 글이 5개 있습니다.)
.NET Framework: 486. Java의 ScheduledExecutorService에 대응하는 C#의 System.Threading.Timer
; https://www.sysnet.pe.kr/2/0/1823

VC++: 103. C++ CreateTimerQueue, CreateTimerQueueTimer 예제 코드
; https://www.sysnet.pe.kr/2/0/11090

.NET Framework: 636. System.Threading.Timer를 이용해 타이머 작업을 할 때 유의할 점
; https://www.sysnet.pe.kr/2/0/11134

Windows: 189. WM_TIMER의 동작 방식 개요
; https://www.sysnet.pe.kr/2/0/12539

.NET Framework: 2019. C# - .NET에서 제공하는 3가지 Timer 비교
; https://www.sysnet.pe.kr/2/0/13069




Java의 ScheduledExecutorService에 대응하는 C#의 System.Threading.Timer

오늘 자바 개발자를 통해 ScheduledExecutorService 인터페이스를 알게 되었습니다.

ScheduledExecutorService
; https://docs.oracle.com/javase/7/docs/api/java/util/concurrent/ScheduledExecutorService.html

오호~~~ 제법 편리한 기능입니다. 지정된 시간 이후에 콜백할 메서드를 등록할 수 있는데, 시간 등록도 작업 항목별로 자유롭게 지정할 수 있고 스레드 관리 같은 것이 필요가 없습니다. 역시 자바가 오랜 역사에 기반해서 이런 편리한 기능이 많구나... 라고 생각했는데, 알고 보니 닷넷에도 유사한 기능이 있습니다. 바로, 우리가 그냥 흔하게 사용했던 System.Threading.Timer가 그것입니다.

Timer Class (System.Threading.Timer)
; https://docs.microsoft.com/ko-kr/dotnet/api/system.threading.timer

사실, 저는 ScheduledExecutorService와 같은 기능이 .NET BCL에는 없을 거라 생각했습니다. 왜냐하면 Timer는 경우에 따라서 상한이 제한된 자원이기 때문입니다. 일례로, SetTimer Win32 API의 경우 현재 프로세스 당 10,000개, 데스크톱 자원 전역으로 short.MaxValue(32,000-ish)만큼의 제약이 있습니다.

What is the maximum number of timers a program can create?
; http://blogs.msdn.com/b/oldnewthing/archive/2009/08/27/9886147.aspx

따라서 System.Threading.Timer가 ScheduledExecutorService처럼 자유로운 작업 항목 수를 가질 수는 없을 거라고 판단한 것입니다.




그러다, 문득 이런 생각이 드는 것입니다. 혹시, SetTimer가 아닌 좀 더 경량화된 timer 자원을 써서 구현하지 않았을까??? 하는. 그래서 .NET Reflector로 System.Threading.Timer를 열어 보니 내부적으로 CLR의 CreateAppDomainTimer 쪽으로 호출을 연계하는데,

[SecurityCritical, SuppressUnmanagedCodeSecurity, DllImport("QCall", CharSet=CharSet.Unicode)]
private static extern AppDomainTimerSafeHandle CreateAppDomainTimer(uint dueTime);

이 함수명으로 검색해 보면, 다음의 글이 나옵니다.

Timers in .Net 
; http://habrahabr.ru/post/195814/

내용에 보면, Timer 인스턴스를 1000개를 생성했는데도 windbg로 살펴본 스레드의 수는 콜백을 호출하기 위해 사용한 ThreadPool의 스레드 수만 있었습니다. 즉, 자바의 ScheduledExecutorService처럼 콜백을 자동으로 ThreadPool의 스레드에 맡기는 것과 완전히 동일하게 System.Threading.Timer도 동작하고 있는 것입니다.

내부의 C/C++ 코드로 구현한 CreateAppDomainTimer 함수를 호출하는 것을 보니, 닷넷 자체적으로 구현하기보다는 분명 운영체제에서 제공하는 Win32 API에 기능을 대행하지 않았을까 하는 예측을 할 수 있는데요. 게다가 System.Threading.Timer의 도움말을 보면, "System.Threading.Timer is a simple, lightweight timer that uses callback methods and is served by thread pool thread"라는 문구가 나옵니다. 이에 착안해서 윈도우에서 제공하는 timer들을 살펴본 결과,

Timers Tutorial
; http://www.codeproject.com/Articles/1236/Timers-Tutorial

CreateTimerQueueTimer Win32 API가 "Queue timers are lightweight kernel objects that reside in timer queues"라는 설명이 있는 것으로 보아 가장 가능성 있는 후보로 떠오릅니다. (물론, 예상일 뿐입니다.)

