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디버깅 기술: 67. windbg - 덤프 파일과 handle 정보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26325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windbg - 덤프 파일과 handle 정보

풀 덤프를 남길 때,

풀 덤프 파일을 남기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991

작업 관리자의 풀 덤프를 기능을 이용하는 경우, 핸들 정보가 보이질 않습니다.

Loading Dump File [C:\temp\test2.dmp]
User Mini Dump File with Full Memory: Only application data is available

Symbol search path is: SRV*e:\Symbols*http://msdl.microsoft.com/download/symbols
Executable search path is: 
Windows 8 Version 9200 MP (8 procs) Free x64
Product: WinNt, suite: SingleUserTS
Built by: 6.3.9600.17031 (winblue_gdr.140221-1952)
Machine Name:
Debug session time: Sat Jan  3 13:30:27.000 2015 (UTC + 9:00)
System Uptime: 10 days 20:59:12.564
Process Uptime: 0 days 1:22:47.000
.........................
Loading unloaded module list
...
This dump file has a breakpoint exception stored in it.
The stored exception information can be accessed via .ecxr.
ntdll!DbgBreakPoint:
00007ffa`cfb231a0 cc              int     3

0:004> !handle 20c f
ERROR: !handle: extension exception 0x80004002.
    "Unable to read handle information"

아마도, 작업 관리자의 경우 MiniDumpWriteDump 호출 시 MiniDumpWithHandleData 옵션은 추가하지 않는 것 같습니다. 그래서, 기왕이면 Process Explorer (또는, ProcDump)를 이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런 경우에는 이렇게 핸들 정보가 남습니다.

Loading Dump File [C:\temp\ConsoleApplication1.dmp]
User Mini Dump File with Full Memory: Only application data is available

...[생략]...

0:000> !handle
Handle 0000000000000004
  Type         	File
Handle 0000000000000008
  Type         	Directory
...[생략]...
  Type         	Event
Handle 0000000000000208
  Type         	Event
Handle 000000000000020c
  Type         	Event
129 Handles
Type                    	Count
None                    	25
Event                   	61
Section                 	2
File                    	7
Directory               	3
Mutant                  	5
WindowStation           	2
Key                     	8
Thread                  	5
Desktop                 	1
IoCompletion            	2
TpWorkerFactory         	2
ALPC Port               	1
WaitCompletionPacket    	5

그리고 개별 항목에 대해 상세하게 조회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0:000> !handle 000000000000020c 7
Handle 000000000000020c
  Type         	Event
  Attributes   	0
  GrantedAccess	0x1f0003:
         Delete,ReadControl,WriteDac,WriteOwner,Synch
         QueryState,ModifyState
  HandleCount  	2
  PointerCount 	65538
  Name         	<none>

닷넷 응용 프로그램의 경우 핸들 정보를 알려면 해당 객체에서 (대개) private 멤버로 보관하고 있는 handle 정보를 우선 알아야 합니다. 예를 들어 다음의 출력 결과에서,

0:000> !dso
OS Thread Id: 0x2d38 (0)
RSP/REG          Object           Name
000000000083E3F0 00000000026e2ef0 Microsoft.Win32.SafeHandles.SafeWaitHandle
000000000083E410 00000000026e2ef0 Microsoft.Win32.SafeHandles.SafeWaitHandle
000000000083E6A0 00000000026e2ef0 Microsoft.Win32.SafeHandles.SafeWaitHandle
000000000083E880 00000000026e2ef0 Microsoft.Win32.SafeHandles.SafeWaitHandle
000000000083E8C0 00000000026e2ea0 System.Threading.ManualResetEvent
000000000083E8E0 00000000026e2ea0 System.Threading.ManualResetEvent
000000000083E8E8 00000000026e2ea0 System.Threading.ManualResetEvent
000000000083E8F0 00000000026e2ea0 System.Threading.ManualResetEvent
000000000083E910 00000000026e2e80 System.Object[]    (System.String[])
000000000083EA48 00000000026e2e80 System.Object[]    (System.String[])
000000000083EB58 00000000026e2e80 System.Object[]    (System.String[])
000000000083ED28 00000000026e2e80 System.Object[]    (System.String[])
000000000083ED48 00000000026e2308 System.Security.Policy.Evidence
000000000083F2F8 00000000026e1440 System.SharedStatics

