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글 보이기/감추기 AD BLOCK 해제 요청 이 글에는 광고가 많이 들어가 있지 않습니다. adblock을 해제하셔도 글을 읽는데 그다지 부담이 없으니 해제를 부탁드립니다. 윈도우 내레이터(Narrator) 기능 끄는 방법(윈도우에 파란색의 굵은 테두리 선이 나타난다면?) 개발을 하다 보면, 가끔 키보드를 무작위로 막 누를 때가 있습니다. 그러다 실수로 예기치 않은 기능들이 동작하게 되는데요. ^^; 뭘 눌렀을까요? 어느 순간부터 마우스로 선택하는 윈도우마다 아래와 같이 파란색의 굵은 테두리 선이 쳐지게 되는 것입니다. 딱히 이것이 뭔지도 모르는 기능이라 의아하기만 했는데요. 검색 끝에 겨우 알아냈습니다. ^^; 그것이 윈도우 내레이터 기능임을. 내레이터가 텍스트를 읽도록 하기 ; http://windows.microsoft.com/ko-kr/windows/hear-text-read-aloud-narrator How do I turn OFF Windows Narrator? ; http://superuser.com/questions/618252/how-do-i-turn-off-windows-narrator 끄는 방법은, 위의 글에도 나오지만 "Window Key + Enter"를 누르시면 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다음 글] 디버깅 기술: 69. windbg 분석 사례 - cpu 100% 현상 (2)[이전 글] 디버깅 기술: 68. windbg 분석 사례 - 메모리 부족 [최초 등록일: 1/4/2015] [최종 수정일: 1/5/2015]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15-10-04 06시07분 [궁금이] 유용한 정보 정말 감사합니다. [guest] 2016-03-03 06시57분 [걱정] 감사합니다. 갑자기 맘에 안드는 박스가 나타나서 고심하다가 구글에서 찾아보니 바로나오네요. 고마워요! [guest] 2017-08-25 12시24분 [감사] 감사합니다. 엑셀작업 중이었는데 덕분에 하늘색 테두리를 지울 수 있게 되었네요. [guest] 2017-11-03 03시38분 Window Key + Enter로 안 꺼지면 Caps Lock + ESC 키를 누르면 됩니다. 정성태 ...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 NoWriterDateCnt.TitleFile(s) 644정성태1/11/200925237Windows: 34. VPC 설치 후기 [2]643정성태1/10/200930418Windows: 33. Windows 7 베타와 VMA 충돌 [1]642정성태1/8/200928978개발 환경 구성: 34. Sysinternals의 모든 툴을 한번에 업데이트 하는 방법 [1]641정성태1/7/200926091기타: 27. D820 - A09 바이오스 업데이트 프로그램 패치 [2]640정성태1/4/200927986Team Foundation Server: 29. ClickOnce 응용 프로그램 배포를 Team Build에 추가.639정성태1/4/200925959Team Foundation Server: 28. PFX 코드 서명을 포함한 프로젝트의 팀 빌드 실패 - MSB4018638정성태1/3/200928935.NET Framework: 119. WPF - 의존 속성 정의에서 XamlParseException 발생하는 예 [2]637정성태1/1/200931492기타: 26. 2008년 인기 순위 정리636정성태12/31/200826663.NET Framework: 118. 2진 검색을 이용한 리스트 정렬 삽입1635정성태12/29/200829455오류 유형: 66. 파일 암호화 오류 - Recovery policy configured for this system contains invalid recovery certificate634정성태12/29/200843666기타: 25. 가상 키보드 관련 정리 [4]633정성태12/20/200830221기타: 24. RMClock for x64 [3]632정성태12/19/200837964기타: 23. D820 - 배터리 없이 바이오스 업데이트 방법 [2]1631정성태12/10/200846591VC++: 36. Detours 라이브러리를 이용한 Win32 API - Sleep 호출 가로채기 [3]630정성태12/9/200827062.NET Framework: 117. WPF - TreeView에서 항목이 펼쳐질 때 Cursors.Wait 사용1629정성태12/7/200836865.NET Framework: 116. 소켓 연결 시간 제한628정성태12/6/200824659.NET Framework: 115. Marshal 타입 관련 2가지 자원 해제 메서드1627정성태12/6/200827598VS.NET IDE: 58. VS.NET IDE 팁 - 커서 위치 이동 [1]626정성태12/6/200827513오류 유형: 65. TF53018: The application tier XXXXXXX is attempting to connect to a data tier with an incompatible version625정성태12/6/200827887오류 유형: 64. TFS 2008 SP1 설치 - MsiApplyMultiplePatches returned 0x643624정성태12/5/200828913.NET Framework: 114. WPF 이벤트에 속한 핸들러 확인 [2]1623정성태12/4/200833416디버깅 기술: 22. VS.NET SP1 + .NET Framework 소스 코드 디버깅 [2]1622정성태12/1/200836007오류 유형: 63. WPF - XamlParseException 대응 방법 [2]621정성태11/30/200827763Team Foundation Server: 27. TeamBuild + VDPROJ 셋업 프로젝트 [1]620정성태11/30/200826634디버깅 기술: 21. 올바른 이벤트 예외 정보 출력619정성태11/30/200826394디버깅 기술: 20. 예외 처리를 방해하는 WPF Modal 대화창1 ...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