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제어판의 프로그램 추가/삭제 항목을 수동으로 실행하고 싶다면?

희한한 일도 다 있군요. ^^ 제어판의 "프로그램 추가/삭제(Programs and Features)"에서 특정 프로그램을 삭제하려고 했는데, 다음과 같이 권한이 없다는 오류가 발생합니다.

You do not have sufficient access to remove Windows Phone 8.1 Emulators - ENU from the Programs and Features list.
Please contact your system administrator.

제어판은 explorer.exe 프로세스에서 실행되기 때문에 관리자 권한을 얻으려면 탐색기 자체를 관리자 권한으로 띄워야 하는데 이렇게 하려면 현재 실행 중인 explorer.exe를 작업 관리자를 이용해 강제 종료하고 '권한 상승시킨 cmd.exe' 등을 이용해 explorer.exe를 재실행시켜야 합니다. (보안을 위해, 원하는 작업을 마쳤다면 다시 explorer.exe를 종료하고 '권한 상승되지 않은 cmd.exe'에서 explorer.exe를 다시 실행해야 합니다.)

그 외에 다른 방법으로는 어차피 프로그램 제거도 또한 설치 파일을 실행하는 것이므로, 어떤 실행 파일인지 알아내서 '권한 상승시킨 cmd.exe' 등에서 직접 실행할 수 있습니다.

가령, 위의 에러 메시지에서는 "Windows Phone 8.1 Emulators - ENU"라는 제목을 볼 수 있는데 이 문자열로 다음의 레지스트리 키 하위에서 검색해 보면,

HKEY_LOCAL_MACHINE\SOFTWARE\Classes\Installer

이렇게 관련 키를 찾을 수 있습니다.

runas_programs_1.png

그럼, "(Default)" 값으로 "{166a69f6-6512-47ea-a342-17d954fc059a}"와 같은 GUID 형식의 값을 찾을 수 있고, 다시 이 키 값으로 다음의 레지스트리 키 하위에서 검색해 보면,

HKEY_LOCAL_MACHINE\SOFTWARE\Microsoft\Windows\CurrentVersion\Uninstall
HKEY_LOCAL_MACHINE\SOFTWARE\Wow6432Node\Microsoft\Windows\CurrentVersion\Uninstall

"{166a69f6-6512-47ea-a342-17d954fc059a}" 키 값을 가진 노드를 찾을 수 있고, 그 하위에 "UninstallString" 이라는 값으로 프로그램 제거를 위한 명령행 문자열이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C:\ProgramData\Package Cache\{166a69f6-6512-47ea-a342-17d954fc059a}\MobileTools_EmulatorWP81.exe"  /uninstall

게임 끝이군요. ^^ 위의 문자열을 복사해서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Run as administrator)"시킨 cmd.exe에서 붙여넣고 실행하면 됩니다.




이 방법 외에 검색해 보면 다음의 글을 볼 수 있습니다.

Windows 7: Programs - Uninstall using Command Prompt in Windows
; http://www.sevenforums.com/tutorials/272460-programs-uninstall-using-command-prompt-windows.html

위의 방법에 따라 wmic.exe를 이용해 컴퓨터에 설치된 모든 프로그램의 목록을 구할 수 있습니다.

C:\temp>wmic product get name
Name

Microsoft Lync Web App Plug-in
Gtk# for .Net 2.12.25
.NET Reflector Visual Studio Extension 8.2
...[생략]...
SQL Server 2012 SQL Data Quality Common
Build Tools - amd64
Windows Phone 8.0 Emulation Images GDR1

(참고로, wmic.exe 명령어는 실행 시 경우에 따라 1분 이상의 시간이 걸릴 수도 있으므로 제법 시간을 갖고 기다려야 합니다.)

이 중에서 원하는 프로그램을 삭제하고 싶다면 다음과 같이 명령을 내리면 됩니다.

C:\temp>wmic product where name="Windows Phone 8.1 SDK - ARM" call uninstall"
Executing (\\THETEST\ROOT\CIMV2:Win32_Product.IdentifyingNumber="{7AC97190-67DC-4D68-B743-43F7E1FC393A}",Name="Windows Phone 8.1 SDK - ARM",Version="8.1.14194")->Uninstall()
Method execution successful.
Out Parameters:
instance of __PARAMETERS
{
        ReturnValue = 0;
};

만약 동일한 이름으로 설치된 제품이 있다면 2개 모두 삭제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2/2/2015]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15-02-10 02시18분
wmic 관련해서 해당 컴퓨터에 특정 KB 패치가 있는지 확인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KB981392" 패치가 설치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싶다면 이렇게 명령을 내리면 됩니다.

