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NET Framework: 489. Socket.Listen에 전달된 backlog 인자의 의미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28496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3개 있습니다.)

Socket.Listen에 전달된 backlog 인자의 의미

간단한 테스트를 해볼까요? ^^

TcpListener serverSock = new TcpListener(IPAddress.Any, 5000);
serverSock.Start(5); // Socket.Listen(5); 호출과 동일

TcpClient clientSocket = serverSock.AcceptTcpClient();
    
Thread.Sleep(Timeout.Infinite);

위와 같이 프로그램을 하는 경우, 클라이언트가 접속을 시도했을 때 몇번째부터 예외가 발생할까요? ^^

정답은 7입니다. 왜냐하면, 첫 번째 Connect 시도는 AcceptTcpClient 호출 덕분에 정상적으로 accept했기 때문에 backlog에 쌓이지 않습니다. 따라서 두 번째에서 여섯 번째까지의 Connect 시도가 backlog에 쌓여서 5개의 큐 제한을 꽉 채우게 됩니다. 그리고는 7번째 Connect 요청에 대해서는 서버 소켓이 명시적으로 오류를 내어 해당 클라이언트에서는 다음과 같은 예외가 발생합니다.

System.Net.Sockets.SocketException was unhandled
  _HResult=-2147467259
  _message=No connection could be made because the target machine actively refused it
  HResult=-2147467259
  IsTransient=false
  Message=No connection could be made because the target machine actively refused it 192.168.0.23:5000
  Source=System
  ErrorCode=10061
  NativeErrorCode=10061
  StackTrace:
       at System.Net.Sockets.TcpClient.Connect(String hostname, Int32 port)
       at ConsoleApplication1.Program.ClientFunc(Object obj) in e:\...\ConsoleApplication1\Program.cs:line 115
       at System.Threading.ExecutionContext.RunInternal(ExecutionContext executionContext, ContextCallback callback, Object state, Boolean preserveSyncCtx)
       at System.Threading.ExecutionContext.Run(ExecutionContext executionContext, ContextCallback callback, Object state, Boolean preserveSyncCtx)
       at System.Threading.ExecutionContext.Run(ExecutionContext executionContext, ContextCallback callback, Object state)
       at System.Threading.ThreadHelper.ThreadStart(Object obj)
  InnerException: 

이 상태에서 netstat로 소켓 상태를 확인해 보면 6개의 TCP 자원이 "ESTABLISHED" 상태로 진입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c:> netstat -ano | findstr ":5000"

TCP    0.0.0.0:5000           0.0.0.0:0              LISTENING       2384
TCP    192.168.0.23:5000      192.168.0.95:62724     ESTABLISHED     2384
TCP    192.168.0.23:5000      192.168.0.95:62725     ESTABLISHED     2384
TCP    192.168.0.23:5000      192.168.0.95:62726     ESTABLISHED     2384
TCP    192.168.0.23:5000      192.168.0.95:62727     ESTABLISHED     2384
TCP    192.168.0.23:5000      192.168.0.95:62728     ESTABLISHED     2384
TCP    192.168.0.23:5000      192.168.0.95:62729     ESTABLISHED     2384

이때, tcpview.exe와 같은 도구를 이용해 backlog에 쌓여 있는 "ESTABLISHED" 상태의 소켓을 강제로 닫으면 어떤 일이 발생할까요? 당연히 netstat로 확인하면 "ESTABLISHED" 상태의 소켓 수가 줄어들게 됩니다.

그렇다면 backlog에 쌓인 소켓 수가 줄었으니, 이후의 클라이언트 소켓 연결 요청을 받아들이게 될까요?

정답은, 받아들일 수 없습니다. 이를 통해서 소켓은 Listen에 지정된 숫자가 운영체제의 소켓 자원에 대한 '상태'와는 무관하게 계산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즉, Listen으로 인해 연결 요청이 들어온 것이 큐에 쌓이게 되고 그것이 빠져나가지 않는 한 해당 연결 요청에 대한 클라이언트 들의 상태와는 무관하게 accept 처리가 되는 것입니다.

(현실적으로 별로 유용한 정보는 아니지만, 그냥 심심해서 테스트 한번 해봤습니다.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0/26/2024]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15-09-09 07시22분
[gwise]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Socket.Listen(5); 요거 db Connection 풀링하고 같은 의미네요...
[guest]
2018-01-26 01시57분
정성태
2018-02-12 01시40분
$ sysctl net.ipv4.tcp_synack_retries
net.ipv4.tcp_synack_retries = 5

$ sysctl net.ipv4.tcp_max_syn_backlog
net.ipv4.tcp_max_syn_backlog = 128

$ sysctl net.core.somaxconn
net.core.somaxconn = 128
정성태
2018-02-12 01시40분
$ ss -n state syn-recv sport = :80 | wc -l
1

