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오류 유형: 269. USB 메모리의 용량이 비정상적으로 보여진다면?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30776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USB 메모리의 용량이 비정상적으로 보여진다면?

8GB 용량의 USB 디스크가 2MB로 표시된다면서 지인으로부터 해당 현상이 발생한 USB 장치를 하나 건네 받았습니다. 오호~~~ 재미있군요. ^^

실제로 윈도우 탐색기를 통해 확인해 보니 정말 2MB 정도의 용량만 표시되었습니다.

usb_storage_1.png

이걸 보고, 순간 의심을 한 것은 바로 파티션이었습니다. "컴퓨터 관리" 관리 콘솔을 띄우고 "Disk Management" 영역에서 해당 USB의 현황을 보니 정말 그 문제가 맞았습니다.

usb_storage_2.png

보시는 바와 같이 중간 부분만 FAT 형식의 파티션으로 나뉘어져 있는데... 참으로 희한하군요. 저렇게 파티션을 일부러 나누려고 해도 힘들 것 같습니다. ^^;

더욱 재미있는 것은, 저 상태에서 앞/뒤 파티션의 확장이라든지 해당 파티션을 지우는 기능이 비활성화되었다는 점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를 해결하려면 좀 더 저수준의 동작이 필요했습니다. 바로 diskpart.exe를 사용하는 것! (diskpart는 Windows 2000부터 제공되는 유틸리티로 기존의 fdisk를 대체하는 프로그램입니다.)

그럼, (관리자 권한으로) diskpart.exe를 실행하고 "list volume" 명령을 통해 우리가 변경하려는 볼륨을 "select volume [number]" 명령어로 선택해 줍니다.

C:\WINDOWS\system32>diskpart

Microsoft DiskPart version 6.3.9600

Copyright (C) 1999-2013 Microsoft Corporation.
On computer: THEMYTH8

DISKPART> list volume

  Volume ###  Ltr  Label        Fs     Type        Size     Status     Info
  ----------  ---  -----------  -----  ----------  -------  ---------  --------
  Volume 0     F                       DVD-ROM         0 B  No Media
  Volume 1     C                NTFS   Partition     98 GB  Healthy    Boot
  Volume 2     D   New Volume   NTFS   Partition     42 GB  Healthy
  Volume 3     E   New Volume   NTFS   Partition     97 GB  Healthy    Pagefile
  Volume 4         Recovery     NTFS   Partition    300 MB  Healthy    Hidden
  Volume 5                      FAT32  Partition    100 MB  Healthy    System
  Volume 6     G                FAT    Removable   2272 KB  Healthy

DISKPART> select volume 6

Volume 6 is the selected volume.

DISKPART> list volume

  Volume ###  Ltr  Label        Fs     Type        Size     Status     Info
  ----------  ---  -----------  -----  ----------  -------  ---------  --------
  Volume 0     F                       DVD-ROM         0 B  No Media
  Volume 1     C                NTFS   Partition     98 GB  Healthy    Boot
  Volume 2     D   New Volume   NTFS   Partition     42 GB  Healthy
  Volume 3     E   New Volume   NTFS   Partition     97 GB  Healthy    Pagefile
  Volume 4         Recovery     NTFS   Partition    300 MB  Healthy    Hidden
  Volume 5                      FAT32  Partition    100 MB  Healthy    System
* Volume 6     G                FAT    Removable   2272 KB  Healthy

DISKPART> list disk

  Disk ###  Status         Size     Free     Dyn  Gpt
  --------  -------------  -------  -------  ---  ---
  Disk 0    Online          238 GB  1024 KB        *
  Disk 1    Online           14 GB      0 B
* Disk 2    Online         7728 MB      0 B

"select volume [number]" 명령을 실행한 후에는 반드시 자신이 원하는 volume이 선택되었는지를 "list volume" 명령어로 확인하는 습관을 들이는 것이 좋습니다. 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선택된 볼륨에 대해서는 "*" 표시가 붙게 됩니다.

이 상태에서 2272KB 용량으로 할당된 FAT 파티션을 다음과 같이 삭제할 수 있습니다.

DISKPART> delete partition

DiskPart successfully deleted the selected partition.

DISKPART> list partition

There are no partitions on this disk to show.

그리곤, "list partition" 명령으로 파티션이 삭제되었음을 확인해 줍니다. 자... 그 다음은 디스크 용량에 꽉차게 새로운 파티션을 만들어 주면 됩니다. 다음과 같이!

DISKPART> create partition primary

DiskPart succeeded in creating the specified partition.

DISKPART> list partition

  Partition ###  Type              Size     Offset
  -------------  ----------------  -------  -------
* Partition 1    Primary           7727 MB  1024 KB

그럼, 7727MB... 거의 8GB 용량의 파티션이 잡힌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여기까지 되었으면 탐색기나 "컴퓨터 관리자" 관리 콘솔에도 정상적으로 USB 디스크가 나오게 됩니다. 물론, 포맷도 할 수 있고.

저는 그냥 diskpart에서 포맷까지 함께 해버렸습니다.