wmic qfe get hotfixid | find "KB981392"

아쉬운 점이 있다면, 이 명령어는 운영체제의 패치만 검색할 뿐 닷넷 프레임워크 등의 패치는 검색하지 않습니다. 이럴 때는, 해당 KB 문자열로 다음의 레지스트리 경로 하위에 대해 검색하면 그런데로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HKEY_LOCAL_MACHINE\SOFTWARE\Classes\Installer\Features
정성태

...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432정성태1/11/201826317.NET Framework: 726. WPF + Direct2D + SharpDX 출력 C# 예제파일 다운로드2
11431정성태1/11/201824305.NET Framework: 725. C# - 동기 방식이면서 비동기 메서드(awaitable)처럼 구현한 사례 [9]
11430정성태1/10/201827765.NET Framework: 724. WPF + Direct2D 출력 C# 예제 [2]파일 다운로드1
11429정성태1/9/201818480개발 환경 구성: 348. ASP.NET Core 2.1 Preview 버전 적용 방법
11428정성태1/6/201821255개발 환경 구성: 347. WinForm 프로젝트를 WPF 프로젝트 유형으로 변경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427정성태1/5/201819275오류 유형: 445. vcpkg 빌드 오류 - Starting the CLR failed with HRESULT 80040153
11426정성태1/5/201828942오류 유형: 444. curl로 호출할 때 발생하는 오류 정리
11425정성태1/4/201819573개발 환경 구성: 346. ASP.NET Core Web Application을 IIS에서 호스팅하는 방법 (2)
11424정성태1/4/201819142개발 환경 구성: 345. ASP.NET Core 프로젝트를 명령행에서 빌드하는 방법
11423정성태1/3/201837380VC++: 123. 내가 만든 코드보다 OpenCV의 속도가 월등히 빠른 이유 [8]파일 다운로드2
11422정성태1/2/201827962.NET Framework: 723. C# - OpenCvSharp 사용 시 C/C++을 이용한 속도 향상 (for 루프 연산) [4]파일 다운로드1
11421정성태1/2/201819732오류 유형: 443. Visual Studio - nuget configuration is invalid
11420정성태12/30/201723932.NET Framework: 722. C# - Windows 10 운영체제의 데스크톱 앱에서 음성인식(SpeechRecognizer) 사용하는 방법 [3]파일 다운로드1
11419정성태12/23/201726042.NET Framework: 721. WebClient 타입의 ...Async 메서드 호출은 왜 await + 동기 호출 시 hang 현상이 발생할까요? [2]파일 다운로드1
11418정성태12/23/201735820.NET Framework: 720. 비동기 메서드 내에서 await 시 ConfigureAwait 호출 의미 [2]파일 다운로드1
11417정성태12/22/201721675.NET Framework: 719. Task를 포함하는 async 메서드의 동작 방식 [2]
11416정성태12/21/201719318.NET Framework: 718. AsyncTaskMethodBuilder.Create() 메서드 동작 방식 [2]
11415정성태12/21/201721029.NET Framework: 717. Task를 포함하지 않는 async 메서드의 동작 방식 [6]
11414정성태12/21/201728200.NET Framework: 716. async 메서드의 void 반환 타입 사용에 대하여파일 다운로드2
11413정성태12/20/201722474개발 환경 구성: 344. 윈도우 10 - TTS 및 음성 인식을 위한 환경 설정
11412정성태12/20/201725154.NET Framework: 715. C# - Windows 10 운영체제의 데스크톱 앱에서 TTS(SpeechSynthesizer) 사용하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1411정성태12/20/201723420사물인터넷: 15. 라즈베리 파이용 C++ 프로젝트에 SSL Socket 적용
11410정성태12/20/201735698.NET Framework: 714. SSL Socket 예제 - C/C++ 서버, C# 클라이언트 [1]파일 다운로드1
11409정성태12/18/201741688VC++: 122. 오픈 소스 라이브러리를 쉽게 빌드해 주는 "C++ Package Manager for Windows: vcpkg" [7]
11408정성태12/18/201721317.NET Framework: 713. C# - SharpDX + DXGI를 이용한 윈도우 화면 캡처 소스 코드 + Direct2D 출력 + OpenCV (2)파일 다운로드1
11407정성태12/18/201724195.NET Framework: 712. C# - SharpDX + DXGI를 이용한 윈도우 화면 캡처 소스 코드 + Direct2D 출력 + OpenCV [1]파일 다운로드1
...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