중요한 점은, SetTimer Win32 API와는 달리 CreateTimerQueueTimer는 작업 항목의 수에 대한 명시적인 상한 제한이 없다는 것입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5/26/2022]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14-12-11 09시44분
[spowner] 자세한 분석 감사합니다
[guest]
2014-12-11 10시02분
[spowner] 유용한 정보 감사드립니다
[guest]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162정성태2/26/202021911디버깅 기술: 166. C#에서 만든 COM 객체를 C/C++로 P/Invoke Interop 시 메모리 누수(Memory Leak) 발생 [6]파일 다운로드2
12161정성태2/26/202017949오류 유형: 597. manifest - The value "x64" of attribute "processorArchitecture" in element "assemblyIdentity" is invalid.
12160정성태2/26/202018306개발 환경 구성: 469. Reg-free COM 개체 사용을 위한 manifest 파일 생성 도구 - COMRegFreeManifest
12159정성태2/26/202015375오류 유형: 596. Visual Studio - The project needs to include ATL support
12158정성태2/25/202017969디버깅 기술: 165. C# - Marshal.GetIUnknownForObject/GetIDispatchForObject 사용 시 메모리 누수(Memory Leak) 발생파일 다운로드1
12157정성태2/25/202017991디버깅 기술: 164. C# - Marshal.GetNativeVariantForObject 사용 시 메모리 누수(Memory Leak) 발생 및 해결 방법파일 다운로드1
12156정성태2/25/202016567오류 유형: 595. LINK : warning LNK4098: defaultlib 'nafxcw.lib' conflicts with use of other libs; use /NODEFAULTLIB:library
12155정성태2/25/202016018오류 유형: 594. Warning NU1701 - This package may not be fully compatible with your project
12154정성태2/25/202015402오류 유형: 593. warning LNK4070: /OUT:... directive in .EXP differs from output filename
12153정성태2/23/202019537.NET Framework: 898. Trampoline을 이용한 후킹의 한계파일 다운로드1
12152정성태2/23/202018578.NET Framework: 897. 실행 시에 메서드 가로채기 - CLR Injection: Runtime Method Replacer 개선 - 세 번째 이야기(Trampoline 후킹)파일 다운로드1
12151정성태2/22/202019389.NET Framework: 896. C# - Win32 API를 Trampoline 기법을 이용해 C# 메서드로 가로채는 방법 - 두 번째 이야기 (원본 함수 호출)파일 다운로드1
12150정성태2/21/202019646.NET Framework: 895. C# - Win32 API를 Trampoline 기법을 이용해 C# 메서드로 가로채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2149정성태2/20/202018422.NET Framework: 894. eBEST C# XingAPI 래퍼 - 연속 조회 처리 방법 [1]
12148정성태2/19/202020962디버깅 기술: 163. x64 환경에서 구현하는 다양한 Trampoline 기법 [1]
12147정성태2/19/202018630디버깅 기술: 162. x86/x64의 기계어 코드 최대 길이
12146정성태2/18/202019395.NET Framework: 893. eBEST C# XingAPI 래퍼 - 로그인 처리파일 다운로드1
12145정성태2/18/202019263.NET Framework: 892. eBEST C# XingAPI 래퍼 - Sqlite 지원 추가파일 다운로드1
12144정성태2/13/202019487.NET Framework: 891. 실행 시에 메서드 가로채기 - CLR Injection: Runtime Method Replacer 개선 - 두 번째 이야기파일 다운로드1
12143정성태2/13/202016014.NET Framework: 890. 상황별 GetFunctionPointer 반환값 정리 - x64파일 다운로드1
12142정성태2/12/202018420.NET Framework: 889. C# 코드로 접근하는 MethodDesc, MethodTable파일 다운로드1
12141정성태2/10/202017409.NET Framework: 888. C# - ASP.NET Core 웹 응용 프로그램의 출력 가로채기 [2]파일 다운로드1
12140정성태2/10/202017988.NET Framework: 887. C# - ASP.NET 웹 응용 프로그램의 출력 가로채기파일 다운로드1
12139정성태2/9/202019209.NET Framework: 886. C# - Console 응용 프로그램에서 UI 스레드 구현 방법
12138정성태2/9/202023245.NET Framework: 885. C# - 닷넷 응용 프로그램에서 SQLite 사용 [6]파일 다운로드1
12137정성태2/9/202016451오류 유형: 592. [AhnLab] 경고 - 디버거 실행을 탐지했습니다.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