DISKPART> format fs=FAT32 QUICK

문제 해결 끝!




참고로, format 명령어 시에 다음과 같이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DISKPART> format fs=NTFS  QUICK

    0 percent completed

DiskPart has encountered an error: The parameter is incorrect.
See the System Event Log for more information.

이런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는, 해당 디스크에 파티션이 없는 경우라고 보시면 됩니다. "list partition" 명령어로 확인해 보시고, 이후 파티션 생성을 해주면 정상 동작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7/10/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15-02-03 07시38분
[Lyn] 혹시 보안USB 같은 거엿는데 포맷해버린거 아닌가요 ㅋ
[guest]
2015-02-04 12시14분
일반 USB라서 그런 건 아닌 듯 한데... 암튼... 사용자들의 활용 방법은 상상을 초월하는 것 같습니다. ^^
정성태
2016-03-25 05시37분
[hebal] 정말 유용한 정보 감사합니다 덕분에 삽질 피했습니다.
[guest]
2016-07-18 03시59분
[guest] 덕분에 문제 해결했습니다. 감사합니다!
[guest]
2016-12-04 03시01분
[시민] USB 날아간줄 알고 새로 사야되나 하고 있었는데 덕분에 잘 해결됬습니다. 감사합니다!
[guest]
2016-12-07 08시06분
[정환나라] USB에 리눅스 같은걸 깔아도 그럴수 있습니다.
제가 라즈베리파이에 리눅스 설치해서 뭐 하다가 Win10core iot 설치하려하니 안되서
SDFormatter 같은 프로그램으로 다시 포멧한 경우도 있구요.
[guest]
2017-01-02 02시47분
[guest] 문제 잘 해결했습니다~ 리눅스 깔고나니 이런 증상이 생기네요 ㅎㅎ
[guest]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
NoWriterDateCnt.TitleFile(s)
285정성태6/20/200622535오류 유형: 9. [TFS] Report 관련 서비스를 조회할 때 rsErrorImpersonatingUser 오류 메시지 발생 [1]
284정성태6/19/200620273VS.NET IDE: 40. FxCop - IDE 에서 제공해 주는 SuppressMessage 코드
283정성태1/19/200721142Team Foundation Server: 8. 소스 세이프에서 TFS SourceControl 로 마이그레이션 [2]
279정성태12/27/200626516개발 환경 구성: 3. VS.NET 원격 디버깅 [1]
280정성태6/12/200626011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3.1. VS.NET 2003 원격 디버깅 설정
281정성태8/11/200627490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3.2. VS.NET 2005 원격 디버깅 설정
315정성태8/11/200628156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3.3. VS.NET 2005 원격 디버깅 설정 - ASP.NET F5 디버깅
278정성태6/11/200624690오류 유형: 8. [Outlook] 0x8004011D 에러 - "Exchange over the Internet" 환경
276정성태6/7/200618220Team Foundation Server: 7. 외부 빌드 머신 구성
287정성태6/24/200615817    답변글 Team Foundation Server: 7.1. 외부 빌드 머신 구성 - 다른 블로그 자료
275정성태6/7/200623685디버깅 기술: 4. VC++ 8.0 원격 디버깅 구성 - Side-by-Side DLL 문제.
269정성태6/6/200620905Team Foundation Server: 6. HTTPS를 통한 Team Server 접근 [1]
270정성태6/5/200617855    답변글 Team Foundation Server: 6.1. HTTPS를 통한 Team Server 접근 [1]
273정성태6/6/200620590    답변글 Team Foundation Server: 6.2. 두번째 방법 - HTTPS 를 통한 Team Server 접근 [1]
267정성태6/4/200619896Team Foundation Server: 5. 인터넷으로 Team Server 접근 [2]
266정성태6/8/200616497오류 유형: 7. [설치] mpoai9.dll 관련 오류
265정성태6/1/200624211디버깅 기술: 3. 원격 컴퓨터 디버깅 - VPC 설정
314정성태8/11/200621265    답변글 디버깅 기술: 3.1. Managed 원격 디버깅과 WinDBG 원격 디버깅
264정성태6/1/200630357오류 유형: 6. [VC++ 컴파일] already defined in ntdll.lib(ntdll.dll)
263정성태6/1/200631344디버깅 기술: 2. 커널 구조체 살펴보기 [5]
262정성태6/1/200623616오류 유형: 5. [설치] WinFX Beta2 - 설치시 문제점 해결
261정성태6/1/200620115웹: 3. IIS 6.0 - AppPool을 활용하여 실 서버(운영 서버)에서 디버깅
258정성태6/1/200628026디버깅 기술: 1. 디버깅 방법 - CLR 프로파일러 [1]파일 다운로드1
274정성태6/7/200620938    답변글 디버깅 기술: 1.1. 디버깅 방법 - CLR 프로파일러 ( on Vista )
254정성태6/1/200617428개발 환경 구성: 2. VPC에 Vista 설치하는 방법 [2]
255정성태6/1/200617095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2.1. msconfig 설정과 Windows Activation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