$ ss -n state syn-recv sport = :443 | wc -l
1

$ sysctl net.ipv4.tcp_abort_on_overflow
net.ipv4.tcp_abort_on_overflow = 0

정성태
2018-02-12 01시40분
$ nstat -az TcpExtListenDrops
#kernel
TcpExtListenDrops 0 0.0

$ ss -plnt sport = :80|cat
State Recv-Q Send-Q Local Address:Port Peer Address:Port

$ nstat -az TcpExtTCPReqQFullDoCookies
#kernel
TcpExtTCPReqQFullDoCookies 0 0.0
정성태
2018-02-12 01시40분
$ nstat -az TcpExtSyncookiesSent
#kernel
TcpExtSyncookiesSent 0 0.0

$ sysctl net.ipv4.tcp_syncookies
net.ipv4.tcp_syncookies = 1

$ sysctl net.ipv4.tcp_timestamps
net.ipv4.tcp_timestamps = 1
정성태

...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736정성태10/12/201818400오류 유형: 492. Visual Studio 로딩 시 오류 - The 'Scc Display Information' package did not load correctly.
11735정성태10/12/201824163VS.NET IDE: 129. Visual Studio - 특정 문자(열)를 개행 문자로 바꾸는 방법
11734정성태10/10/201818535Linux: 4. Synology NAS(DS216+II)에 FTDI 장치 연결 후 C#(.NET Core)으로 DTR 제어파일 다운로드1
11733정성태10/10/201821285Linux: 3. Synology NAS(DS216+II)에서 FTDI 장치를 C/C++로 제어
11732정성태10/10/201820988디버깅 기술: 119. windbg 분석 사례 - 종료자(Finalizer)에서 예외가 발생한 경우 비정상 종료(Crash) 발생파일 다운로드1
11731정성태10/9/201820518개발 환경 구성: 409. C# - REST API를 이용해 Azure Kudu 서비스 이용 - 웹 앱 확장 처리파일 다운로드1
11730정성태10/9/201819788개발 환경 구성: 408. C# - REST API를 이용해 Azure Kudu 서비스 이용 - 파일 처리파일 다운로드1
11729정성태10/9/201822240Windows: 150. 윈도우에서 ARP Cache 목록 확인 및 삭제하는 방법
11728정성태10/9/201820035사물인터넷: 50. Audio Jack 커넥터의 IR 적외선 송신기 [1]
11727정성태10/8/201821285오류 유형: 491. Visual Studio의 리눅스 SSH 원격 연결 - "Connectivity Failure. Please make sure host name and port number are correct."
11726정성태10/7/201823967사물인터넷: 49. 라즈베리 파이를 이용해 원격 컴퓨터의 전원 스위치 제어파일 다운로드1
11724정성태10/5/201823630개발 환경 구성: 407. 유니코드와 한글 - "Hangul Compatibility Jamo"파일 다운로드1
11723정성태10/4/201817508개발 환경 구성: 406. "Docker for Windows" 컨테이너 내의 .NET Core 응용 프로그램에서 직렬 포트(Serial Port, COM Port) 사용 방법
11722정성태10/4/201821196.NET Framework: 798. C# - Hyper-V 가상 머신의 직렬 포트와 연결된 Named Pipe 간의 통신파일 다운로드1
11721정성태10/4/201821504.NET Framework: 797. Linux 환경의 .NET Core 응용 프로그램에서 직렬 포트(Serial Port, COM Port) 사용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720정성태10/4/201823050개발 환경 구성: 405. Hyper-V 가상 머신에서 직렬 포트(Serial Port, COM Port) 사용
11719정성태10/4/201823664.NET Framework: 796. C# - 인증서를 윈도우에 설치하는 방법
11718정성태10/4/201818854개발 환경 구성: 404. (opkg가 설치된) Synology NAS(DS216+II)에 cmake 설치
11717정성태10/3/201821448사물인터넷: 48. 넷두이노의 C# 네트워크 프로그램 [1]
11716정성태10/3/201822010사물인터넷: 47. Raspberry PI Zero (W)에 FTDI 장치 연결 후 C/C++로 DTR 제어파일 다운로드1
11715정성태10/3/201820801사물인터넷: 46. Raspberry PI Zero (W)에 docker 설치
11714정성태10/2/201820031사물인터넷: 45. Raspberry PI에 ping을 hostname으로 하는 방법
11713정성태10/2/201822451개발 환경 구성: 403. Synology NAS(DS216+II)에 docker 설치 후 .NET Core 2.1 응용 프로그램 실행하는 방법
11712정성태10/2/201827631.NET Framework: 795. C# - 폰트 목록을 한글이 아닌 영문으로 구하는 방법 [3]
11711정성태10/2/201823091오류 유형: 490. 윈도우 라이선스 키 입력 오류 0xc004f050, 0xc004e028
11710정성태10/2/201822042.NET Framework: 794. C# - 같은 모양, 다른 값의 한글 자음을 비교하는 호환 분해 [5]
...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