Microsoft.Win32.SafeHandles.SafeWaitHandle 인스턴스의 Object 주소(00000000026e2ef0)로 조회한 후,

0:000> !do 00000000026e2ef0 
Name:        Microsoft.Win32.SafeHandles.SafeWaitHandle
MethodTable: 00007ffac16e89c8
EEClass:     00007ffac1116d98
Size:        32(0x20) bytes
File:        C:\WINDOWS\Microsoft.Net\assembly\GAC_64\mscorlib\v4.0_4.0.0.0__b77a5c561934e089\mscorlib.dll
Fields:
              MT    Field   Offset                 Type VT     Attr            Value Name
00007ffac16d4848  4000612        8        System.IntPtr  1 instance              20c handle
00007ffac16d37c8  4000613       10         System.Int32  1 instance                8 _state
00007ffac16cf370  4000614       14       System.Boolean  1 instance                1 _ownsHandle
00007ffac16cf370  4000615       15       System.Boolean  1 instance                1 _fullyInitialized
00007ffac16cf370  4001a8b       16       System.Boolean  1 instance                0 bIsMutex
00007ffac16cf370  4001a8c       17       System.Boolean  1 instance                0 bIsReservedMutex

이렇게 handle 필드로 있는 20c 값이 프로세스의 핸들 테이블에 있는 정보입니다. 그래서 역시 이 값으로부터도 !handle 명령어를 통해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0:000> !handle 000000000000020c 7
Handle 000000000000020c
  Type         	Event
  Attributes   	0
  GrantedAccess	0x1f0003:
         Delete,ReadControl,WriteDac,WriteOwner,Synch
         QueryState,ModifyState
  HandleCount  	2
  PointerCount 	65538
  Name         	<none>

하지만 안타까운 점이 있다면, 객체 고유의 성격에 따른 정보는 구하질 못한다는 것입니다. 아래의 글에서도 설명하고 있지만,

Windows System Events + Windbg Debugging 
; http://samscode.blogspot.kr/2012/03/windows-system-events-windbg-debugging.html

Checking an Event's Signaled State in KM w/ WinDBG 
; http://samscode.blogspot.kr/2013/03/checking-events-signaled-state-in-km-w.html

가령, 위에서 예를 든 "!handle 000000000000020c 7" 출력의 경우 Event이지만 해당 이벤트가 Signaled 상태인지를 알 수 있는 방법이 없습니다. 왜냐하면 이 정보는 커널에 담겨 있기 때문에 EXE 프로세스의 핸들 테이블 정보만으로는 이를 구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거기까지 정보를 알아내려면 User-mode의 덤프가 아닌 Kernel-mode의 덤프가 필요합니다. (혹은, 라이브 디버깅을 해야 합니다. 라이브인 경우 API 호출로 알아내는 것도 가능합니다. "I have the handle to a file; how can I get the file name from the debugger?") 또한 usermode에서 그러니까, 가끔 블루스크린이 떴을 때 덤프 남긴다면서 퍼센트 올라가던... 바로 그 덤프 파일입니다.

고객에게... Process Explorer로 덤프를 남기신 후에 핸들 정보까지 필요하니 커널 모드 덤프를 얻기 위해 시스템 크래시를 시켜 재부팅하라고 할 수 있다면??? 그것이 가능하다면 이럴 때 쓸 수 있는 도구가 바로 Sysinternals의 NotMyFault입니다.

NotMyFault
; http://download.sysinternals.com/files/NotMyFault.zip

How to generate a kernel or a complete memory dump file in Windows Server 2008 and Windows Server 2008 R2 
; http://support.microsoft.com/kb/969028

Notmyfault로 full 덤프 생성 방법
; http://jkmoon.tistory.com/319

하지만, 대부분의 환경에서 현실적이지 못할 것입니다.

어쨌든, 이것이 덤프 파일 디버깅의 한계입니다. 커널 객체의 상태 정보를 반드시 확인해야 할 필요가 있다면, 그나마 NotMyFault보다 더 현실적인 방법은 해당 프로세스가 살아 있을 때 windbg 등을 통해 "attach" 시켜 라이브 디버깅 상태에서 진행하는 것입니다. 그렇게 하면 다음과 같이 해당 커널 객체의 타입에 따라 "Object Specific Information"을 추가로 얻을 수 있습니다.

