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글 보이기/감추기 AD BLOCK 해제 요청 이 글에는 광고가 많이 들어가 있지 않습니다. adblock을 해제하셔도 글을 읽는데 그다지 부담이 없으니 해제를 부탁드립니다. 윈도우 내레이터(Narrator) 기능 끄는 방법(윈도우에 파란색의 굵은 테두리 선이 나타난다면?) 개발을 하다 보면, 가끔 키보드를 무작위로 막 누를 때가 있습니다. 그러다 실수로 예기치 않은 기능들이 동작하게 되는데요. ^^; 뭘 눌렀을까요? 어느 순간부터 마우스로 선택하는 윈도우마다 아래와 같이 파란색의 굵은 테두리 선이 쳐지게 되는 것입니다. 딱히 이것이 뭔지도 모르는 기능이라 의아하기만 했는데요. 검색 끝에 겨우 알아냈습니다. ^^; 그것이 윈도우 내레이터 기능임을. 내레이터가 텍스트를 읽도록 하기 ; http://windows.microsoft.com/ko-kr/windows/hear-text-read-aloud-narrator How do I turn OFF Windows Narrator? ; http://superuser.com/questions/618252/how-do-i-turn-off-windows-narrator 끄는 방법은, 위의 글에도 나오지만 "Window Key + Enter"를 누르시면 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다음 글] 디버깅 기술: 69. windbg 분석 사례 - cpu 100% 현상 (2)[이전 글] 디버깅 기술: 68. windbg 분석 사례 - 메모리 부족 [최초 등록일: 1/4/2015] [최종 수정일: 1/5/2015]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15-10-04 06시07분 [궁금이] 유용한 정보 정말 감사합니다. [guest] 2016-03-03 06시57분 [걱정] 감사합니다. 갑자기 맘에 안드는 박스가 나타나서 고심하다가 구글에서 찾아보니 바로나오네요. 고마워요! [guest] 2017-08-25 12시24분 [감사] 감사합니다. 엑셀작업 중이었는데 덕분에 하늘색 테두리를 지울 수 있게 되었네요. [guest] 2017-11-03 03시38분 Window Key + Enter로 안 꺼지면 Caps Lock + ESC 키를 누르면 됩니다. 정성태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538정성태2/15/202118685.NET Framework: 1023. C# - GC 힙이 아닌 Native 힙에 인스턴스 생성 - 0SuperComicLib.LowLevel 라이브러리 소개 [2]12537정성태2/11/202119359.NET Framework: 1022. UI 요소의 접근은 반드시 그 UI를 만든 스레드에서! - 두 번째 이야기 [2]12536정성태2/9/202118211개발 환경 구성: 542. BDP(Bandwidth-delay product)와 TCP Receive Window12535정성태2/9/202117286개발 환경 구성: 541. Wireshark로 확인하는 LSO(Large Send Offload), RSC(Receive Segment Coalescing) 옵션12534정성태2/8/202117811개발 환경 구성: 540. Wireshark + C/C++로 확인하는 TCP 연결에서의 closesocket 동작 [1]112533정성태2/8/202116811개발 환경 구성: 539. Wireshark + C/C++로 확인하는 TCP 연결에서의 shutdown 동작112532정성태2/6/202118010개발 환경 구성: 538. Wireshark + C#으로 확인하는 ReceiveBufferSize(SO_RCVBUF), SendBufferSize(SO_SNDBUF) [3]12531정성태2/5/202116787개발 환경 구성: 537. Wireshark + C#으로 확인하는 PSH flag와 Nagle 알고리듬112530정성태2/4/202120597개발 환경 구성: 536. Wireshark + C#으로 확인하는 TCP 통신의 Receive Window12529정성태2/4/202118488개발 환경 구성: 535. Wireshark + C#으로 확인하는 TCP 통신의 MIN RTO [1]12528정성태2/1/202118081개발 환경 구성: 534. Wireshark + C#으로 확인하는 TCP 통신의 MSS(Maximum Segment Size) - 윈도우 환경12527정성태2/1/202118167개발 환경 구성: 533. Wireshark + C#으로 확인하는 TCP 통신의 MSS(Maximum Segment Size) - 리눅스 환경112526정성태2/1/202114988개발 환경 구성: 532. Azure Devops의 파이프라인 빌드 시 snk 파일 다루는 방법 - Secure file12525정성태2/1/202113946개발 환경 구성: 531. Azure Devops - 파이프라인 실행 시 빌드 이벤트를 생략하는 방법12524정성태1/31/202115146개발 환경 구성: 530. 기존 github 프로젝트를 Azure Devops의 빌드 Pipeline에 연결하는 방법 [1]12523정성태1/31/202116074개발 환경 구성: 529. 기존 github 프로젝트를 Azure Devops의 Board에 연결하는 방법12522정성태1/31/202118270개발 환경 구성: 528. 오라클 클라우드의 리눅스 VM - 9000 MTU Jumbo Frame 테스트12521정성태1/31/202117345개발 환경 구성: 527. 이더넷(Ethernet) 환경의 TCP 통신에서 MSS(Maximum Segment Size) 확인 [1]12520정성태1/30/202116101개발 환경 구성: 526. 오라클 클라우드의 VM에 ping ICMP 여는 방법12519정성태1/30/202114832개발 환경 구성: 525. 오라클 클라우드의 VM을 외부에서 접근하기 위해 포트 여는 방법12518정성태1/30/202132939Linux: 37. Ubuntu에 Wireshark 설치 [2]12517정성태1/30/202120648Linux: 36. 윈도우 클라이언트에서 X2Go를 이용한 원격 리눅스의 GUI 접속 - 우분투 20.0412516정성태1/29/202117108Windows: 188. Windows - TCP default template 설정 방법12515정성태1/28/202118762웹: 41. Microsoft Edge - localhost에 대해 http 접근 시 무조건 https로 바뀌는 문제 [3]12514정성태1/28/202118917.NET Framework: 1021. C# - 일렉트론 닷넷(Electron.NET) 소개 [1]112513정성태1/28/202116077오류 유형: 698. electronize - User Profile 디렉터리에 공백 문자가 있는 경우 빌드가 실패하는 문제 [1]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