0:004> !handle 20c ff
Handle 20c
  Type         	Event
  Attributes   	0
  GrantedAccess	0x1f0003:
         Delete,ReadControl,WriteDac,WriteOwner,Synch
         QueryState,ModifyState
  HandleCount  	2
  PointerCount 	65537
  Name         	<none>
  Object Specific Information
    Event Type Manual Reset
    Event is Waiting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1/24/2022]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
NoWriterDateCnt.TitleFile(s)
2879정성태3/3/201526610개발 환경 구성: 259. Visual Studio 없이 Visual C++ 컴파일하는 방법
2878정성태2/28/201527443.NET Framework: 503. == 연산자보다는 Equals 메서드의 호출이 더 권장됩니다. [3]파일 다운로드1
2877정성태2/28/201521703.NET Framework: 502. 연산자 재정의(operator overloading)와 메서드 재정의(method overriding)의 다른 점 - 가상 함수 호출 여부 [3]파일 다운로드1
2876정성태2/27/201524199VS.NET IDE: 98. IntegraStudio - Visual Studio에서 Java 프로그램 개발
2875정성태2/26/201522792디버깅 기술: 72. Visual Studio 2013에서의 sos.dll 사용 제한
2874정성태2/26/201519520디버깅 기술: 71. windbg + 닷넷 디버깅 (2) - null 체크 패턴
2873정성태2/25/201537003.NET Framework: 501. FtpWebRequest 타입을 이용해 FTP 파일 업로드 [4]파일 다운로드1
2872정성태2/25/201521143디버깅 기술: 70. windbg + 닷넷 디버깅 (1) - 배열 인덱스 사용 패턴
2871정성태2/24/201525142개발 환경 구성: 258. 윈도우 8.1에서 방화벽과 함께 FTP 서버 여는 (하지만, 권장하지 않는) 방법 [1]
2870정성태2/24/201526236개발 환경 구성: 257. 윈도우 8.1에서 방화벽과 함께 FTP 서버 여는 방법
2869정성태2/23/201520220.NET Framework: 500. struct로 정의한 값 형식(Value Type)의 경우 Equals 재정의를 권장합니다.파일 다운로드1
2868정성태2/23/201524738VS.NET IDE: 97. Visual C++ 프로젝트 디버깅 시에 Step-Into(F11) 동작이 원치 않는 함수로 진입하는 것을 막는 방법 [2]
2867정성태2/23/201518401오류 유형: 273. File History - Failed to initiate user data backup (error 80070005)
2866정성태2/23/201520249오류 유형: 272. WAT080 : Failed to locate the Windows Azure SDK. Please make sure the Windows Azure SDK v2.1 is installed.
1868정성태2/20/201517554오류 유형: 271. The type '...' cannot be used as type parameter 'TContext' in the generic type or method 'System.ServiceModel.DomainServices.EntityFramework.LinqToEntitiesDomainService&lt;T&gt;
1866정성태2/20/201518433오류 유형: 270. "aspnet_regiis -i" 실행 시 0x00000006 오류 해결 방법
1865정성태2/20/201519800.NET Framework: 499. 특정 닷넷 프레임워크 버전 이후부터 제공되는 타입을 사용해야 한다면?
1864정성태2/18/201524797.NET Framework: 498. C#으로 간단하게 만들어 본 ASCII Art 프로그램 [2]파일 다운로드1
1862정성태2/18/201528612.NET Framework: 497. .NET Garbage Collection에 대한 정리 [6]
1861정성태2/18/201523970.NET Framework: 496. 마우스 커서가 놓인 지점의 문자열 얻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860정성태2/18/201523806.NET Framework: 495. CorElementType의 요소 값 설명파일 다운로드1
1859정성태2/17/201524188Windows: 106. 컴퓨터를 재부팅하면 절전(Power Saver) 전원 모드로 돌아가는 경우
1858정성태2/16/201534215Windows: 105. 자동으로 로그아웃/잠김 화면 상태로 전환된다면? [2]
1857정성태2/16/201522223.NET Framework: 494. 값(struct) 형식의 제네릭(Generic) 타입이 박싱되는 경우의 메타데이터 토큰 값파일 다운로드1
1856정성태2/15/201521227.NET Framework: 493. TypeRef 메타테이블에 등록되는 타입의 조건파일 다운로드1
1855정성태2/10/201520762개발 환경 구성: 256. WebDAV Redirector - Sysinternals 폴더 연결 시 "The network path was not found" 오류 해결 방법
...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